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인터넷에서 검색 가능한 영문자료를 만들어라
2014. 10. 오래 동안 아시아의 전통예술과 춤 작품 등을 네덜란드에 소개해 온 공연 프리젠터 에밀 바렌젠이 내한, 서울에 체류하며 한국의 공연예술 작품을 둘러보았다. 중국의 경극을 새롭게 각색해 유럽에 소개하기도 한 그는 국립무용단의 <토너먼트>를 보고 “성공하지 못한 실험”이라고 말했으며, 한국의 단체들이 ... |
춤작업에서 학문적 접근과 심미적 가치의 중요성
2014. 10. 인터뷰_권옥희 춤비평가 가을, 비가 내렸다. 이른 추석연휴가 막 시작되기 전인 9월3일, ‘장정윤 무용 30년’(부산문화회관 중극장) 공연이 있었다. 극장 로비는 차분하고 조용했다. 무대가 궁금했다. ‘그녀는 지금 어디에 가 있는가?’ <절영도>에서 장정윤(동아대교수)의 춤을 보면서 한 메모중의 ... |
지역 주민과 무용가 모두를 위한 예술공간으로 운영
2014. 10. 서울과 대구를 오가며 활동하는 중견 무용가가 대구에 소극장을 오픈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춤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인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춤 공간은 대구 지역 춤계의 활성화에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편집자 주) 인터뷰_장광열 <춤웹진>편집위원 장광열 다른 지역에 비해 춤 공간이 절대적으로 ... |
한국의 춤 작품 제값 받고 해외시장에 팔고 싶다
2014. 10. 춤 예술을 만들어 가는 주인공들로 우리는 대부분 안무가와 무용수만을 기억한다. 그러나 극장예술이자 공연예술의 한 장르인 춤 예술은 적지 않은 사람들이 제작 과정에 참여한다. 만들어진 작품을 유통시키는 일 또한 중요하며 작품을 태동시키는 단초를 제공하는 기획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춤웹진>은 한국의 춤 예술을 현장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또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