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송성아

2013. 06.

 인간의 몸 그 자체가 표현의 수단(material)이 되는 춤은 인간의 개인적 ‧ 사회적 ‧ 우주적 삶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문화의 산물이다. 오늘날 문화는 과학 기술의 진보와 세계화(globalization)의 구호와 더불어 전 세계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 중이다. 여기서 지난 세대에 이미 이루어져 그 후로 계통을 이루어 전해지...

이순열 선생 춤비평에 대해

김태원 _ 춤비평

2013. 02.

 이순열 선생(1935년생)을 뵙기 시작한 것이 1987년 즈음인 것 같다. 당시는 1982년에 첫 조직된 ‘무용펜클럽’이 이름을 바꿔 ‘한국무용평론가회’로 개칭되면서 채희완 회장·김채현 간사를 축으로 춤평론가 모임이 정례화, 또 재조직되기 시작했을 때였다. 나는 그때 동료 이종호·김채현과 함께 신입회원이 되었다. 하지만 이때 선...

이만주_본회 회원 / 비평

2012. 05.

  “주제를 담는데 있어 특정 표현언어에 구애받지 않는다.” “나는 늘 새로움을 탐구할 뿐 과거에 집착하지 않는다.” 1990년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공연하기 전 기자회견에서 한 말들이다. 자기의 제자였다가 독립해나간 머스 커닝햄과 포스트모던 댄스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했다. “새 조류와 ...

김영희_본회 회원 / 우리춤 연구가

2012. 04.

 전통춤 공연이 다양한 이즈음, 전통춤 공연의 또 다른 볼거리는 ‘춤옷’이다. 춤옷을 어떤 디자인으로, 어떤 색의 어떤 질감으로 했느냐에 따라 춤의 느낌은 달라진다. 치마폭을 많이 잡거나 단촐하게 잡거나, 치마허리의 말기를 강조하거나 보이지 않게 하거나, 번지르르한 비단 느낌을 내거나 파스텔 톤의 자연색 무명 느낌을 내거나, 밝고 화사한 색...

김혜라_부산대 예술ㆍ문화와 영상매체 협동과정 예술학 박사 / 숙명여대 강사

2012. 04.

 다층적인 현대 춤의 이미지와 사유를 비평이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여 가치평가를 할 것인가. 또한 춤의 감성적인 정서를 어떻게 기술하여 독자와 매개시킬 수 있는가? 라는 비평적인 문제가 제기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한 방안으로서 춤의 게쉬탈트(Gestalt 형태지각) 분석을 통해 난해한 현대 춤의 현상적 경험과 정서적 의미를 비평 기술에 반영할 수 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