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1970, 80년대 민속극 부흥운동과 대학사회 민족민중문화운동 *
허용호_전 한예종 교수 2023. 7. 1. 대학 탈춤부흥운동의 고찰 구도 2. 1970, 80년대 대학 탈패 활동의 연대기 3. 대학 탈춤부흥운동 고찰의 열쇠어 제안과 과제 1. 대학 탈춤부흥운동의 고찰 구도 이 글의 성격 혹은 수준을 말한다면 그야말로 시론의 시론이다. 아니 시론을 위한 준비 작업, 메모 나열에 그친다. 그 이유에 대해 상투적인 게으름이나 역량 부족을 말하고 ... |
20~21세기 한국의 민속극부흥운동과 학생운동, 정치사회운동
김사열_경북대 명예교수 2023. 7. 1. 머리글: 문화-정치 사이 상호작용하는가? 2021년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개도국’에서 소위 ‘선진국’으로의 위상 격상이 공식 인정되었다. 구체적으로, 2021년 7월 2일 개최된 제68차 유엔무역개발회의(이하 UNCTAD) 무역개발이사회 폐막 세션에서 한국을 A그룹(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B그룹(선진국)으로 지위 변경하... |
21세기 초 전통춤 공연현장: 새 개념 설정ㆍ범주화가 필요하다 김영희_전통춤이론가 2023. 5. 1. 문제 제기 현재 전통춤 공연은 활발하다. 전통춤 관련 기관의 공모나 기획공연, 국공립무용단의 상설공연 뿐만이 아니라, 각 보존회 정기공연, 일반 무용단체나 개인이 주최하는 공연 등에서 다양한 기획의 전통춤 공연들을 볼수 있다. 그렇게 전통춤 공연이 끝나면 무용가들과 관객들은 공연의 완성도 뿐만이 아니라 전통춤에 대한 여러 가지 사안들을 담화한... |
한국 궁중춤에서 남면(南面)의 의미와 전승
서정록_춤연구가 2023. 5. Ⅰ. 서론 무대 위에서 연출되는 궁중춤 공연을 관람하면, 무대 배경에 궁궐이라는 장소를 나타내거나 혹은 그것을 관람하였을 인물인 왕이나 왕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나 그림들이 종종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이미지로, 장소를 강조할 경우 궁궐의 대표적인 건물인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이, 후자의 경우 임금을 상징하... |
전통춤 구성의 체계적 규명은 어떻게 가능한가
송성아_춤비평가 2023. 5. 1. 들어가며 오늘 우리는 과학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함께 문명 변화를 직면하고 있다. 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객체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더불어 주체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전통춤 연구는 인간의 다양한 삶의 방식 및 소산 일체로 정의되는 문화 정체성 탐구의 일환으로, 급변하는 세계 속에 한국 문화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