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일상적인 현실의 꺼풀 초월하기
권옥희_춤비평가 2014. 01. 창작자는 머물러 있는 것에 불안을 느껴야 한다. 다른 곳으로 가고 싶어야 한다. 누군가는 가라고 재촉하고, 한편으로는 여기에 머물라고 강요하는 무언가도 있다. 새로운 시도로 인한 고독의 무게가 자신을 짓누르기도 할 것이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12월 대구, 30대 초 중반의 세 안무가 작품이 연이어 무대에 올랐다. 의도치 않게 이들의 작품을... |
What should remain, when we go?
Andrea K. Schlehwein 2014. 01. A question that we who live ask ourselves rarely. It becomes the task of those who stay behind to grapple with our (artistic) legacy: to put it in order, to apportion it, and keep remembrance a... |
참신한 작가정신의 뚜렷한 한 점과 한국 창작춤 부활의 신호탄
이지현_춤비평가 2013. 12. 제34회 서울무용제(2013. 10. 29 – 11. 17.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가 20일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말하자면 서울무용제는 요즘처럼 축제의 무대가 많지 않았던 시절, 요즘처럼 지원금이 풍부하지 않았던 시절 무용작품을 만들어 무대에 올릴 수 있는 몇 안되는 기회의 중심이었고 그래서 1년에 한번 대극장용 창작품으로 무용계를 모아낼 수... |
상처로 숨을 쉬는 법
권옥희_춤비평가 2013. 12. 부조리한 세계에 대한 의심에서 출발하여 작은 해프닝을 블랙유머(?)로 확장시킨 <증발(INTO THIN AIR)>(토월극장, 11월 22~24일, 23일 공연 관람). <증발>. 진부한 주제를 진부하게 풀어낸 무대였다. 특히 시작부분 무용수들이 차례로 등장, 무대 앞에 한 줄로 늘어앉아 자신을 소개하는 구성과 각자의 대... |
신과 천재의 영역을 현대의 기술력과 상상력으로 이어가다...
김혜라_춤비평가 2013. 12. 피아 메나르의 <푄의 오후>와 <소용돌이>는 안무의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퍼포먼스 성격이 강했다. “초현실 vs 리어리티”라는 주제로 2013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에서 공연된(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10월 19~22일) 이 두 작품에 대해 피아 메나르는 방법론적으로는 유사하게 접근하였지만 지향점은 각기 다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