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구성에서 편차를 보인 창작산실의 춤들

김채현_춤비평가

2025. 4.

2024 창작산실의 일환으로 올려진 99아트컴퍼니의 〈피안의 여행자들〉은 먼저 두어 가지 특기할 바가 있다. 먼저 서아프리카 나라 부르키나파소의 악사와 무용인이 이 공연의 협력자로 참여한 점이다. 해외 협업이 일상화되는 글로벌시대에도 서아프리카는 아직 낯설기도 하다. 그리고 공연을 주도한 소재로서 제례(祭禮·rite)는, 과문의 탓인...

춤공연의 ‘관객 친화적 되기’의 성공작

이지현_춤비평가

2025. 4.

2025년 서울시발레단을 위한 〈Deca dance〉(2025. 3. 14-23. 세종M씨어터. 8회 공연)는 1993년 〈Anaphaza〉부터 최근인 2023년 〈Anafase〉까지 약 30년 동안의 오하드 나하린(Ohad Naharin 이하 오하드) 작품 중 8개가 중심이 되어 공연되었다. 원래 이 작품은 2000년 바체바...

개인의 고유성과 지역성이 소거된 일률적인 춤

김혜라_춤비평가

2025. 4.

아시아 무용교류 확대를 위한 국립현대무용단의 DMAU(Dance Makes Asia become the Unirverse) 프로젝트는 의미 있다. 그 일환으로 작년에 이어 두번째 작업인 〈인잇: 보이지 않는것〉(3.21~23. CJ토월극장)은 보이는 몸(아시아 무용수들)을 통해 보이지 않는(unseen) 무엇을 보여주겠다 말한다. 그러나 작품...

장광열_춤비평가

2025. 4.

치밀했다. 정밀하게 계산된 구성도 구성이지만 무엇보다 댄서들의 작품에 대한 해석력과 표현력, 그리고 집중력은 대단했다. 〈꿈의 극장〉(성남아트센터, 2월 14~15일)에서 안무가와 댄서들의 기막힌 매칭은, 몸을 매개로 하는 무용수들의 탄탄한 앙상블로 무대 위에 구현되었고, 음악, 조명과의 성공적인 협업은 극장예술로서 무용의 변별력을 극대화했다...

어둠의 방에서 파헤친 소외

김채현_춤비평가

2025. 3.

소외가 그득한 사회에서 소외는 개인들의 특별한 감정 상태로 여겨지기 일쑤이다. 이럴 경우 소외는 개인 성격의 소치로 치부될 뿐 사회적 병리로 인식되기 어려워진다. 소외는 근대 이후 등장한 개념이다. 근대 산업 사회의 화폐상품 경제 속에서 인간이 자신과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은 소외로 개념화되었다. 사회 속 고립, 고독으로서 소외는 개인과 소집단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