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춤의 공공성과 역동성 강화를 향하여

김채현_본 협회 공동대표 / 무용원 교수

2011. 11.

 2011년 8월 서울시민들은 사상 초유의 주민투표를 치룬 바 있다. 청소년들에게 무상급식을 어떤 범위로 실시할 것인지에 관해 시민들의 의사(意思)를 묻는 이른바 ‘무상급식 지원 범위에 관한 주민투표’는 투표율이 33.3%에 훨씬 미달함으로써 무효가 되었다. 무상급식 지원 범위의 제한을 전제로 이 투표를 발의한 서울시장은 투표 이전부...

창작공간의 새로운 전망을 위하여

김채현_본 협회 공동대표 / 무용원 교수

2011. 08.

창작 공간 개념이 변하고 있다. 서울시창작공간을 비롯 수도권의 몇 사례에서 그런 조짐이 뚜렷하다. 창작 발표 공간에 치중하는 일반적인 극장(혹은 공연장) 일변도의 개념에서 창작 준비 공간까지 아우르는 개념으로 창작 공간의 범위가 넓혀지는 경향을 보인다. 서울시창작공간, 인천아트플랫폼, 경기창작센터는 대표적 창작 공간으로 꼽힌다. 이들 공간은 모두 공공...

세실 샤프와 영국 민속춤 연구의 시원

서정록_본 협회 회원 / 춤문화사

2011. 08.

현재 한국에서 민속춤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작고한 고 정병호의 연구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지면을 통해서 나마 그분의 연구 업적을 기리고자 앞으로 5회에 걸쳐 민속춤 연구의 시발이 되었던 세실 샤프(Cecil Sharp, 1859 ~ 1924)와 영국 민속춤 민요 협회 (English Folk Dance and...

최승희 재발견 ⑥ 최승희 춤에 대한 1937년 봄의 리뷰

김영희_본 협회 회원 / 우리춤연구가

2011. 07.

  최승희는 1937년 12월의 도구(渡歐; 유럽 행)를 일찍이 준비했었고, 1937년 2월부터 4월까지 경성에서 이를 위한 일련의 스케줄들을 소화했었다. 자신의 모교인 숙명여전을 위한 모금공연도 있었고, 경성과 지방을 순회한 도구고별공연이 이어졌다.  신문은 대대적으로 이를 기사화했고, 잡지들은 최승희와의 인터뷰를 실었다...

최승희 재발견 ⑤ 순종의 왕후 윤비를 위로한 인정전 공연

김영희_본 협회 회원 / 우리춤연구가

2011. 06.

최승희는 1932년 4월 경성에서 ‘5회 신작발표회’를 마치고, 1933년 3월에 재도일하여 이시이 바쿠의 문하에 재입문하였다. 두 달 후 5월에 잡지사 레이죠가이가 주최한 ‘여류무용대회’에서 <에헤야 노아라>로 관심을 받았고, 1934년 9월 동경에서 ‘1회 신작발표회’를 통해 일본에서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