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탄탄한 구성으로 찾아가는 ‘나’
김채현_춤비평가 2017. 12. 8개의 손발을 가진 인간들이 신에게 도전할 만큼 유능해서 제우스가 각 인간들을 둘로 갈라놓았다는 그리스 신화가 있다. 나에게서 박탈된 반쪽을 찾아 헤매는 여정이 곧 에로스의 기원이라는 그리스적 믿음을 이경은은 〈Two〉의 모티브로 택하였다. 〈Two〉는 이 믿음을 굳이 에로스의 차원보다는 내가 나를 찾아가는 모습을 여러 시점에서 조... |
마린스키다운 주역, 평범한 군무
방희망_춤비평가 2017. 11. 지난해 마린스키가 인수한 블라디보스토크의 프리모스키 극장 발레단이 <백조의 호수>(11월 9-12일,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평자 12일 관람)를 들고 내한했다. 본진인 상트페테르부르크 1극장의 수석무용수 빅토리아 테레시키나와 동양 출신 남성무용수로는 최초로 수석무용수가 된 김기민을 초청하여 2회 공연을 맡기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
슈팅한 스타는 ‘안무가’ 대신 ‘음악가’
송현민_음악평론가 2017. 11. 문인들이 모인 사회를 일컫는 ‘문단(文壇)’이라는 말처럼, 국립현대무용단은 한 단체(團)를 넘어, 컨템퍼러리 예술을 도모하는 이들이 만나는 단(壇), 즉 하나의 사회(壇)가 되어가고 있다. 안애순 전 예술감독 시절(2013~2016)에 이론과 개념에 주력한 예술가들이 현대춤과 만나는 장이었다면, 안성수 예술감독 시기... |
음악의 힘이 이끄는, 사색적 발레
방희망_춤비평가 2017. 11. 국립발레단 제171회 정기공연 작품으로 2014년에 초연된 크리스티안 슈푹 안무의 〈안나 카레니나〉(11월 1-5일,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평자 5일 공연 관람)가 선택되었다. 마침 이 작품이 내년에 있을 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의 일부가 되면서 20여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는 사실은 여러 화제를 낳기도 했다. 올림픽과 ... |
잊혀진 이들을 위한 위무
권옥희_춤비평가 2017. 11. 잊고 있었다. 그들의 죽음을. 매년 한국시간 11월 11일 오전 11시. 전 세계에서 부산 유엔묘지를 향하여 1분간 묵념을 올리는 행사 〈Turn toward Busan〉. 자유와 평화를 위해 희생한 참전용사들을 기리기 위한 이 행사는 하루 전인 11월 10일, UN기념공원에 안장된 유엔군 2천 3백위 전사자의 이름을 모두 부르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