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기억해야 할 몇 가지 춤 예술적 성취
김태원_춤비평가 2014. 09. 지난 7월 12일 지방에서 불의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중진 남성무용가 정재만(1948년 경기도 화성 출생)은 많은 이들에게 주로 전통무용가로 알려져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애주와 함께 은사 한영숙의 춤유산을 이어받아 2000년 중요무형문화재 27호 <승무>의 예능보유자가 되었고, 그 스... |
조선 출신 발레무용가 시마다 히로시의 삶과 예술
김현서_연낙재 객원 연구원 2014. 09. 조선 출신 발레무용가이자 일본무용계의 대부로 군림한 시마다 히로시(白成珪. 1919~2013)의 1주기를 기념하는 학술세미나가 8월 8일(금) 오후 4시 연낙재 세미나실에서 개최되었다. ‘식민지 시대 고독한 예술가의 초상, 조선 출신 발레무용가 시마다 히로시의 삶과 예술’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한국근대춤연구회... |
![]() |
김수악의 진주교방 굿거리춤을 중심으로
손인영_경희대학교 강사 2014. 09. * 본 논문은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 72권 1호에 게재된 내용임 Ⅰ. 서론 Ⅱ. 창조의 시원으로서의 무(無) 1. 노자의 ‘무(無)’와 그 창조성 2. 무명(無名), 무형(無形)의 도(道) 3. ‘황홀’의 경지로서의 도(道) Ⅲ. 무(無)의 관점에서 살펴본 즉흥과... |
다각적 조명 통한 과제 도출, 논점 빗나간 라운드 테이블
김혜라_춤비평가 2014. 07. 한성준 선생의 140주년 탄생을 기념하는 제1회 대한민국전통무용제전(2014년 6월 12-15일 아르코예술극장대극장)과 국제학술심포지엄(2014년 6월 13일, 10-17시)이 진행되었다. 국제 학술 심포지엄(연낙재 주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2강의실)은 한성준의 업적을 다각도에서 재조... |
![]() |
‘춤 축제’ 거듭나기 - 춤추는 人間과 춤추는 空間 (일탈, 공동체, 몸·경험)
이지현_춤비평가 2014. 06. 1. 컨템포러리 주체과 축제 당신의 몸은 안녕하신가? 우리는 먼저 자고 일어나면 그것을 물어야 한다. 자고 일어나면 밤새 무사하지 못한 몸들의 뉴스가 넘쳐난다. 내 몸이 내 것인 줄 알고 사는 것은 이미 순진을 넘어 무지에 가까운 착각이다. 푸코가 오래 전 말한 대로 몸은 일상적인 관습과 권력조직의 연결고리 이기에 권력은 몸을 통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