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무의식으로부터 끌어낸 이미지의 성찬

장광열_춤비평가

2015. 11.

 10월 23일 밤 홍은동 서울무용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프랑스의 즉흥 아티스트 엠마누엘 그리베(Emmanuel Grivet)의 쇼케이스 무대는 공연으로서의 즉흥이 가진 예술성과 무한한 확정 가능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준 의미있는 무대였다.  서울국제즉흥춤축제의 추천 아티스트로 내한한 엠마누엘 그리베는 11월 21-23일까지 서울무용...

춤의 이미지로 현실 보여주기

권옥희_춤비평가

2015. 11.

 최두혁(계명대 교수)의 〈psalms-시편〉(10월 21일,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분류할 수도 규정할 수도 없는 현실의 모습을 춤의 이미지로 풀어낸 작품. 원래 ‘psalms’ 은 성경의 시편에 나타나는 다양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그 중심 주제는 오직 하나님을 향한 찬양과 감사와 경배의 시. 최두혁은 ‘현악기에 맞추어 부르...

린화민은 봉건(封建)에서 그칠 것인가?

이지현_춤비평가

2015. 10.

 Cloud Gate Dance Theatre of Taiwan의 〈Rice〉 (안무 린화민. 9월 11-12일. LG아트센터)만 본다면 린화민의 안무는 발전하고 있다기보다는 답보상태에서 길을 잃은 듯 보인다. 70여 분 간의 시간 대부분의 감성은 무대 호리존트에 시종일관 투사된 영상- 그것도 논(畓)의 사계절을 거의 그대로 근접 촬영...

몸짓과 연출, 그리고 오브제

이만주_춤비평가

2015. 10.

 2001년, 현대춤의 다양한 실험과 새로운 방향을 모색코자 발족한 젊은 춤패 LDP가 어느덧 창단 15주년을 맞아, 지난 9월 4-6일,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5회의 공연을 펼쳤다. 이번 공연에서는 LDP 출신의 안무가 한 명과 두 명의 외국인 안무가의 춤 작품 세 개가 추어졌다.  실험적인 세 작품 모두, 주제는 비슷했다. 작품들은 ...

의욕적인 시도, 부족했던 미감과 서정

방희망_춤비평가

2015. 10.

 벨기에 출신의 작가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희곡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는 1892년 출판되었고, 작곡가 포레는 이 작품의 1898년 런던 공연을 위해, 시벨리우스는 1905년 헬싱키 공연을 위해 각각 극 부수음악을 작곡하였다. 채 10년도 되지 않는 그 사이에 드뷔시는 동명의 오페라를, 쇤베르크는 교향시를 작곡한 것을 보면 프랑스 상징주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