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Abroad
관객을 조작하는 안무
정다슬_<객석> 유럽 통신원 2016. 04. 그간 공연 리뷰 등 몇 차례 <춤웹진>에서도 소개된 바 있는 독일 함부르크의 캄프나겔 공연장은 유럽의 내로라하는 무용단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유럽 현대무용의 메카이다. 영국의 아크람 칸, 호페쉬 섹터, 벨기에의 로사스무용단, 알랑 플라텔 등이 찾는 공연장으로, 아마 한국으로 치자면 LG아트센터나 예술의전당 정도의 공연장에 비유... |
캐나다 몬트리올 스튜디오 303의 사례
2016. 04. 캐나다의 문화유산부 장관 멜라니 졸리(Mélanie Joly)는 약 1,750만달러(한화 약 204억원)의 음악예술행사지원금 예산을 포함하여 지난 3월, 캐나다 건국150주년 행사를 위해 수억 달러의 정부예산을 지출했다. 캐나다는 예술산업에 대한 지원이 매우 후한 편이다. 하지만 지금 캐나다는 정부예산지출에 대한 장관의 결정권이 사라질 위... |
동시대 춤에 대한 진지한 실천
이지현_춤비평가 2016. 03. 한국 안무가들의 약진, 요코하마댄스컬렉션 2016 몇 년 전부터 눈에 띄게 요코하마댄스컬렉션 (Yokohama Dance Collection, 이하 YDC)에 한국의 젊은 안무가들이 왕성하게 참가하여 좋은 실적을 내는 흐름이 있었다. 이런 배경에는 SPAF의 신인 안무가 발굴 무대인 ‘서울댄스컬렉션’의 수상자를 서로 교류... |
소리 없는 연극, 팝뮤직과 셰익스피어의 만남
정다슬_<춤웹진> 독일 통신원 2016. 03. 과연 오늘까지의 현대무용 역사에서 지금처럼 다채로운 양상의 공연들을 볼 수 있었던 시대가 있었을까?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고, 누구나 무용수가 될 수 있는 시대, 무엇을 하든 현대무용이라고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지금이다. 거꾸로 말하면 우리는 오롯이 순수한 움직임에만 초점을 맞춘 공연을 만나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이... |
패기와 실험, 젊은 안무가들의 작품 집중 소개
이선아_재불 안무가 2016. 03. 얼마 전 처음으로 아비뇽의 겨울 모습을 보고 왔다.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얼마나 매섭던지, 주변에 간판이 날리거나 하는 모습은 아비뇽 겨울의 일상인 듯 보였다. 사람들로 붐비는 아비뇽 여름 축제의 모습과는 달리 조용하고 차분한 모습이었다. 이번에 아비뇽을 다녀온 이유는 아비뇽 겨울무용축제 ‘레 지베르날(Les Hivernal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