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빛과 몸, 소리와 공간의 연금술
정옥희_춤비평가 2023. 11. 맨발걷기가 열풍이다. 맨발로 걸으면 혈액순환도 되고 스트레스도 줄여주며 심지어 암도 나았다는 간증에 맨발걷기시민운동까지 생겨났다. ‘어씽’(earthing)이라는 낯선 개념이 도입된 지 얼마지 않아 맨발걷기 인파가 공원과 숲, 왕릉을 빠르게 잠식하는 걸 보면 현대인의 종교는 건강인 듯하다. 하지만 땅과 연결된다는 게 그저 건강의 수단일까? 접... |
너무 움직이지 않는 삶을 제안하는 춤 공연 한국춤의 동시대성을 추동하는 젊은 춤꾼들(5) 최찬열_춤비평가 2023. 11. 모든 것이 변화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에 있는 시대다. 어지럽게 변화하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정세 속에서 우리는 언제나 스피드를 요구받는 삶을 살고 있다는 말이다. 또한 시대가 요구하는 이런 속도감에 피로감을 느끼고, 매일매일의 업무나 잡일에 쫓기며 어느새 자신을 잃어버리는 사람도 수두룩하다. 그러기에 시대가 강요하는 빠른 속도에 반하여 자신만... |
상투적 자기인용 그리고 공공무용단의 책임
김채현_춤비평가 2023. 10. 국립현대무용단 초빙으로 안은미가 안무한 〈여자야 여자야〉는 한국 근대 신여성을 위한 헌사(獻詞)이다(국립극장 하늘극장, 8. 24~27.). 이 신여성에는 모던걸을 비롯하여 당대에 깨인 의식으로 세상 속 자신을 자각하고 몸부림친 여성들이 포함된다. 이번 공연을 접하고서 한번 짚어보니 신여성의 자기 각성을 역사적 현상으로서 춤화한 춤 공... |
균형감 있는 협업, 예술적 적정성은 모호
김혜라_춤비평가 2023. 10. 최근 학교 폭력과 공교육 현장의 붕괴는 사회적 이슈이다. 어린시절 사회성과 약자에 대한 배려를 길러야 할 교육현장에서 벌어지는 학교폭력은 그렇기에 더더욱 우리가 경각심을 가지고 바라봐야 할 문제이며, 최근 묻지마 폭력 같은 사회문제도 어찌 보면 어린시절 학교폭력이나 사회적 왕따 등 교육과 무관치 않을 수 있다. 김성훈의 신작 〈GRIMENTO... |
춤 작품에서 춤이 보이지 않는다
정옥희_춤비평가 2023. 10.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국내초청작인 최수진의 〈Alone〉(9월 9-10일, 대학로 쿼드극장)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예술과기술융합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작품이다. Chat GPT가 생성한 텍스트와 AI 음악생성프로그램 Mubert가 생성한 음악, 그리고 이제는 상당히 대중화된 기술인 프로젝션 맵핑 등이 활용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