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몸을 동반하는 진리 찾기, 춤 작업

김채현_춤비평가

2024. 11.

공연 제목이 참 길다. 〈물고기 문어 불가사리 뱀 코끼리 늑대가 흐르는 몸의 노래〉. 제목 속 동물들은 공연에서 출현하지도 묘사되지도 않는다. 제목이 나타내는 바는 그런 동물들의 어떤 무엇이 우리 인간의 몸속에도 흐른다는 것이다. 제목의 근저에서는 동물과 인간을 분리시키는 인간 중심을 깨뜨리고 인간이 동물(그리고 자연 만물)과 한 뿌리라는 시...

날카롭고, 서늘하고, 뜨거운 춤의 흥취

권옥희_춤비평가

2024. 11.

춤의 귀소본능. 그 욕구는 무엇보다 춤을 떠나 있었던 이들의 그것이다. 선화예중고,서울대를 졸업할 때까지 춤만 추던 이였다. 거주지를 미국으로 옮기고 육아와 낯선 환경에 적응하느라 힘든 시간을 보내면서도 문득문득, 아니 늘 춤이 추고 싶었다고. 김경은은 적극적으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 내 대학과 초중등학교에서 직접 공연과 워크숍 기회를 만...

은유의 힘을 보다

김채현_춤비평가

2024. 10.

2024 시댄스는 캐나다, 폴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룩셈부르크, 체코, 호주의 초청작들로 해외 부문 라인업을 선보였다. 올해 초청작들에서는 이즈음 해외에서 회자될 시그너처 혹은 매스터급 무대작들이 띄지 않은 편이었다. 모던댄스 단계를 이미 옛것으로 밀쳐내고 컨템퍼러리댄스가 통상의 무대를 이루는 오늘날의 댄스신에서 시그너처가 대세를 좌우하...

규범을 ‘탈주’하는 명료하고 깔끔한 춤. 작품.

이지현_춤비평가

2024. 10.

‘춤. 작품.’이라고 쓰고 보니 조금은 낯설어 보인다. 국립무용단 신작 〈행 +-〉 (안애순 안무‧연출, 해오름극장/ 2024.8.28.-9.1. 4회 공연)을 얘기하기 위해선 작품 안의 춤과 작품을 어느 정도 분리해서 얘기할 수밖에 없이 ‘춤’이 화두가, 중심이 되는 작품이기 때문이고, 그렇다고 춤에만 맡겨놓는 작품이 아닌...

전통춤 재구성과 창작의 경계를 보여준 새로운 시도
- 김경란류 권번춤 예맥 ‘반월’에 대한 생각

김영희_전통춤이론가

2024. 10.

9월에 개최된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2024’(예술감독 이종호)에서 두 편의 전통춤 공연이 있었다. 9월 11일에 올린 ‘한국의 춤 영남무악’과, 9월 13, 14일에 ‘한국의 춤- 유파전 김경란류 권번춤 예맥 반월(半月)’이다. 전통춤 공연은 서울남산국악당과 공동사업으로 진행되었다. ‘한국의춤 - 유파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