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김수악의 진주교방 굿거리춤을 중심으로

손인영_경희대학교 강사

2014. 09.

* 본 논문은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 72권 1호에 게재된 내용임 Ⅰ. 서론 Ⅱ. 창조의 시원으로서의 무(無)  1. 노자의 ‘무(無)’와 그 창조성  2. 무명(無名), 무형(無形)의 도(道)  3. ‘황홀’의 경지로서의 도(道) Ⅲ. 무(無)의 관점에서 살펴본 즉흥과...

다각적 조명 통한 과제 도출, 논점 빗나간 라운드 테이블

김혜라_춤비평가

2014. 07.

​      한성준 선생의 140주년 탄생을 기념하는 제1회 대한민국전통무용제전(2014년 6월 12-15일 아르코예술극장대극장)과 국제학술심포지엄(2014년 6월 13일, 10-17시)이 진행되었다.  국제 학술 심포지엄(연낙재 주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2강의실)은 한성준의 업적을 다각도에서 재조...

‘춤 축제’ 거듭나기 - 춤추는 人間과 춤추는 空間 (일탈, 공동체, 몸·경험)

이지현_춤비평가

2014. 06.

 1. 컨템포러리 주체과 축제  당신의 몸은 안녕하신가? 우리는 먼저 자고 일어나면 그것을 물어야 한다. 자고 일어나면 밤새 무사하지 못한 몸들의 뉴스가 넘쳐난다. 내 몸이 내 것인 줄 알고 사는 것은 이미 순진을 넘어 무지에 가까운 착각이다. 푸코가 오래 전 말한 대로 몸은 일상적인 관습과 권력조직의 연결고리 이기에 권력은 몸을 통해 ...

무용축제를 통한 지역공연장 발전 방안

성무량_대전예술의전당 기획제작팀장

2014. 06.

들어가는 말 포럼의 제목부터가 상당히 야심차서 과연 여기에서 결론이 도출 가능한 지가 우려된다. 지역 공연장 에서 이년여 일해 본 경험에 비추어 본다면, 이것은 그리 만만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지역 극장 포지셔닝을 할 때에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원론적인 차원에서 살펴보고 자 한다. 지역 공연장의 발전방안은 주...

공연예술축제의 역할과 지역사회 - 국내외 사례 중심 -

김신아_아트프로듀서

2014. 06.

사람의 얼굴 생김새만큼이나 다양한 축제들. 주제도, 전개방식도, 내용도 각양각색이다. 즐겁자고 하는 축제에 춤과 음악은 기본으로 들어간다 치고 토마토 축제도 있고 맥주 축제에 카니발도 수 없이 많으니 피곤한 일상을 내려놓고 한번쯤 푹 빠져보고 싶지 않은가? 그런데 이렇게 셀 수도 없이 많은 축제들이 가진 공통점이 하나 있으니 “뭐건 들고 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