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2017. 03.

유니버설발레단의 창작발레 <심청>이 지난 2월 17일 발표된 제3회 예술의전당 예술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1986년 초연된 <심청>은 세계 12개국 40여개 도시 공연을 통해 독창성과 예술성, 흥행성을 인정받고 있다. 초대 심청 역을 맡았던 문훈숙 단장의 인터뷰와 국내외 리뷰를 통해 지난해 초연 30년을 맞은 발레 〈심청...

독창성과 보편성으로 무장된 춤상품

장광열_춤비평가

2017. 03.

 창작발레 〈심청〉(2001년 9월 6-9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평자 6일 관람)은 효녀 심청의 이야기를 다룬 한국적인 소재의 전막발레 작품이란 점에서 우리나라 직업 발레단들이 레퍼토리로 보유하고 있는 다른 전막발레 작품과 차별화된다.  이는 해외무대 진출 시 한국의 발레단만이 공연할 수 있는 독창적인 레퍼토리로 경쟁력을 가질 수 ...

신체와 신체의 매칭이 만들어내는 특별한 질감

장광열_춤비평가

2017. 03.

  확실히 한국의 춤 환경은 현저히 바뀌었다. 김보라는 그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안무가 중 한명이다.  김보라의 대표 레퍼토리가 된 〈혼잣말〉은 2011년 아르코공연예술인큐베이션 차세대 안무가에 선정되어 그 과정을 마치면서 마련된 쇼케이스 때 습작으로 선보였었다. 이듬해 작품을 다듬어 정식으로 공연했고, 2013년 ...

몰입하되, 연민하지 않으면서 여성의 대상성 벗기기

이지현_춤비평가

2017. 02.

  허성임이 2013년 발표한 〈Philia〉와 2015년 발표한 〈Nymf〉는 마치 연작 같은 느낌을 준다. 앞의 작품은 소녀시절 두 소녀의 우정과 성장을 생생한 감성으로 풀어 놓았고, 후자는 유치원 졸업사진이 걸려 있는 유리방 안에 임신한 몸이 되는 한 여자의 삶의 시간과 흐름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허성임은 몸으로...

촛불 민주주의 시대, 춤계 현안과 대안을 말한다

2017. 02.

 거국적으로 사회 각 부문에서 극심한 비정상과 적폐를 도려내어 헌법 정신에 충실한 국가와 정부를 회복해야 한다는 여론과 동시에 광장의 소망을 수렴하여 국가 시스템이 정비되고 공공 시책이 재편성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분출하고 있다. 춤계에서는 비정상과 적폐의 청산, 공공 시책의 재편성 여론이 이전부터 공론화되어 왔으며, 그 선상에서 보다 적극적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