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프랑스 사람 눈에 비친 한국, 한국 사람

남영호_재불무용가

2022. 8.

그동안 30년 이상을 프랑스에 있으면서 프랑스인들에게서 한국에 대한 여러 가지 인상적인 관찰들을 듣게 된다. 그 말들을 새겨 듣고 다른 생각이 들 때도 없지 않았으나, 가급적 그대로 소개해본다. 그들의 우정어린 충고를 대하면서 어느새 애국자가 되는 나 자신을 느낀다, 자키 타파넬 안무가가 오래 전에 한국에 왔을 때 나에게 말했다. “한국에는 ...

다시 피어오르는 국제교류 속 한국 물결

박신애_코리아댄스어브로드 대표

2022. 8.

미친 듯이 비가 내렸다. 시원하게 쏟아지는 비에 두 달 동안 투어로 쌓였던 피로감도 씻겨나가는 것 같았다. 고요하고 한산한 낭트의 봄은 프랑스에서 일곱번째 큰 관광도시라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고즈넉했다. 마치 오랫동안 살고 있던 마을, 작은 회관에 주민들이 모여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듯 공연장을 찾아든 관객들의 온기와 정겨운 봄밤의 분위기는 오...

무엇으로 춤출 것인가

채희완_춤비평가, (사)민족미학연구소 소장

2022. 7.

사람은 왜 춤을 추는가. 이 질문은 사람은 왜 사는가라고 느닷없이 묻는 것처럼 당혹스럽지만 춤에 관한 가장 원초적이고 또 궁극적인 물음입니다. 살아 있기에 춤춘다. 그 물음에 그 답변이랄까, 허름한 듯도 싶지만 그 말 속엔 그 역(逆)으로서 ‘춤을 추기에 살아있다’는 뜻이 깊숙이 깔려있습니다. 그런 만큼 사람 사는 것과 춤추는 것...

진실은 숨어있다

남영호_재불무용가

2022. 7.

프랑스에서 느낀 프랑스 문화예술의 철학을 이론적이지 않은, 30년간 이곳 프랑스 프로계에서 직접 활동하면서 나 나름대로 분석한 개인적 의견을 공유하고 싶다. 내 자신도 이 프로세계에서 버티기 위해서는 이들을 관찰하고 분석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우리 분야가 특수분야이기 때문에 더 특수한 것들을 감안해야 했다. 프랑스 프로무용수로 있으면서 이 프...

파트너 축제가 두드린 헝가리의 진심

박신애_코리아댄스어브로드 대표

2022. 7.

뉴욕을 잠시 벗어나 최근 다른 곳에서 느낀 인상이 희미해지기 전에 잠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헝가리의 Monotánc Festival(모노탄츠 페스티벌)과 인연이 시작된 것은 2018년이다. 필자는 2017년부터 (사)한국현대무용진흥회의 해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2017년 한국현대무용진흥회의 주요 사업인 SCF(Seoul Internation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