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우리

춤, 미디어를 만나다: 두 번째 만남
텔레비전에 내가 나온다면 정말 좋겠네
이단비_방송작가. 무용칼럼니스트

학교를 졸업하면 시험과 성적표에 더 이상 시달리지 않을 줄 알았다. 그런데 사회에 나와 보니 애석하게도 시험과 성적표를 받는 삶은 이어졌고 그게 어느 업계나 마찬가지란 사실을 알게 됐다. 공연계에서는 관객수나 티켓 판매율이, 방송가에서는 매일 아침 닐슨코리아에서 집계한 시청률표가 성적표다. 시청률은 단순히 몇 %라는 집계에서 그치지 않고 분당 그래프도 나오기 때문에 여러 방송작가와 PD가 한 프로그램을 만들 경우 자신이 담당한 부분에서 시청률이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 여실히 드러나게 된다. 열심히 한다고 그대로 시청률에 반영되는 건 아니니 잔혹하기 짝이 없는 성적표다. 시청률은 방송국 입장에서는 광고가 붙느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고 그건 곧 수익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당히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 춤과 무용이 방송 아이템으로 얼마나 매력을 가질 수 있을까. 냉정하게 비교해보자. 야구장을 찾는 관람객과 무용 공연장을 찾는 관객의 숫자는 어떤가. 어느 쪽이 우세한지는 굳이 통계자료를 들이대지 않아도 자명하다. 그리고 그 숫자는 시청률과 비례한다. 방송가에서 춤과 무용 아이템이 스포츠보다 밀리는 이유다.






방송 녹화 준비 중인 스텝들 ⓒ이단비





4차산업혁명 시대, 여전히 위력 있는 방송 매체

그렇다면, 무용수나 안무가는 무대 위에서 관객들을 만나는데 굳이 TV 매체에 관심을 두어야 할까. 안 불러주면 말지, 이런 마음으로 대처해도 되는 걸까. 적극적으로 자신을 홍보해서 내놓아도 부족한 시대에 작품만 훌륭하면 관객이 알아서 오겠지 하는 발상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대세를 이루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18세기 가내수공업 시대로 회귀하겠다는 생각이나 마찬가지다. 복고주의 레트로 스타일을 추구하겠다면 굳이 말리진 않겠다. 하지만 레트로 스타일도 계산된 기획 아이템이란 사실은 밝혀두고 싶다.
 방송가에는 이런 말이 있다. 
라디오 10번 나오는 것보다 TV 한 번 나오는 게 낫다! 비슷한 류의 말들은 많다. 케이블 10번보다 공중파 한 번, 교양 프로그램 10번보다 쇼 프로그램 한 번 등등​. ‘방송쟁이’들끼리 웃자고 하는 말이지만 최근 매체의 위력이 어느 쪽에 실리는지 실감나게 만드는 말들이다. 음악 장르는 저 말들이 무색할 정도로 라디오가 비중 있는 매체로 작용하겠지만 무용계의 입장에서 보면 장르의 특성상 라디오에 출연할 일은 거의 없다. 방송 매체의 힘은 예전보다 주춤한 듯 보이지만 아직까지 방송산업은 그 위력이 유지되고 있고 심지어 성장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는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콘텐츠산업에서 방송 부문은 매출액 16.2%로 출판에 이어 2위를 기록했고, 장르별 매출액도 7.3%로 게임, 캐릭터, 지식정보에 이어 상위권에 안착했다.




2018년 콘텐츠 장르별 매출액&수출액 비중 ⓒ한국콘텐츠진흥원




최근 5년간 매출액과 수출액을 보더라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올해도 지난 해 대비 매출은 5.3%, 수출은 13.7%의 상승세를 예상하고 있다.




5년간 방송산업 매출액 추이 & 5년간 방송산업 수출액 추이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년 대비 2019년 방송산업 매출, 수출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부자가 망해도 3년은 간다고 아직은 TV와 방송매체의 힘을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고 무용수나 안무가가 자신을 홍보하는데도 여전히 방송매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TV가 갖는 노출효과와 영향력은 대단하다. 시청자들은 TV 속에 등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검증’이 마쳐진, 신뢰할 수 있는 영역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공중파 프로그램 안에서의 심의는 상상하는 이상으로 까다로워서 아주 작은 것까지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가려야 하는데 다 이런 영향력 때문이다. 누가 방송 보고 그렇게 반응을 하랴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요즘은 SNS 때문에 이런 일이 없지만 방송이 나가는 순간부터 사무실의 온 전화가 울려대기 시작하고 게시판이 도배되는 일도 잦았다.


TV 속에서 만난 춤

설이나 추석 연휴가 되면 방송가는 하나의 거대한 시험장이 된다. 이 시기에 특집으로 편성된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파일럿’이다. 파일럿은 한 마디로 시범방송으로 이 방송을 통해 시청자들의 눈치를 살피고 승산이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 분기에 정규 편성이 된다. 제작진 입장에서는 방송 이후 자신들의 입지나 행보가 결정되는 상황이라 초긴장할 수밖에 없다. 파일럿의 성공이 정규방송의 성공으로 이어진 대표적인 경우는 〈복면가왕〉을 들 수 있다. 시청률 승산이 있는 프로그램에 배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제작진들은 바짝 긴장하고 아이템도 그만큼 신중하게 고른다.
 그런데, 지난 2017년 추석연휴에 놀랍게도 춤을 소재로 한 파일럿 프로그램이 지상파의 전파를 탔다. 바로 KBS2 〈발레교습소 백조클럽〉이다. 예능이지만 ‘웃고 끝내자’가 아니라 나름대로 성장과 힐링의 코드를 담고 있어서 많이 박수 쳐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아쉽게도 8회로 막을 내리고 장기 프로젝트로 가지 못한 점이 있었지만 이런 프로그램의 등장만으로 오래 살고 볼 일이란 생각이 들었다. 발레의 경우 드라마 안에서 그 이미지만 차용돼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레 자체를 중심점에 두고 접근한 프로그램의 등장은 환영할 일이었다.




파일럿 프로그램에서 정규 방송으로 편성된 KBS2 〈발레교습소 백조클럽〉 ⓒKBS




 그에 앞서 춤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 중에 화제를 몰고 온 프로그램들은 있었다. 2011년부터 2013년, 역시 시즌 3까지 방영된 〈댄싱 위드 더 스타〉, 그리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1년에 한 번씩, 시즌 3까지 진행된 〈댄싱9〉. 모두 댄싱 서바이벌 프로그램이었다. 특히 댄싱9은 춤추는 사람에 대해 주목하게 만든 대표적인 사례이고, 대중들에게 스타 무용수를 배출시키기도 했지만 무용계 안에서는 호불호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이 프로그램이 무용계에 미친 영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갈리기도 한다. 출연자들 사이에서도 그렇다. 춤을 진지하게, 소중하게 다뤘느냐는 부분에서 여전히 물음표를 던지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춤이 제대로 조명되고 진지하게 다뤄진 경우는 2016년 KBS UHD특집 영상 다큐 〈몸의 소리〉를 꼽을 수 있겠다. 시청자들의 반향에 대해서는 굳이 말할 필요가 있을까. 이런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온에어 됐다는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라 놀라웠다. 최근 매칭 프로그램들에게 무용수들이 등장하는 걸 보면 예전보다 무용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썸바디〉가 대표적이다.
 ‘먹방’의 숫자의 세어보라고 하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춤을 소재로 한 방송 프로그램은 이렇게 몇 가지 되지 않는다. 먹방의 경우 최근 보건복지부가 나서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서 말들이 많다. 국가 비만 관리 차원에서 먹방이 문제가 된다는 건데, 이 웃지못할 상황이 행복한 고민이란 생각까지 들게 만든다. 춤 방송 때문에 전국민이 춤바람 들어 가정과 육아 문제가 심각하니 여성복지부가 나서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그런 코미디 같은 상상력을 발휘해본다. 이런 일이 일어날리 만무하니 한 편으로는 씁쓸한 기분이 든다.


작품 구상부터 홍보까지, 기획력이 해답이다!

최근 방송가에서는 시청률 대신 화제성 지수가 거론되고 있다. 시
청률이 갖는 한계점을 인식하고 모바일, SNS를 통한 반응을 집계한 지수다. 시청률이 낮게 나와도 화제성이나 영향력에서 뒤지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거론되는데 예를 들어 〈쇼미더머니〉(Show Me The Money) 같은 프로그램이 그렇다.




시청률보다 화제성 지수로 주목받은 Mnet 〈쇼미더머니〉 ⓒCJ E&M




 이런 상황에서 춤과 무용 아이템의 경우 시청률은 높지 않아도 화제성 지수에 승부수를 던질 수 있다고 보여진다. SNS를 활용하는 연령대가 일반 시청자들보다는 젊은 만큼 〈쇼미더머니〉처럼 화자가 될 수는 있다는 계산이다. 그럼 무용계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첫째, 자신의 안무작이나 공연작품의 영상을 확보해 놓는 것은 기본이다. 방송에서, 특히 TV 매체에서는 무조건 우선순위가 영상이다. 방송가에서는 ‘그림’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모든 방송원고는 그림이 확보된 위에 입혀지는 글이다. 글과 내용이 아무리 훌륭해도 그것을 뒷받침할 그림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게 방송의 생리다. 특히 TV매체의 영상이 점점 고화질로 향하면서 이제는 HD 시대를 넘어서서 UHD 시대를 향해 가고 있기 때문에 용량을 고려해 낮은 화질로 영상을 저장해 놓는 건 추천하고 싶지 않다.
 둘째,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 놓아야 한다. 현장에서 만나는 무용인들은 춤만 바라보고 살아온 순수영혼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자신이 출연하는 작품이나 자신이 안무한 작품의 저작권이나 이후 어떤 법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본인이 주장할 수 있는 영역이 어디까지인지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타방송국에 출연한 영상이나 자신의 안무작품 영상을 건네주지만 저작권이나 사용허가권이 무용인 본인에게 있지 않을 경우
본인이나 혹은 방송 제작팀이 그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일이 생긴다. 그런데, 대부분 30초 정도만 쓰더라도 백 만 원 단위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결국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방송 제작이 불발되거나 혹은 꼭 필요한 영상이 사용되지 못하기도 한다. 제작진의 팬심과 희생이 아니고서는 진행이 어렵다는 것이다. 한 가지 명심해야 할 부분이 있다. 아무리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더라도 제작진이 모두 애호가는 아니란 점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기획력이 중요해진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내게 보석 같고 구슬 같은 재능이 있더라도 그게 다 낱알로 흩어져 있다면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다. 작품을 구상하고 무대에 오를 때까지 하나의 줄 안에 꿰어져야 한다. 어떤 작품을 만드느냐 못지않게 그 작품을 어떤 식으로 홍보하고 최종적으로 그걸 통해 내가 어떤 예술가로 남느냐를 결정하는 일이다. 방송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작품을 알릴 때도 재료를 제작진들에게 던지고 ‘알아서 해주세요’가 아니라 내가 표현하고 싶은 방향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




방송국 부조정실 모습 ⓒ이단비




 무용수나 안무가들이 방송에 많이 등장하지 못하는 건, 이들에 대한 방송가의 정보 부족도 큰 이유가 된다. 믿기지 않겠지만 무용계에서는 스타급의 아티스트도 방송가에서는 ‘누구세요?’가 연발되기 일쑤. 심지어 해외에서 활동하는 유명 무용수를 주인공으로 기획 내용을 제출했을 때 이 사람이 누군지 모르니 현지의 다른 운동선수와 연결해서 함께 촬영하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어쩌다 춤에 관한 테마로 방송이 진행되더라도 대부분 방송가의 입맛에 맞게 ‘방송용 재료’로 본인들이 ‘사용’된다는 느낌 때문에 아티스트들이 불쾌해하는 경우도 많다. 현실은 이렇다. 파일럿 프로그램 하나에 다음 분기 자신들의 목숨 줄이 왔다갔다 하는 상황에서, 매일 아침 닐슨코리아에서 집계된 시청률 그래프를 성적표처럼 받는 방송가에서 아티스트를 아티스트 자체로 보고 제작할 수 있는 분위기는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무용계가 그런 것처럼 이곳도 전쟁터다. 그러니까 ‘내 작품을 이렇게 취급해?’ 라고 흥분하는 건 이제 그만. 나를 내놓는 건 결국 내 몫이다. 우선 이 플랫폼에 등장할 수 있도록 이슈를 만들어야 하고 자신과 자신의 작품을 가장 효과적으로 내어놓을 수 있는 방향은 스스로 만들어 가야 한다.

이단비
KBS, SBS를 시작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방송작가로 활동했으며 현재 MBC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작, 집필하고 있다. 발레를 비롯한 공연예술 다큐멘터리 제작과 집필에 매진하고 있으며, 발레와 무용 칼럼을 쓰면서 강연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
2019. 04.
사진제공_이단비, 한국콘텐츠진흥원, KBS, CJ E&M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