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윤수미 〈툰드라〉
목가적으로 접근한 생태주의 춤
서정록_춤연구가

한동안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의식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생태주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생태주의가 한국 사회에 든든히 뿌리 내렸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여기에는 기존의 생태주의 논의들에 진부함이 큰 몫을 한다. 흔히 생각하는 생태주의의 모습은 아마도 현재 사회를 타락한 문명으로 규정하고 무조건적인 개발반대 혹은 반기술주의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당장의 현실과 괴리가 있는 원초적 자연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심미적으로 좁혀서 보아도 별반 다르지 않다. 보통 생태주의가 표방하는 미적인 감성은 주로 막연한 낭만주의나 감상주의와 결합되어 있다는 인상이다. 즉 한편으로는 ‘순진’하고 좀 심하게 말하면 ‘유치’하다.
 그런데, ‘스테이지 에콜로지’(Stage Ecology)를 표방하는 윤수미무용단의 〈툰드라〉(Tundra)에는 이와 달리 신선함이 있다(4월 16~17일, 동덕여대 코튼홀). 소위 생태주의의 대의라 할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이 본 작품의 안팎에서 드러나는데, 작품의 곳곳에 간결하고 섬세한 서정성을 더하는 방식으로 모두가 공감할 만한 생태주의의 감성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윤수미무용단 〈툰드라〉 ⓒ김채현




 본 작품의 춤 동작은 창무회에서 시작된 한국 창작춤에 기본을 두고 있다. 그렇지만 창무회의 기존 방식을 무작정 따르는 것은 아니다. 춤 동작에 장식적인 부분을 제거하여 기존 한국 창작춤에서 볼 수 있었던 끈적이는 느낌의 동작들은 잘 보이지 않고, 동작이 깨끗하다는 인상을 준다. 그러면서 이러한 간결함은 오히려 각 동작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덕분에 보는 사람에 따라서 춤사위는 순록을 묘사하거나 혹은 인간을 묘사한다고 해석할 수 있고, 또 순록에서 순간적으로 인간으로 혹은 인간에서 순록으로 순간 바꾸어 볼 수도 있다. 바로 생태주의가 강조하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정제된 춤을 통해 드러난다.
 구성에서 작품은 기존의 생태주의 예술에서 볼 수 있는 목가적이고 원시적인 배경 그리고 타락한 문명과 파괴의 공포 그리고 자연으로의 회귀와 같은 도식을 따르고 있다. 그런데 작품 소개를 읽노라면, 이 글은 막연한 감상주의에서 나오는 밑도 끝도 없이 자연을 동경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행(行)과 행 사이 그리고 연(聯)과 연 사이에 운(韻)이 마치 거칠고 황량하지만 한편으로 따스하기도 할 것 같은 툰드라에서 느껴 봄직한 약동(躍動)을 불러일으킨다. 글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감정은 춤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예를 들어 이끼를 헤집는 동작인 위 아래로 몸을 흔드는 격렬한 모습에서 보이는 탄력성과 무대 끝단을 천천히 걷는 것 또는 누워서 다리를 들고 천천히 움직이는 동작에서 나타나는 처절함과 잔잔함 같은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무용수와 무용수가 마치 떨어진 듯 붙어있는 춤동작들은 전체적으로 조심스럽게 이어지고 연결되며 운(韻)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구성은 관객을 툰드라에 서식하는 순록들 중 하나가 된 것과 같은 순간으로 인도한다.






윤수미무용단 〈툰드라〉 ⓒ김채현




 자연과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무대 배경을 꽃으로 장식하고 무대에는 이끼 같은 것을 원으로 나타내면서 자연을 상징하고 한편으로 다분히 인공적이라 할 수 있는 전체적인 색감에 원색으로 콘트라스트를 부여하는 것은 생태주의 예술의 전형적인 맥락이다. 그런데 작품에 등장하는 나뭇가지, 이끼 같은 소품들과 배경들은 직접적으로 무엇인가를 표상하지 않는다. 대부분 중의적(重義的)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춤 동작들과 어우러져 작품이 살며시 모호하게 되는 즐거움이 있다. 이러한 모호한 이미지들은 이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서정적인 운(韻)을 즐기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다만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 무용수 한명 한명이 무대 앞에 놓여 있는 나무 가지들을 들고 머리에 대고 뿔을 만들어 순록이 되는 장면은 너무 명백하여 중의적 이미지와 정제된 동작의 모호함이 가져다주는 해석의 기쁨을 빼앗고 말았는데 이 점은 못내 아쉽다.






윤수미무용단 〈툰드라〉 ⓒ김채현




 마지막으로 〈툰드라〉는 ‘스테이지 에콜로지’를 표방하였다. 이를 위해 공연 팸플릿부터 작품에 사용된 모든 소품들은 친환경과 재사용, 재활용 소재이다. 안무가가 밝히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작품 안에서 뿐 아니라 밖에서도 섬세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서정록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이론과 교수. 태국 Mahidol 대학교 국제대학 강사, 국립대만대학교 초빙교수, 런던대학교 SOAS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한국춤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춤문화 역사 연구를 하고 있다.​ ​

2021. 5.
사진제공_김채현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