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계소식

싱크 넥스트 25
2025. 7.

‘싱크 넥스트’가 오는 7월 4일~9월 6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다. 올해로 4년 차를 맞는 싱크 넥스트는 2022년 세종문화회관의 제작극장 전환 선언과 함께 성장해온 기획으로 ‘극장 제작 역량’의 진화를 본격적으로 드러내온 공연 브랜드다.

특히 이번 시즌 싱크 넥스트 25는 ‘경계 없는 무대, 한계 없는 시도’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그간 구축해온 무경계의 철학과 함께, 장르와 매체의 구분을 뛰어넘는 새로운 무대 경험을 제안한다. 공연장이라는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 관객의 감각과 인식의 경계까지 확장하는 것, 이것이 이번 시즌 싱크 넥스트가 지향하는 ‘무경계’의 방향이다.

이번 시즌은 테크노와 앰비언트의 몽환적 사운드부터 전통연희의 해체, 전위적 현대음악, 감각적인 무대 미장센과 결합된 힙합, 네오소울 공연까지 각기 다른 결의 음악 작업들이 연이어 펼쳐진다. 여기에 현대 무용, 1인극, 관객참여극, 스케치 코미디, 퍼포먼스 아트까지 더해져 장르와 형식의 경계를 자유롭게 오가는 프로그램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해니 안무가




춤 부문으로 8월 14일~16일 싱크 넥스트 최초의 공개 오디션을 통해 구성된 30인의 무용수와 함께하는 해니, 미스터 크리스의 〈우리 OO-LI〉가 열린다. 메가크루 ‘팀 매그놀리아’ 디렉터로 활동하며 집단적 움직임 속 신체적 교감을 이끌어온 안무가 해니, 전세계를 오가며 다양한 워크숍을 진행해 온 미스터 크리스가 협업해 ‘우리’라는 존재의 의미를 탐구한다. 작품 제목 〈우리 OO-LI〉는 ‘우리(cage)’와 ‘우리(us)’라는 이중적 뜻을 품고 있으며, 집단적 움직임 안에서 개인과 공동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감각적 실험을 이어간다. 서울의 집단성을 ‘우리’라는 단어로 상징화하고, 무용수와 관객은 서로의 파장을 교환하며, 개성 있으면서도 일체화된 몸짓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가 탄생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된다.


김성훈 안무가




이어서 8월 28일~30일 김성훈의 신작 〈PINK〉가 무대에 오른다. 현대사회의 폭력성과 억압, 그리고 생존의 감각을 마주하는 냉혹한 무대를 연출하여, 우리가 무심코 아름답다고 여겨온 것들 속에 내재된 폭력성과 억압의 메커니즘을 들춰낸다. 아르토의 ‘잔혹극’ 개념을 바탕으로 현대무용의 관습적 틀을 깨는 새로운 무대 언어를 시도한다. 도살장을 연상케 하는 공간 속 끊임없이 닦이고 씻겨 나가는 피, 지워지지 않는 흔적, 덩어리로서의 몸 등 섬찟함을 불러일으키는 미장센들은 불편하고 낯선 자극을 통해 관객들에게 오히려 ‘살아있음’을 강렬히 자각하게 만든다.

─────────────────────────



싱크 넥스트 25
2025.7.4.(금) ~ 9.6.(토)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

2025. 7.
*춤웹진

select count(*) as count from breed_connected where ip = '216.73.216.122'


Table './dance/breed_connected'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