리뷰

국립발레단 〈라 바야데르〉
군무 앙상블의 비약적 성장
방희망_춤비평가

 국립발레단은 작년에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인 유리 그리고로비치 안무의 <라 바야데르>를 제153회 정기공연(3월 13-16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작품으로 무대에 올렸다.
 작품은 예상대로 안무가가 장기로 삼는 선이 굵고 스케일이 큰 군무를 그대로 담았다. <스파르타쿠스>와 마찬가지로 짧은 등장 시간에도 불구하고 폭발하는 에너지를 충분히 분출하는 노예들의 춤도 그러하였고, 2막 연희를 위해 입장하는 행렬들 역시 어느 한 사람 무용수라는 정체성을 잃지 않은 채 등장하도록 안무가 배려되어 있다.
 다만 안무가가 사회주의 체제 안에서 목적의식이 분명한 예술세계를 구축해온 성향 때문인지 드라마 전개는 요점만 짚고 넘어가는 스타일인지라, 소소한 마임들을 생략한 것은 그렇지 않아도 미약한 주인공들의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주역 무용수들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것 같았다.




 1막에서 니키아가 단검을 들고 감자티에게 달려드는 장면의 경우 이국문화를 야만적으로 표현하는 오리엔탈리즘적 묘사라 보는 관점도 있겠지만 인도 고전무용에서는 사랑, 질투, 분노의 감정까지도 적극적으로 극대화되어 나타나기에 오히려 이런 마임들의 전후로 섬세한 감정표현에 공을 들이는 것이 이 작품을 블록버스터의 ‘오명’에서 벗어나게 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필자가 관람한 공연 이틀째(3월 14일) 캐스팅은 니키아 역 김리회, 솔로르 역 김기완이었다. 원래 캐스팅되어 있던 정영재의 부상으로 급히 교체가 된 터라 아무래도 호흡이 딱 맞지 않는 부분이 군데군데 보였다. 김리회가 1막 파드되의 리프팅에서 무게중심을 잡지 못해 흔들리다 김기완의 어깨를 짚어야 하기도 했고, 3막에서 긴 베일을 들고 나와 출 때 박자를 놓치면서 감긴 베일을 제때 풀지 못하는 실수도 있었다.
 두 여성 캐릭터의 맞불의 대상이 되는 솔로르가 강력한 중심을 잡지 않으면 특히 3막에서는 리프트만 하는 보조적인 역할로 끝나고 만다. 김기완은 기술적인 요소를 깔끔하게 처리하였으나 교본대로의 수행 이상은 보이지 않아 남성주역으로서의 아우라를 더 갖추었으면 하였다. 솔로르의 복잡한 심경이 표출될 몇 번의 기회를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김리회의 니키아는 아픔을 내면으로 수렴하는 처연한 기품을 보여주었지만 긴장한 탓인지 그 표현이 소극적으로 비추어지는 아쉬움이 있었다. 주역들의 기술적인 역량 자체는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컨디션 난조로 인해 최상의 연기와 춤을 보지 못한 것은 아쉽다.
 대신 선명하고 시원시원한 선을 구사해 자신만만하고 당당한 매력적인 감자티를 보여준 그랑 솔리스트 신승원은 앞으로 주역으로서의 맹활약을 기대하게 했다. 비교적 작은 체구로 인해 황금신상이 만방에 떨치는 화려한 양감을 갖추진 못했으나 도약 후 착지 시 무대에 꽂힌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날렵한 춤을 선보이면서 중간 중간 딱딱한 금속성이 덧입혀진 꼿꼿한 포즈를 넣어 오히려 그 체격조건을 독특한 질감으로 완성시킨 황금신상 역의 김윤식과 오페라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몇 도쯤 올려놓은 정열적인 북춤의 솔리스트들은 국립발레단의 캐릭터 댄스의 수준이 한결 높아졌음을 알리는 반가운 얼굴들이었다.




 무엇보다 가장 찬사를 보내고 싶은 부분은 꼬르 드 발레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3막 쉐이드의 군무에서, 국립발레단은 특이하게도 무대 중앙의 상단에서 등장하자마자 한 번의 아라베스크 후 바로 방향을 틀어 대칭된 Z자 형태로 내려가게끔 무대를 꾸몄다. 마치 밤의 장막을 열어젖히고 튀어 나온 듯 신비감을 더해 시각적인 묘미도 있었지만 경사로를 가로로 길게 쓸 때보다 짧은 길이에서 턴을 하게 되어 난이도가 높아진 것을 잘 소화해냈다.
 32명 무용수의 대열 속 응축된 힘으로 잔약하게 떨리는 튀튀의 물결은 보기 드문 일체감으로 감동을 주었고 이 장면 하나를 완성하기 위해 부단히 흘렸을 그들의 땀을 생각하게 했다. 그 누가 이러한 절대미(絶對美)의 구현 자체가 발레의 유일무이한 종착지라고 강변한다 해도 잠시 설득당할 만큼 숭고하고 아름다운 순간이었다.




 급히 합류하여 짧은 기간 동안 호흡을 맞추면서도 영리하게 코리안 심포니를 통솔한 주디스 얀의 지휘와 뉴트럴 톤으로 세련되게 뽑아낸 이탈리아산 의상의 색감까지 이번 국립발레단의 <라 바야데르>를 돋보이게 한 미덕은 여러 가지였지만 그래도 ‘국립발레단이기에’ 앞으로 더욱 높은 수준을 보여주길 기대하게 된다.
 깊고 섬세한 감정표현으로 확고한 캐릭터를 창출하여 명성을 얻은 강수진 예술감독이 부임한 만큼 주역무용수들의 표현력이 강화되는 것이 우선과제일 것이다.
 프로그램 북의 구성에도 신경을 썼으면 한다. 스타무용수의 배출은 국립발레단이 인기를 얻는 원동력이 되어왔지만, 인터넷에서 흔히 검색할 수 있는 초보적인 수준, 줄거리 위주의 작품해설이 실린 화보집 개념의 프로그램 북이 재공연시마다 똑같이 나와서는 곤란하다. 

2014. 04.
사진제공_국립발레단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