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디지털 퍼포먼스에서의 로봇 존재론 연구

한석진

2022. 2.

Ⅰ. 서 론Ⅱ. 인간과 기계의 존재론을 둘러싼 철학 담론Ⅲ. 현존에 대한 퍼포먼스 담론 Ⅳ. 디지털 퍼포먼스에서의 로봇의 현존Ⅴ. 결론참고문헌Abstract​I. 서 론인간의 가치와 주체를 강조하는 철학적, 윤리적 태도로서 휴머니즘은 인간의 존재 방식과 사회질서 기준을 규정했다. 특히 자유주의 휴머니즘은 이성적 사고가 가...

발레계의 블랙페이스 / 옐로우페이스 논쟁 연구

정옥희

2022. 2.

I. 서론 II. 인종주의와 피부색 III. 발레계의 인종주의에 대한 학문적, 행동주의적 성찰 IV. 블랙페이스/옐로우페이스 논쟁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I. 서론 2020년 11월 국립발레단은 〈해적 Le Corsaire〉(재안무: 송정빈, 각색: 강다영)을 재공연하면서 성착취와 노예제의 설정을 없애고 작품의...

변동하는 문명과 춤

2021. 12.

□ 춤꾼과 기계 (최찬열)□ 언택트 시대의 춤: 몸과 현존의 시학 (김명현)□ 전통춤 형식론 수립의 필요성 (송성아)  일시: 2021년 11월 25일 오후 3시장소: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지하 다목적홀 

춤꾼과 기계

최찬열_춤비평가

2021. 12.

공연과 지각 에리카 피셔 리히테의 퍼포먼스 이론에서 공연은 일차적으로 신체적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신체를 매개로 형성된 공연은 “집중된 지각의 공간”1)을 형성한다. 신체와 신체가 무매개적으로 만나 관계를 이룰 때 공연은 독특한 지각적 배치체로서 성립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공연에서의 관계는 고정적이거나 안정적이지 않다. 그것...

언택트 시대의 춤: 몸과 현존의 시학

김명현_춤비평가

2021. 12.

코로나19 팬데믹 재난 상황은 무용의 현장을 위협하고 있다. 단순히 공연예술 시장이 위축되어서가 아니라 몸들이 만나는 대면의 장을 축소하고, 비대면이 활성화되면서 몸들 사이에 분리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몸을 표현의 주체이자 대상으로 하는 무용에서 몸들의 분리는 무용이 제작되는 환경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몸의 예술인 무용 자체의 변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