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비혼(非婚) 현실에 메스를 가하다
김채현_춤비평가 2017. 11. 남녀 동권의 시대정신에 역행하는 근자의 대표적 사례로 우리 사회에서는 여성 혐오가 꼽힌다. 인터넷 공간의 익명성에 기대어 여혐을 노골적으로 토로하는 행태가 일상 현장에서 여혐을 부추기는 악순환도 감지된다. 비단 여혐이 아니더라도 여성이 비혼(非婚)을 작심하는 정도가 날로 커가는 현상에서 여성의 팍팍한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 아마도 여혐은... |
20년을 단위로 선을 긋는 놀라운 스케일
이지현_춤비평가 2017. 11. 시댄스(SIDance)가 시작된 게 1998년이고 내가 비평을 하기 시작한 것이 1999년이니 난 이미 시댄스 20년을 거리감을 갖고 논하기에는 바라본 세월과 각도가 모자란다. 물론 난 대학시절 인기 많았던 미남 기자였던 이종호 예술감독이 이화여대의 교수, 강사, 선배님들과 어울리는 자리에 있었던 모습을 어깨너머로 본 풋풋한 기억을 갖고 있... |
춤추는 몸의 연구와 춤의 깊이
권옥희_춤비평가 2017. 11. 현대무용단 ‘자유’(대표 안선희)의 정기공연(10월 19일, 해운대문화회관). 안선희의 〈기울어짐에 대하여〉와 조현배의 〈안녕히 다녀오세요〉를 본다. 작품을 통해 본 젊은 두 안무자, 성장했다. 그들의 춤과 무대는 정직하고 성실하고 단정했다. 조현배 〈안녕히 다녀오세요〉 무대에 점점이 서 있는 무용수들.... |
달빛에 물든 인생월령가
이만주_춤비평가 2017. 10. 돈도 안 생기는데 지극정성으로 춤을 추었다. 춤바람 난 여자는 춤에 미쳐 있었다. 춤이 존재의 이유였다. 그녀 자신이 춤이었다. 달이 밤을 비춘다. 달이 바닷물을 당겼다 놓았다 한다. 달 덕택에 농사를 짓는다. 과학문명이 오늘날처럼 발달하기 전에는 인간에게 있어 달은 해보다 더 중요했다. 가장 영적이었던 인간은 달을 멀리하면서 영적 능력을 ... |
춘(향)의 함량 미달이 부른 춤과 서사의 불균형
김채현_춤비평가 2017. 10. 국립무용단은 변화의 선상에 있다. 무용단의 변화는 작품으로 제시되며, 국립무용단의 최근 몇 무대에서도 그 같은 변화는 관측된다. 안정된 체제의 구축과 고양된 작품성의 구현을 국립무용단의 당면 현안으로 강조하는 춤계의 중론 속에서, 근래의 변화상은 더욱 국립무용단의 위상을 배경으로 관심사가 되어왔다. 이번의 〈춘상(春想)〉(9월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