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장현희 〈날자, 오리배〉
보다 지고한 사랑(희망)의 추구
권옥희 _춤비평가

 "2012 우리춤 작가전 젊은 춤판 1"(전주 우진문화공간, 10월 27일)무대의 장현희의 〈날자, 오리배〉. 배(船), 트리스탄이 이졸데를 마르크왕에게 데려다 주며 사랑의 열광이 태어나는 곳이 작은 배(船)안이었다. 시간 밖의, 사회 밖의 중간점에서 그들을 죽게 만드는 미약(媚藥)을 마신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과 죽음은 같은 것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롱사르는 말한다. 하여 배는 사랑에 대한 열정의 불가분의 장식물이 된다. 또한 물위에서 연인들의 노닐음은 19세기 낭만주의 이전의 필연적 공통 요소였고 그리고 문학에서는 바뀌고 변하는 것의 의식으로 사용된다. 장현희의 오리배는? 궁금했다.
 


 


 공연을 보러 나선 길. 날이 많이 궂었다. 달리는 자동차에 연이어 몸을 던지고 매달리는 안개와 비를 데리고 극장에 도착. 자동차가 아니라 마치 배를 타고 온 듯했다. 몸을 적시지 않고(죽음) 무사히 뭍(극장)에 닿기를 바랐다. 어둑한 무대에 비내리는 소리와 함께 공연이 시작된다. 화들짝 놀란다. 얘들이(안개와 비)따라 들어왔나? 가만히 들어보니 물위에 떠 있는 배가 흔들리며 내는 삐걱이는 소리, 뱃전에 부딪히는 물소리다. 빗소리가 잦아들면서 무용수들이(권효원, 서해영, 김수지) 조용히 무대로 걸어 들어온다. 검정색 상의에 빨강색 반바지, 검정 타이즈, 긴 바지를 입었다.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디자인의 검정색 상의에 깃과 바지 소매 등에 빨강색으로 포인트를 준 무용수의 의상은 같은 꿈(빨강)을 꾸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음악의 고저에 따라, 허리에서 아래로 빠짝 붙인 무용수들의 두 팔이 날개 짓을 하고 몸은 배처럼 흔들린다. 날지 못하는 날개 짓, 무표정의 그 움직임이 재미있다. 작은 움직임을 크게 변환시키는 춤의 흐름과, 안무자의 의도를 깊게 끌고 가며 몰입하는 에너지가 좋다.   작품이해에 따른 무용수의 연기력은 관객들이 무대에 집중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검정색 배기 바지에 빨강 깃의 검정 수트 상의를 입은 장현희(안무자)가 무대로 걸어 나온다. 상고머리의 검은색 머리칼과 하얀 얼굴빛이 주는 선명한 색의 대비에서 날카롭고 세련된 감성과 서늘한 열정을 읽는다. 4명의 무용수가 동일하게 움직이는 스텝, 힘의 강약 조화가 무대에 깊은 공간과 의미를 만들어 낸다. 발의 움직임이 주는 재미에 스스로 취한 듯, 아래를 내려다보며 추는 춤이 모던한 느낌을 준다. 찰리 채를린의 '모던 타임즈'의 이미지가 연상된다. 문화산업의 코너의 몰려있는 청춘들, 젊음을 상징하는 것들로 도배된 타임라인을 보며 좋아요만 누르면서 정작 정말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앞에서는 주저하는.   
 장현희의 솔로. 차이코프스키의 사계중 "6월 뱃노래"에 얹은 움직임은 깊어진 내면이 그대로 묻어났다. 빠르고 느린 움직임의 교차되면서 날카로운 슬픔이 드러났다. 오리배, 날지 못하는데? 알고 있다. 그래도 날자. 내 안에 타고 있는, 사랑하는 이들이 날 수 있다고 하잖아. 날개를 퍼덕이고 발로 힘껏 물을 차보는 거야. 날고 싶은, 희망을 품은 사람의 마음을 풀어놓은 춤이 의상의 빨강색 소맷자락과 연결된다. 선명하고 서정적인 춤이었다. 나윤선의 "아름다운 사람"이 흐르면서 마치 음악에 떠 있듯, 4명이 나란히 객석 쪽을 바라보며 서있다. 
 '세찬 바람 불어오면 들판에 한 아이 달려오네. 그 더운 가슴에 바람 안으면 아름다운 그이는 사람이어라.' 마지막 조명이 꺼지지 전, 무용수들의 눈에 맺혀 있다가 툭 떨어지는 눈물이 조명에 반짝였다.
 대구시립무용단(차석으로 5년), 한예종무용원 전문사 졸업이후 10여년 만에 본 장현희의 춤은 시쳇말로 아직 '살아있'음을 확인한 무대였다. 직접 추는 오랜만의 무대가 조심스러웠겠으나 활짝 날개 짓을 했으면 더 좋았을 무대였다.

  



 수많은 이들이 모두 청춘을, 열정을 말한다. 그리고 사람의 소중함과 희망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들, 젊은 청춘들은 안정적인 생활을 즐기고 있는 앞선 세대의 노스텔지어나 환영처럼 느껴진다. 기어코 성장한 세대가 비루한 앞날을 향해 성장할 세대에게 희망의 위로를 던지며 내가 이들의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 말이다. 위로를 받은 청춘은 앞선 세대처럼 되기 위해 앞선 세대의 방식을 따르고, 앞선 세대가 되어 뒤를 잇는 세대에게 조언하기를 바란다. 하지만 이런 상황의 희망과 꿈은 환상이라는 것을, 장현희는 앞선 세대의 마약과도 같은 위로가 가짜라고, 〈날자, 오리배〉를 통해 말하고 있다.
 

2012. 11.
사진제공_여경철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