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무용예술의 서커스 감각 수용과 신체성 논의
- Rachid Ouramdane과 Compagnie XY의 「Möbious」를 중심으로 -

어수정

2024. 3.

초 록본 연구는 무용과 서커스가 융합되고 있는 현상에 대한 논의로서, 무용공연에서 서커스 요소를 수용하는 경향을 중심으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서커스 신체의 의미와 기능에 관하여 탐구한다. 공연에서 신체성의 개념과 아트 서커스의 부흥 요인에 관하여 기술하고, 현대무용에 서커스 신체가 수용된 사례로 라시드 우람단(Rachid Ouramdane)과 XY컴퍼...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에 비추어 본 춤 퍼포먼스의 장

송아름

2024. 3.

초 록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을 바탕으로 춤 퍼포먼스에서 무용수와 수용자 간에 소통이 존재함을 살펴보고 그것의 원리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춤 퍼포먼스의 사례로서는 윌리엄 포사이드의 작품 <헤테로토피아>를 제시함으로써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이 구체적인 춤 퍼포먼스에서의 말없는 소통을 설명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1970, 80년대 민속극 부흥운동과 대학사회 민족민중문화운동 *

허용호_전 한예종 교수

2023. 7.

1. 대학 탈춤부흥운동의 고찰 구도 2. 1970, 80년대 대학 탈패 활동의 연대기 3. 대학 탈춤부흥운동 고찰의 열쇠어 제안과 과제 1. 대학 탈춤부흥운동의 고찰 구도 이 글의 성격 혹은 수준을 말한다면 그야말로 시론의 시론이다. 아니 시론을 위한 준비 작업, 메모 나열에 그친다. 그 이유에 대해 상투적인 게으름이나 역량 부족을 말하고 ...

20~21세기 한국의 민속극부흥운동과 학생운동, 정치사회운동

김사열_경북대 명예교수

2023. 7.

1. 머리글: 문화-정치 사이 상호작용하는가? 2021년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개도국’에서 소위 ‘선진국’으로의 위상 격상이 공식 인정되었다. 구체적으로, 2021년 7월 2일 개최된 제68차 유엔무역개발회의(이하 UNCTAD) 무역개발이사회 폐막 세션에서 한국을 A그룹(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B그룹(선진국)으로 지위 변경하...

21세기 초 전통춤 공연현장:
새 개념 설정ㆍ범주화가 필요하다

김영희_전통춤이론가

2023. 5.

1. 문제 제기 현재 전통춤 공연은 활발하다. 전통춤 관련 기관의 공모나 기획공연, 국공립무용단의 상설공연 뿐만이 아니라, 각 보존회 정기공연, 일반 무용단체나 개인이 주최하는 공연 등에서 다양한 기획의 전통춤 공연들을 볼수 있다. 그렇게 전통춤 공연이 끝나면 무용가들과 관객들은 공연의 완성도 뿐만이 아니라 전통춤에 대한 여러 가지 사안들을 담화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