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현장
구조조정 속 공동기획 추진
방희망_〈춤웹진〉 편집위원 2021. 6. 유니버설발레단이 예술의전당과 〈돈키호테〉를 공동 제작하여 6월초 공연을 올린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단체 운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이번 공동제작 기획은 주목을 끄는 점이 있다. 또한 유니버설발레단은 37년 역사에도 불구하고 경영난 타개를 위해 자체적으로 구조 조정을 단행하였다. 이런 현안들과 향후 계획에 대해 유니버설발레단과 서면 인터뷰를 긴... |
춤의 전망, 반항의 형이상학
권옥희_춤비평가 2021. 6. ‘벚꽃 피는 순서대로’ 지방대가 문을 닫는다는 그 순서에 대구가톨릭대 무용학과가 들었다. 재학생(졸업생)들의 반발이 있었다. 시위도, 소란도 없이 소통을 통한 이들의 외곬이 ‘생활무용트랙’이라는 또 다른 춤 환경을 학교로부터 받아들었다. 이 환경은 시대(현실)에 따라 또 부침하겠지만 춤을 추고자 하는 학생들은 주어진 환경이 어떤 것이건... |
아동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 찾아가기
신채은·이슬기 2021. 2. 2005년을 시작으로 올해로 17회를 맞이한 ‘아시테지 겨울 축제’가 1월 6일부터 24일까지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다. ‘l’m still with you‘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 이번 축제는 코로나19로 집에 고립되어 지쳐있는 아동·청소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 팬데믹 상황을 고려하여 소수의 관객만 허용하는 대신에 이틀 ... |
장광열_춤비평가 2021. 1. 2020년 무용계의 키워드 하나를 꼽으라면 어떤 것이 선정될까? 2020년 대한민국 무용계는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전혀 경험하지 못한 다른 환경 속에서 일 년을 보냈다. 공연은 물론이고 교육 현장에서도 ‘언택트’ ‘비대면’ ‘무인’ ‘영상화’ ‘온라인’ ‘온택트’ ‘랜선’이란 단어가 어김없이 ... |
20년 세월을 마주한 LDP의 정기공연
김혜라_춤비평가 2021. 1. 코로나 2.5단계로 거의 모든 공연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고, 대면 공연은 30%만 허용되는 객석 상황에서 LDP(Laboratory Dance Project) 무용단의 스무 번째 정기 공연이 12월 11~13일 3일 동안(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9개의 작품을 선보였다. 20년 전 창단 때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창작물 중 단원들이 가장 기억하고 싶은 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