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춘(향)의 함량 미달이 부른 춤과 서사의 불균형

김채현_춤비평가

2017. 10.

 국립무용단은 변화의 선상에 있다. 무용단의 변화는 작품으로 제시되며, 국립무용단의 최근 몇 무대에서도 그 같은 변화는 관측된다. 안정된 체제의 구축과 고양된 작품성의 구현을 국립무용단의 당면 현안으로 강조하는 춤계의 중론 속에서, 근래의 변화상은 더욱 국립무용단의 위상을 배경으로 관심사가 되어왔다. 이번의 〈춘상(春想)〉(9월 21...

전통과 현대, 베트남 컨템포러리댄스의 한 단면

이만주_춤비평가

2017. 10.

 삼각으로 보이는 원추형의 전통모자인 농(Non)을 베트남인들은 즐겨 쓴다. 날씨가 덥고 비가 많이 오는 베트남에서 야자의 일종인 농라(Non-la) 잎으로 만들어진 농은 해를 가리는 양산이 되기도 하고 비가 올 땐 우산이 된다. 또 더위를 식히는 부채로도 사용된다. 베트남의 국부로 추앙 받는 호지명(호치민)도 농을 즐겨 썼었다.  제23회 창...

강렬한 비주얼, 집요한 움직임 탐구

장광열_춤비평가

2017. 09.

 춤 공연의 유형과 공연장소가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이제 더 이상 한국 춤계에서는 새로운 양상이 아니다. 특정한 공간과 춤, 타 장르와 춤,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춤 등 장소 특정형, 융복합 공연 등은 기획공연의 확장과 함께 한국 춤계의 다양성을 주도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전문 춤 단체를 베이스로 활동하고 있는 무용가들의 신작 무대는 그...

‘교류’ 실천, 아시아 젊은 컨템포러리 댄스의 장

장광열_<춤웹진> 편집위원

2017. 09.

  “대한민국은 무용 천국이나 다름없다. 다른 아시아 여러 나라에 비해 무용이 융성할 수 있는 여건을 모두 갖추고 있는 것 같다.“  일본 오도루 아키타 국제 페스티벌의 예술감독 Yamakawa Santa는 최근 3년 동안 한국의 무용가들을 일본으로 초청하고 축제 준비를 위해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 공연을 보고 사람을 만나고 지원제...

성숙한 창작 의식 함양 지향하기를

김채현_춤비평가

2017. 09.

 발레 애호 관객층을 충족시킬 공연작을 다양하게 갖추는 일은 발레계의 오랜 과제였다. 완성도 있는 창작품이 드문 실정에서 다양성을 기하기는 더욱 쉽지 않았던 것이 저간의 사정이었다. 최근 몇 해 사이 공공 및 민간단체에서 약간의 시도들이 누적되면서 발레 장르가 그전의 답보 상태를 벗어날 것 같은 기대감도 없지 않다.  국립발레단은 지난달 ‘...

select count(*) as count from breed_connected where ip = '216.73.216.175'


Table './dance/breed_connected'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