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차이는 또 다른 춤의 생성을 이끌고
권옥희_춤비평가 2012. 01. “이 길과 똑같은 길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어. 세상의 길은 모두 다르니까.” 구스 반 산트의 영화 『아이다호』에서 마이크는 모든 길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사람들의 얼굴처럼 모두 다르다고 말한다. 가만 생각해보면 길뿐만이 아니다. 춤공연도 마찬가지다. 무용수, 무대 등 언뜻 보면 같지만 늘 다른 얼굴을 하고 관객을 맞는다. 같아 보이지... |
대중성과 작품성에 더한 커뮤니티 감각
김채현_춤비평가 2012. 01. 서울발레시어터가 1995년 창단할 때 올린 작품은 제임스 전 안무의 ‘현존(Being) 1’이었다. 1998년 ‘현존(Being)’은 3부작으로 완성되어 2002년까지 국내에서 수시로 올려졌다. 일반적으로 ‘현존’은 고전발레 일변도의 국내 발레를 한 꺼풀 벗기면서 진일보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2011년 하반기에 개관한 강동아트센... |
![]() |
일상에 놀이가 쏟아질 때
김채현_춤비평가 2012. 01. 홍은예술창작센터(이하 홍은센터)의 ‘시즌 2 춤, 열다’ 가운데 주정민과 조희경은 그곳의 옥외 공간을 무대로 춤을 펼쳤다(10월 22~23일 저녁). 서울 북서지역 주택가에 위치한 홍은센터는 옛 서부도로교통사업소 건물 내부를 리모델링한 공간으로, 과거 관공서들이 대개 그러했듯 기다란 2층짜리 본관 앞뒤로 마당이 있다. 두 안무가 모두 마당을 옥... |
![]() |
일상 속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네 개의 시선
장광열_춤비평가 2011. 12. 한 무용단이 일정한 유형의 공연을 정기적으로 마련하면서, 그 같은 기획에 별도의 타이틀을 붙이는 것은 그리 흔한 일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KUM Dance Company의 “묵간”(墨間) 시리즈는 13번째라는 연륜에서 보듯 지속적인 공연을 통해 그동안 적지 않은 젊은 무용인들에게 춤 창작 작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우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