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 |
국제이동이 예술가 창작활동에 미치는 영향
도널드 후테라_영국 더 타임즈 저널리스트 2013. 11. 레지던스에 울리는 목소리들 이런 시나리오를 상상해보자. 나는 고국에서 인지도가 어느 정도 있는 무용가(혹은 다른 분야의 아티스트)이다. 창조적인 힘으로 어느 정도 나 자신의 입지를 굳히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차차 그렇게 되어가고 있거나 이미 그런 식으로 인정을 받고 있을 수도 있다. 어느 날 전화 한 통이나 이메일이... |
우리는 하루살이 지식 감정 노동자
2013. 08 학생들의 감수성과 창의력 향상을 기치로 시작된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올해로 14년차를 맞았지만 여전히 완전한 안착을 이루지는 못했다. 현장에서 활동 중인 예술강사와 학교, 정부 및 기관의 정책을 대변하는 관계자는 물론 객관적인 시선으로 모두를 바라보는 문화기획자까지 한자리에 모였다. 서로 처지와 견해는 조금씩 다르지만 이 제도가 아직 완성형이 아니라... |
채희완 교수 고별 강의
2013. 07. 한국춤비평가협회 공동대표인 부산대 채희완 교수가 지난 6월 정년 퇴임 고별 강의를 가졌다. 채희완 교수는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무용과 교수 및 같은 대학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정년퇴임을 앞두고 있다. 미학자·비평가·탈춤 이론가로서 70년대 이래 탈춤 및 문화 운동의 지주로서 활동한 채희완 교수는 특히 지행합일(知行合一)의... |
[추모시] 무초(無草) 한상근을 보내며
춤벗 김태원 2013. 05. ──────── *시의 제목 앞에 붙여진 ‘무초’는 고 한상근의 첫 안무작 <무초(撫草)>(한자 제목 불명확)에서 따 의미를 변화시켜 ‘현실의 팍팍함에서 오히려 강한 생명력을 얻는’이란 뜻으로 내가 지었다. 생전의 고인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
故 한상근 선생을 기리며 - 어두운 구석까지 배회했던 외로운 전사
장광열 2013. 05. 먼동이 트는 새벽에 이 글을 씁니다. 갑작스런 영면 소식에 슬픈 마음 가눌 길 없어 며칠 동안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던 것은 선생이 우리 무용계에 남긴 흔적이 결코 녹녹치 않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선생은 전방위적으로 활동한 우리 무용계의 전사(戰士) 였습니다. 서울시립무용단에서부터 시작 창원시립무용단, 대전시립무용단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