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현장

춤판 ‘무색무취(舞色舞醉)’
전통춤과 관객의 거리 좁히다
김영희_춤비평가

가을 초입에 막 들어선 9월 8일, 중견 춤꾼 이노연(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 교수)이 ‘무색무취(舞色舞醉)’라는 춤판을 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벌였다. 이 공연은 한국문화재재단이 연간 사업으로 진행한 이수자 지원사업으로서, 이매방류 승무와 살풀이춤의 이수자인 이노연을 비롯해, 강선영류 태평무 이수자인 윤덕경(서원대 교수), 이매방류 승무 이수자인 장래훈(부산시립무용단 수석단원), 종묘제례악 일무 이수자인 김수영(화엄무용단 단장), 동래학춤 이수자인 황동하(부산시립무용단 단원)가 참여했다.
 ‘무색무취(舞色舞醉)’의 공연은 6 종목 - 이노연의 〈이매방류 살풀이춤〉, 김수영의 〈춘앵전〉, 장래훈의 〈동래한량춤〉, 윤덕경의 〈강선영류 태평무〉, 황동하의 〈동래학춤〉, 이노연의 〈이매방류 승무〉로 이어졌지만, 공연 진행에 있어서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우선 각 춤을 추기 전에 매번 잠깐의 영상을 배치했으니, 영상에서 춤꾼들은 자신이 출 춤에 대해 소개하고, 그날의 춤에 대한 자신의 관점이나 자세를 설명했다. 그날의 관객들은 춤계 전문가들보다 일반인들이 많은 듯했는데, 이러한 영상이 춤을 감상하는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전통춤 공연에서 이러한 방식을 다양하게 풀어낼 수 있을 듯하다.




 첫 번째 춤은 이노연의 〈살풀이춤〉으로 시작되었다. 이매방류 살풀이춤이지만, 전체적인 이미지는 무게감 있고 사변(思辨)적이었다. 즉 춤사위는 이매방류 살풀이춤 기법대로였지만, 관객에게 등을 보이고 고개를 돌려 시선을 보낼 때나, 팔에 걸친 수건을 천천히 들어 올리는 춤사위에서 교태스러움보다 정(靜)적인 사색이 농후해보였다. 이노연은 조바우를 쓰는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의상을 입지 않고, 언제나 흰 치마저고리를 입고 춘다.
 김수영은 〈춘앵전〉을 반듯하게 추었다. 전장(全章)을 춤추며 화전태(花前態)에서 살짝 미소 지었을 뿐 담담하게 추었다. 춘앵전은 무대 중앙에 놓은 화문석 위에서 추는 춤이다. 하지만 풍류극장의 성글은 조명 탓이었을까, 춘앵전의 화사함을 살리지 못해 아쉬웠다.

 

 

다음은 장래훈의 〈동래한량춤〉이 이어졌고, 객석의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퍽 오랜 경력을 부산에서 쌓은 춤꾼이다. 부산시립무용단의 여러 창작춤에서 독특한 캐릭터들을 잘 소화했던바, 영남 지역의 다양한 남성춤에 본인의 개성을 살려보기를 기대한다.
 다음은 윤덕경의 강선영류 〈태평무〉였다. 창작춤 무대를 주로 만들었던 그녀가 태평무를 추는 모습을 처음 보았다. 윤덕경 춤꾼은 일찍이 강선영류 태평무를 이수했지만, 학교에 재직하며 그동안 태평무로 나서지 않았다고 한다. 무난하게 추는 듯하면서도 짚을 때는 틀어잡아 짚었고, 흥이 넘쳐서 흐르지 않게 추었다.




 이어서 〈동래학춤〉을 황동하가 추었다. 마당춤의 느낌을 살리고자 일부러 짚신을 신었고, 아무런 장식 없는 하얀 도포자락을 휘날리며 춤췄다. 높은 도약과 큰 날갯짓, 꾸미지 않은 손사위와 무릎 굴신 등으로 동래학춤을 펼쳤다. 다만 근래 동래학춤은 덧배기춤의 배김새가 약화된 느낌이다. 그래도 서울 관객에게 부산에서 온 동래학춤을 선보였다.
 마지막 프로그램으로 이노연은 이매방류 〈승무〉를 추었다. 25분 길이로 전 과정을 추었으며, 첫 과정인 염불에서 감정이입이 남달랐고, 북치는 대목에서 북가락들은 강약과 완급을 주고받으며 변화무쌍했다. 이노연 승무에서 돋보이는 대목은 발놀림이었다. 버선발의 놀림이 선명한데, 파란 치마 아래 흰 버선이 또박또박, 사뿐사뿐 또는 미끄러지듯 움직이거나 밖으로 안으로 감으며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었다. 이는 춤꾼 이노연의 엄밀한 디딤새뿐만 아니라 단전 아래에서 든든한 하체가 지탱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게 공연 프로그램은 끝났는데, 색다른 시도가 이어졌다. 〈동래학춤〉을 관객과 함께 배워보는 시간을 설정한 것이다. 사회자 신정혜(판소리 이수자)가 동래학춤을 배울 관객을 청하자 관객 몇몇이 주섬주섬 나섰고 학생들도 무대로 나갔다. 동래학춤의 황동하 춤꾼이 기본동작부터 몇 가지 동작을 용어와 함께 가르쳐 주었다. 그리고 잠깐 배운 동래학춤으로 관객의 춤판이 펼쳐지자 객석에서 큰 박수로 맞이했다.
 공연 ‘무색무취(舞色舞醉)’가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심의 전통춤 공연이었지만, 전통춤과 관객의 거리를 가깝게 하려는 시도가 눈에 띄었다. 이는 한국문화재재단이 전통춤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이수자 지원사업을 연례적으로 시행하면서, 공연 기획의 창의성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근래 여러 국공립 기관들이 상설공연이나 공모에 의한 공연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공모의 조건도 다양하다. 단순 레퍼토리 구성도 있지만, 주제의식을 요구하거나 기획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새로운 기획의 전통춤 공연을 기대하는 관객의 요구가 반영된 것일 수도 있다. 전통춤 공연의 유통에 있어서 또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김영희
전통춤이론가. 김영희춤연구소 소장. 역사학과 무용학을 전공했고, 근대 기생의 활동을 중심으로 근현대 한국춤의 현상에 관심을 갖고 있다.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전통춤평론집 춤풍경』을 발간했고, 『한국춤통사』를 책임편집하고 공동저술했다. 전통춤의 다양성과 현장성을 중시하며, 검무의 역사성과 다양성을 알리기 위해 ‘검무전(劍舞展)’을 5년째 시리즈로 기획하고 있다.
2018. 10.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