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현장
마당굿운동 50년의 전개와 한두레의 나아갈 길
채희완_춤비평가 2024. 12. 마당굿은 탈춤, 풍물굿(농악), 줄당기기(두레굿, 민속놀이)를 비롯한 전통사회의 마당판 민중연희를 총칭하기도 하고, 가까이는 1970년대, 80년대 대학가에서 일기 시작한 민속극부흥운동과 민중문화운동의 연희 매체들을 상징적으로 일컫기도 합니다. 그러기에 마당굿의 개념 안에는 위 종목 외에 무굿, 장승굿, 민요, 판소리, 시나위, 줄타기, 유랑연예, ... |
동무(同舞)와 이립(而立)
권옥희_춤비평가 2024. 12. 전통춤사위의 정중동은 대립면의 공존과 의존이라는 큰 틀 안에 있다. 전통춤의 이런 형식과 춤사위가 이루어지는 원칙은 상호의존 관계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전통춤은 상호관계를 통해서 드러나며, 고립적이지 않은 개방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전통춤협회 대구광역시지부’(지부장 추현주)가 주관하는 ‘대구전통춤문화제’(11월2일~3일, 봉산문화회... |
편집부 2024. 11. 돌이켜 보니, 춤은 나에게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감내케 해준 참선의 계기였습니다... 저의 일평생 예술 유람은 무용가 소임을 수행하는 역경의 서사시와도 같은 것이 되었습니다... 정통과 전통을 보듬고 국가무형유산을 이어 가는 전승자의 역할을 다하고자 합니다. - 인사말 / 〈인생 80, 채상묵 춤: 향〉 프로그램북 ... |
춤이 만들어낸 순간의 신기루, 삶의 진실
권옥희_춤비평가 2024. 11. 남원의 ‘서도역’, 아름다운 역사(驛舍)였다. 자신들의 삶을 자신들의 것이라 여기지 않고, 미래에 그들의 진정하고 빛나는 삶이 있다고 믿는 이들이 오고갔을 장소. 그들은 빛나는 삶을 살고 있을까. 시간 속으로 내려 앉은 이 작은 간이역에서 청춘의 약속과 희망은 물론, 그 고뇌까지 춤으로 그려낸 현대무용단 사포의 〈간이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