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한국춤의 동시대성을 추동하는 젊은 춤꾼들

최찬열_춤비평가

2023. 6.

지난 4월 열렸던 제37회 한국무용제전의 대주제는 ‘Ecology 춤, 상생의 관점’이었다. 이는 오늘의 춤이 지속 가능한 지구와 서로 공존하면서 살아가는 인류의 삶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타진하면서, 아울러 춤의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는 일이리라. 여기에 부합하게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코튼홀 소극장에서 각각 ...

은유와 오브제를 통한 춤의 확장

장광열_춤비평가

2023. 6.

만만치 않았다. 메시지의 강도, 오브제의 활용, 소극장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댄서들의 움직임 조합과 조형미 구축까지, 작품의 여운은 꽤 오래 지속되었고 안무가의 감각은 범상치 않았다. 안무가들의 새로운, 이미 공연된 작품 중 수작(秀作)이라고 평가받은 작품을 만나는 데 대한 설렘은 춤 비평가들이 먼 거리를 마다않고 공연장을 찾는 이유 중...

납득하기 어려운 구성 vs. 객석의 공감대

김채현_춤비평가

2023. 5.

‘올해의 신작’ 사업은 창작력 증진에 초점을 맞춘 목적 사업이다. 사업의 효율성을 진작할 방안을 춤계가 머리를 맞대고 모색해야 할 것이다. 사업의 결과에 대해 여러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데, 이 문제를 풀어야 할 주체는 춤계가 아닐 수 없다. 문화예술위가 주관하는 사업이라 하지만 춤 작품의 속성과 동향에 대해 전문성을 갖추었다 보기 어려우므로 ...

원시적 노스탤지어를 위한 ‘해오름 프로젝트’

김혜라_춤비평가

2023. 5.

국립현대무용단(이하 국현)이 제작하고 황수현이 안무한 〈카베에caveae〉가 국립 해오름극장(4.7~9)에서 발표되었다. 국현의 2023년 첫 작품이라 단체의 신작 방향성과 기획력을 재확인하는 측면이 있고,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에 정식으로 참여한 작업으로 해오름 대극장에서 컨템퍼러리 작품을 선보이는 것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다. 기존의 원형극...

젊은 감각과 안정감이 조화를 이룬
국립무용단의 ‘NEXT STEP’ 무대 (1)

최찬열_춤비평가

2023. 5.

국립무용단의 ‘넥스트 스텝’(2022년 4월 20~22일, 국립극장 달오름)은 안무자 육성 프로젝트 공연이다. 2018년 시작해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한 이 공연은 리서치 과정부터 콘셉트의 개발과 구축, 그리고 조명과 무대 디자인, 연출까지, 그러니까 공연이 무대에 오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각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해 무대를 완성해 가는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