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진솔한 몸짓 넘어 과감한 변용 필요
김혜라_춤비평가 2014. 08. 창세기 3장 말씀 아담과 하와에 등장하는 사과는 뱀의 모략에 넘어간 인간 타락의 서장을 연 열매로, 하나님과 같아질 것 같은 누구나 현혹될 말한 갈등의 상징물이다. 종교적으로는 인간 원죄의 문제, 철학적으로는 인간 본성의 문제 그리고 예술적으로는 인간 욕망의 소재로 아담의 사과는 다각적으로 은유되고 있다. 선악과인 사과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지... |
편차 큰 작품성, 몇 개의 수작들
방희망_춤비평가 2014. 08. ‘평론가가 뽑은 젊은 무용가 초청공연 2014’ 시리즈는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무대에서 30분 전후 길이로 안무된 총 9편의 작품- 이영일의 〈Safari 2〉, 박종현의 〈She is cold〉, 이루다의 〈EGO〉(7월6-7일), 김보라의 〈Thank you〉, 이동원의 <기억력 테스트>... |
생명과 지속성에 대한 사유
권옥희_춤비평가 2014. 08. 자신이 괴물이 된 것도 모른 채 괴물로 살아가는 이들이 있다. 그들로 인해 우리는 어이없는 죽음을 목격해야했다.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아프다. ‘므네모쉬네’의 샘물을 마셔야 하나, ‘레테’의 샘물을 마셔야 하나. <천개의 바람>(꿈꾸는 시어터, 7월 12일) 공연에 앞서 안무자 오레지나(대구가톨릭대 교수... |
고통을 춤의 언어로 들어 올리는 힘
권옥희_춤비평가 2014. 08. 추현주가 안무한 <스물일곱송이 붉은 향기>(대구예술발전소 수창홀, 7월 19일)는 스물일곱의 나이에 죽은 조선중기의 여인 허난설헌을 소재로 만든 작품이다. 허난설헌이라…. 겉으로는 잔잔하나 속으로는 깊은 고통과 비애가 있고, 고통의 큰 뿌리와 작은 뿌리에 구분할 수 없이 엉켜 있는 언어로 시를 쓴 여인. 그 시대 여성의 ... |
柔道의 예술 ‘되기’(becoming) - 저항과 창조의 관점에서
이지현_춤비평가 2014. 07. * LIG문화재단 계간지 〈interVIEW〉 31호 게재글 우리는 남과 다르면 불안을 느끼는 존재인 동시에 근원적으로는 남과 다르기를 바라면서 남과 “차이를 생성하려는 의욕”을 가진 “욕망하는 기계”이다. 말하자면 스스로 매 순간 달라지기를 바라고 그러도록 노력하며 이 과정을 종결 없이 하도록 되어 있는 운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