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현장

동무(同舞)와 이립(而立)

권옥희_춤비평가

2024. 12.

전통춤사위의 정중동은 대립면의 공존과 의존이라는 큰 틀 안에 있다. 전통춤의 이런 형식과 춤사위가 이루어지는 원칙은 상호의존 관계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전통춤은 상호관계를 통해서 드러나며, 고립적이지 않은 개방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전통춤협회 대구광역시지부’(지부장 추현주)가 주관하는 ‘대구전통춤문화제’(11월2일~3일, 봉산문화회...

편집부

2024. 11.

돌이켜 보니, 춤은 나에게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감내케 해준 참선의 계기였습니다... 저의 일평생 예술 유람은 무용가 소임을 수행하는 역경의 서사시와도 같은 것이 되었습니다... 정통과 전통을 보듬고 국가무형유산을 이어 가는 전승자의 역할을 다하고자 합니다.  - 인사말 / 〈인생 80, 채상묵 춤: 향〉 프로그램북   ...

편집부

2024. 11.

2012년 시작하여 2021년 12월 10주년을 맞이했던 관객참여형 감성치유프로젝트 〈당신은 지금 바비레따에 살고 있군요〉... 춤추는 여자들과 함께 뜨겁게 어우러져 열리고, 쏟아내며 하나가 되어가는 과정으로, 내 안의 아픔을 치유하는 예술적 체험의 장으로 하나의 어울림 판을 만든 〈바비레따〉는 기존 무용공연의 정형화된 틀을 벗어나, ...

춤이 만들어낸 순간의 신기루, 삶의 진실

권옥희_춤비평가

2024. 11.

남원의 ‘서도역’, 아름다운 역사(驛舍)였다. 자신들의 삶을 자신들의 것이라 여기지 않고, 미래에 그들의 진정하고 빛나는 삶이 있다고 믿는 이들이 오고갔을 장소. 그들은 빛나는 삶을 살고 있을까. 시간 속으로 내려 앉은 이 작은 간이역에서 청춘의 약속과 희망은 물론, 그 고뇌까지 춤으로 그려낸 현대무용단 사포의 〈간이역〉(...

중생 맘속, 뱃속의 걸신(乞神)을 배불리 먹이고 위로하는 제의

이지현_춤비평가

2024. 11.

시아귀식(施餓鬼食) 배고픈 귀신 아귀에게 먹을 것을 베푸는 의식. 불설구발염구아귀다라니경(佛說救拔焰口餓鬼陀羅尼經)에 따르면, ‘면연(面然)’ 또는 ‘염구(焰口)’라는 이름의 아귀가 석가모니의 제자 아난에게 나타나 “갠지스강 모래알만큼 무수한 아귀들과 바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