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정서적 측면과 사회적 시선을 영리하게 조합
김혜라_춤비평가 2014. 10. 모던테이블의 첫 번째 정기공연 ‘뉴 발란스’(9월 19일, LIG아트홀·강남)에는 2개의 신작이 선보였다. 외부 초청 안무가인 최명현의 <회색인간>은 인간 본성에 대한 직관을 움직임만으로 유연하게 이끌어 내었고, 이정인의 <팝니다>는 성소수자의 인권유린에 대한 현실을 처연한 춤으로 담아내었다. <... |
기하학적 구성의 미학
이만주_춤비평가 2014. 10. 백화제방(百花齊放)이다. 요즘 한국의 발레계를 접하면서 갖는 생각이다. 마치 우리 전통무용에서 한국창작무용이 촉발하던 때를 연상케 한다. 지금 한국의 발레는 수많은 창작과 실험이 시도되고 있다. 그 수준과 완성도 또한 놀라울 정도로 높다. 발레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발레 관객에게는 즐거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2014년 ... |
젊은 안무가의 꽤 진지한 몸에 대한 탐구
방희망_춤비평가 2014. 10. 노자·장자가 말한 ‘쓸모없음의 쓸모’를 말하려 함인가. LIG문화재단의 젊은 예술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Young Artist Club의 기획공연인 안무가 최은진의 신작 <유용무용론>(9월 26-27일, LIG아트홀 합정)의 첫인상이다.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숱하게 들어온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 요즘에는 그것을 비... |
‘바보’ 연구로 현명해지고 깊어진 춤
권옥희_춤비평가 2014. 10. 해금소리, 푸른색 조명만 남아있는 텅 빈 무대. 오케스트라 박스가 흰 물체를 싣고 서서히 올라온다. 거대한 지전 덩어리다. 타자를 영접하는 자리. 천천히 무대가운데로 들어서자, 지전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넋이 실렸다. 해금소리가 지전을 파고든다. 지전에 실려 춤을 추는 넋. 넋을 위무하는, 죽은 이를 위한 춤. 두 명의 무용수가 지전을 날개... |
새로운 움직임의 조합이 과제
장광열_춤비평가 2014. 10. 안무 경험이 일천한 신진 무용인들의 춤 작업에서 평자가 기대하는 것은 소재의 신선함, 작품을 풀어가는 새로운 아이디어, 그리고 안무가로서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는 정도이다. 여기에 개성있는 무용수를 만날 수 있다는 기대감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이름이 꽤 알려진 안무가들이나 컴퍼니의 공연을 뒤로 하고 신진들의 창작 작품을 처음 만났을 때 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