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전통춤 형식론 수립의 필요성
송성아_부산대학교 학술연구교수 2021. 12. 1. 전통춤 연구의 성과와 한계 이 땅의 문화자산 중 하나인 전통춤은 일련의 유형화된 틀을 가지며 전승된다. 전승의 기본 틀인 이것은 개인의 창조물이 아니라, 끊임없는 자기비판과 검증의 거친 육체적‧공동체적 인식과정의 소산이다. 특히 집단적 인식과정을 통해 행위자와 관객 모두가 익히 아는 전장된 전형1)이 되고, 이것을 중심으로 춤은 쉽게 소... |
김영희_전통춤이론가 2020. 2. 전통무용(傳統舞踊), 전통(傳統)춤이란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했던 것일까. 이 용어는 ‘전통(傳統)’에 무용 또는 춤을 합한 용어이다. 전통은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관습·행동 따위의 양식을 말한다. 우리 문화에서 외래에서 수입된 새로운 것에 대... |
![]() |
2018. 01. 가작 입선: 이상헌(李相憲) 춤작품론: 창작춤 〈paradox〉 – 아감벤의 잠재성 개념으로 본 순수한 춤의 가능성 춤작가론: 허경미 – 〈진화〉의 춤 길에서 〈外치다〉 ■ 수상소감 84년이었던가? 처음 춤 공연을 본 후 20년 정도를 무대미술로, 10여년은 기획자로 홀린 듯 춤판 주위를 서성였습니다... |
이시이 바쿠의 신무용과 한국 유입 알려진 것과 다르다
김채원_춤비교연구가 2017. 07. 필자가 일본에서 귀국한 이후 국내의 무용관련 학술서와 보고서 등을 접하면서 꽤 오랫동안 바로잡지 못한 채 학계에서 펼쳐지고 있는 여러 주의주장들을 보고 있노라면 안타까움을 통감할 때가 종종 있다. 그 하나로 이시이 바쿠의 표현주의 춤세계와 관련한 기록들이다. 국내에서는 이시이 바쿠(石井漠)가 독일에서 표현주의를 접하고 이를 수용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