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2024 한국무용제전
보완되어야 할 면밀한 드라마투르기
김채현_춤비평가

지구가 병들었다고 아우성이다, 생태계 위기. 그래도 우리는 살고 있고 지구 종말의 시계는 숨가쁘게 돌아간다. 올해 한국무용제전이 내건 주제 표어는 ‘에콜로지 춤, 연대의 몸짓’이다(아르코예술극장, 동덕여대 코튼홀, 4. 12 ~ 24.). 이 제전은 해마다 근 2주간 대극장, 소극장에서 여러 작품들을 선보이는 것을 관례로 해왔다. 올해에는 대극장에서 10편 남짓, 소극장에서 12편이 올려졌고 몇 편의 유튜브 영상춤도 사전행사로 소개되었다. 참여작들에 공동으로 적용되는 주제 표어를 해마다 바꿔가며 내거는 것은 한국무용제전의 특장점으로 인식되어 왔다. ‘연대의 몸짓’에서 연대는 환경 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을 모으자는 취지의 연대로 해석된다. 이번 제전에서 필자는 일정상 닷새 동안 대극장 공연물을 관람하였다.



장혜림 〈이야기의 탄생〉 ⓒ김채현



본 제전에서 주목을 끌은 작품은 장혜림 〈이야기의 탄생〉이 아닐까 한다. 여기서 사람들은 허밍을 하고 소라 같은 검은 고동으로 소리를 낸다. 그들이 착용한 드레스나 바지의 짙은 갈색은 대지(大地)의 색감을 나타낼 것이다. 대자연의 숲에서 일어나는 온갖 어울림을 그려내는 〈이야기의 탄생〉이다.





장혜림 〈이야기의 탄생〉 ⓒ김채현



무대춤에서 목소리가 등장하는 경우는 간혹 있(었)다. 〈이야기의 탄생〉에서 목소리는 이전 사례들에 비해 훨씬 정제된 편이다. 공연 도입부에서 아홉 명의 사람들이 선 자세로 둥글게 뭉쳐 허밍 소리를 낸다. 꽤 오래 허밍할 동안 사람들은 등 뒤로 서로의 팔을 잡는 형상을 이루고선 동그라미 바깥이 아니라 안을 향하여 서로에게 집중한다. 그러면서 동그라미를 점차 키우고 넓혀서 서로의 팔을 잡으며 느리게 원무를 연출하고 일체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허밍 소리는 더 고조된다. 그리고 공연 후반부에서는 소라 같은 검은 고동을 입에 대고 모두들 피리 소리를 내며 무대 여기저기를 느리게 배회한다. 그 합주음은 마치 대자연의 아늑한 교향음(交響音)처럼 다가온다.





장혜림 〈이야기의 탄생〉 ⓒ김채현



〈이야기의 탄생〉에서 여인은 대지에 안착하여 천지자연에 안기고 어우러진다. 빈손으로 와서 씨앗, 열매, 들풀, 꽃 들과 인연을 맺는 태곳적 이야기이다. 대지의 모신(母神) 설화를 떠올리게 하는 이야기는 오늘의 생태계를 반추하도록 유도하며 설득력을 갖는다. 공연 도입부에서부터 원무가 거룩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이어지는 부분들에서 출연자들은 다양한 접촉과 어울림을 연출한다. 여기서 출연자들은 사람인지 짐승인지 굳이 구분되지 않으며 그럴 필요도 없었다. 태고에 무슨 구분이 필요했을까 싶게 모두가 일체화된 모습들이다. 〈이야기의 탄생〉에서 거룩한 조화가 뚜렷이 부각되며, 전체 흐름 가운데 접촉과 어울림이 빠르게 또는 단편적으로 전개되는 중간 부분들은 나지막하며 잔잔한 분위기를 오히려 저해하는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소리의 울림으로 생명을 나타내고 춤과 합함으로써 강한 개성을 보여준 〈이야기의 탄생〉이었다.



이미영 〈숲의 노래〉 ⓒ김채현



개막 공연에서 올려진 이미영의 〈숲의 노래〉는 황병기의 곡 〈숲〉을 소재로 하였다. 규방 여인이 먹을 치며 화초를 그리다 상상하는 나들이가 펼져진다. 녹음(綠陰), 뻐꾸기, 비, 달빛과 벗하는 옛 여인이 마음을 고스란히 담은 〈숲의 노래〉이다. 산조의 여유로운 세계를 홀춤이 아니라 조신하고 깔끔한 집단무로 구성하여 산조의 세계를 품격 있게 전개하여 안무자의 연륜도 읽어보도록 하였다.



김지성 〈그럼에도, 바람은〉 ⓒ김채현



김지성의 안무작 〈그럼에도, 바람은〉은 새벽 공기 속 바람에서 느낄 상큼한 기운을 전하였다. 가야금의 경쾌한 소리를 따라 빠르게 전개되는 이 공연에서 열명 남짓의 군무진은 다양한 구도의 대형을 펼쳤다. 꽤 유연한 몸놀림을 동반하는 이들 대형애서는 에너지가 충만하면서도 짜임새 있으면서 난하지 않은 구성을 볼 수 있었다. 주로 현악기 계열의 높은 음색과 함께 움직인들은 낭만적인 정서를 자극하였다. 김지성이 연기한 부분에서도 감정의 노출과 구성 사이에 균형이 유지되었다.

한국무용제전은 한국무용 계열의 경향을 해마다 전시하는 한 케이스로서 오랫동안 역할을 해왔다. 춤 움직임의 변화, 서사 구성, 무대 연출 등의 면에서 공연을 진단하고 전망하는 자리로서 소중하다 하겠다. 열의가 충만한 가운데, 작품에 따라 편차 있겠으나, 음악이 과도하여 움직임을 삼키는 경우, 매스게임을 연상케 하는 구도가 반복되는 경우, 서사에서 드라마투르기 측면의 연구가 요구되는 경우가 눈에 띄었다.

특히 전체 표제인 ‘에콜로지 춤, 연대의 몸짓’에서 에콜로지 춤이 올해 제전에서 얼마나 형상화되었는지 자문할 필요가 있다. 전체 표제는 사실상 제전의 전반적인 서사를 규정하는 공동 주제이다. 서사의 형상화에서 완성도를 달성하는 과제는 우리 춤계에서 한국무용 계열뿐만 아니라 현대무용과 발레 계열에서도 현안으로 제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열성적인 춤 움직임에 비해 주제 서사가 미약할 경우 공감은 아주 제한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고 형식주의에 맴돌기 십상이다. 한국무용제전이 전체 표제를 내세우는 것은 그러한 맹점을 해소할 유력한 방도로서 관심을 모아왔다. 보다 좁혀 말해서, 주제 의식과 춤 움직임의 조화 측면에서 주제 의식과 춤 움직임이 서로 겉돌지 않는 형상화를 위하여 주제를 소화해내는 드라마투르기는 보다 면밀해야 한다. 한국무용제전은 참여 무용인들을 이런 방향으로 자극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김채현

춤인문학습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명예교수. <춤웹진> 편집장. 철학과 미학을 전공했고 춤·예술 분야 비평 수백 편과 저서 『춤과 삶의 문화』 『춤, 새로 말한다 새로 만든다』 『뿌리깊은 나무 샘이깊은 물』(1)을 비롯 다수의 논문, 공저, 『춤』 등의 역서 20여권을 발간했다. <국립무용단 60년사>(2022년 간행, 국립무용단)의 편집장으로서 편집을 총괄 진행하고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지난 30년간 한국의 예술춤과 국내외 축제 현장을 작가주의 시각으로 직접 촬영한 비디오 기록물 수천 편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극장 자료관, 국립도서관 등에 영상 복제본, 팸플릿 등 일부 자료를 기증한 바 있다.​​​​​​​​​​​

2024. 5.
사진제공_김채현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