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 |
부산·영남지역춤의 생태문화적 특성
이병옥_용인대 명예교수. 춤비평가 2015. 03. Ⅰ. 머리말 부산은 우리나라 현재 서울 다음으로 거대한 2대 도시이며, 영남권 제일 도시이며, 해양도시이며, 동해안과 남해안의 꼭지점 도시이며, 일본에 가장 가까운 도시이며, 근대사에서 볼 때는 6.25 한국전쟁시 임시수도로 전국 피난민들의 정착지였으며 정치경제문화의 중... |
![]() |
우리 시대의 문화전문지들
김태원_춤비평가 2015. 02. 1970년대와 지적 변혁기: 문학계간지들과 『연극평론』·『한국연극』·『춤』 문학평론가 백철(白鐵, 1908~1985)의 「신문화 형성에 영향 미친 잡지들」이란 긴 길이의 논고는 1908년에 발간된 최남선의 『소년』지와 1914년에 발간된 『청춘』지란 한국잡지의 현... |
![]() |
송범 춤여정에 나타난 예술적 성향과 무용사적 의의
이병옥_춤이론. 용인대 명예교수 2014. 11. 1. 들어가는 말 송범은 20세기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우리 무용계에서 한 가지만 성공해도 명예로울 시절에 여러 가지의 명성과 직책을 한 몸에 안은 무용가이다. 그는 조택원, 박용호, 장추화 등 훌륭한 스승들을 만나 한없이 춤을 배웠고, 또 추었으며, 무용계의 선망인... |
기억해야 할 몇 가지 춤 예술적 성취
김태원_춤비평가 2014. 09. 지난 7월 12일 지방에서 불의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중진 남성무용가 정재만(1948년 경기도 화성 출생)은 많은 이들에게 주로 전통무용가로 알려져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애주와 함께 은사 한영숙의 춤유산을 이어받아 2000년 중요무형문화재 27호 <승무>의 예능보유자가 되었고, 그 스... |
조선 출신 발레무용가 시마다 히로시의 삶과 예술
김현서_연낙재 객원 연구원 2014. 09. 조선 출신 발레무용가이자 일본무용계의 대부로 군림한 시마다 히로시(白成珪. 1919~2013)의 1주기를 기념하는 학술세미나가 8월 8일(금) 오후 4시 연낙재 세미나실에서 개최되었다. ‘식민지 시대 고독한 예술가의 초상, 조선 출신 발레무용가 시마다 히로시의 삶과 예술’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한국근대춤연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