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새 정부 춤정책, 진단과 대안

2017. 12.

‘새 정부 춤정책, 진단과 대안’을 주제로 11월 16일 한국춤비평가협회가 주최한 포럼은 국내외적인 춤 사회의 흐름을 진단하고 한국 춤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 정부에서 수용해야 할 정책과 개혁과제를, 변화의 추이를 오래 동안 지켜보고 있는 춤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진단하고 제안하는 자리였다. 발제문(요약본)과 함께 토론회에서 나온 이야기들을...

김채현_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2017. 12.

■ 2017 한국춤비평가협회 포럼 발제 1   정부 문화정책은 왜 만족도가 낮았는가 - 새 정부 문화정책과 춤계의 시각 1. 100대 국정과제와 문화정책 전략  새 정부 출범으로 새 문화정책이 수립될 것이다. 그 전부터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여론이 비등했던 상황처럼 새 문화정책은 적폐청산과 함께 추진되는 중이다. 이런 정황에서 이전과...

장광열_춤비평가

2017. 12.

■ 2017 한국춤비평가협회 포럼 발제 2 한국 춤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혁과제  한국의 춤계가 요동치고 있다.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준비되지 않은, 검증되지 않은 제안들이 난무하고 있다. 공공 지원금을 받아 치루고 있는 몇몇 행사들은 기본성격을 망각한 채 소모적인 프로그램으로 전락했다. 오래 동안 연구되고 진단 된 중요한 아젠다들은 ...

김채현_춤비평가

2017. 12.

■ 포럼 후 발제자 기고춤 공공 정책 개입에 나서야 - 환골탈태 필요한 한국무용협회    한국춤비평가협회가 11월 중순에 열은 ‘새 정부 춤 정책, 진단과 대안’ 포럼에서 필자는 ‘정부 문화정책은 왜 만족도가 낮았는가: 새 정부 문화정책과 춤계의 시각’을 발제하였다. 발제문에서 필자는 정부 문화정책에 대해 만족도가 낮을...

송성아_춤이론, 부산대강사

2017. 12.

대한민국의 시·도립무용단은 해당 지역의 춤 창작과 춤 대중화에서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 적지 않은 무용수와 예산, 그리고 시설을 갖고 있는 이들 무용단의 작업은 그래서 주목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각기 다른 콘셉트로 공연한 대전·인천·부산광역시립무용단의 신작 무대를 모았다. (편집자 주)      한국적 소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