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계소식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
2025. 10.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10월 30~31일 해오름극장에서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를 개최한다. 국립극장과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축제는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을 필두로 전국의 10개 국공립 무용단체가 참여한다.

‘전통춤 축제’는 각 지역에서 계승되어 온 춤의 정수를 한자리에 모아 새롭게 조명하려는 국립극장의 첫 시도다. 국립무용단, 인천시립무용단, 경기도무용단, 천안시립무용단, 청주시립무용단, 대전시립무용단, 익산시립무용단,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무용단, 국립남도국악원 국악연주단, 제주특별자치도립무용단이 각 단체의 대표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서울에서 제주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에서 모인 대표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우리춤이 지닌 지역별 다양성을 만나볼 수 있다.


국립무용단 〈향연〉 中 〈신태평무〉




10월 30일은 ‘전통춤의 원형’을 집약적으로 만나볼 수 있는 무대가 펼쳐진다.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은 〈향연〉 중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염원을 풀어낸 〈신태평무〉로 축제의 막을 연다. 경기도무용단은 〈경기회연〉 중 〈진쇠춤·강강술래〉로 풍요와 연대의 미학을 전한다. 대전시립무용단은 소고춤의 흥을 집약한 〈향-남도 소고춤〉으로 신명의 정수를 보여준다. 천안시립무용단은 소박한 삶의 정서를 그린 〈박종필류 덧배기춤〉, 국립남도국악원 국악연주단은 진도씻김굿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복개춤〉으로 삶과 죽음, 공동체의 화해를 풀어낸다. 슬픔을 위로하는 동시에 삶을 축복하는 남도의 굿을 통해 관객들에게 치유의 힘을 전할 예정이다. 인천시립무용단은 불교 의식무를 바탕으로 한 〈사다라니〉와 여인의 흥취를 담은 〈풍류가인〉을 연달아 올린다.


인천시립무용단 〈태평성대〉




10월 31일은 ‘전통춤의 확장’을 주제로 오늘의 언어로 새롭게 해석한 한국춤을 소개한다. 인천시립무용단은 궁중 춤사위 〈태평성대〉와 남성 아박무 〈결〉로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선보인다.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무용단은 농악을 재해석한 〈진경〉 중 〈뜰볼비+풍장〉을 공연한다. 군무를 통해 집단적 공동체의 힘을 표현한 작품이다. 공동체의 뿌리이자 삶의 리듬인 농악을 통해 전통춤의 힘을 현대적으로 풀어냈다. 익산시립무용단은 궁중무용의 기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태평천무〉를 선보이고, 청주시립무용단은 역동적이고 해학적인 〈박병천류 진도북춤〉으로 흥을 돋운다. 제주특별자치도립무용단은 제주의 무속적 상상력을 담은 〈제-나례〉를 무대에 올린다. 바람과 바다, 신화와 함께 살아온 제주의 특별한 기운을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전하는 작품이다. 공연의 대미는 북의 웅장한 울림을 선사하는 국립무용단이 대표 레퍼토리 〈무고〉로 장식한다.

─────────────────────────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
2025년 10월 30일(목)~10월 31일(금) 목‧금 19시 30분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주최: 국립극장
주관: 국립극장, 예술경영지원센터
예매: 국립극장 02-2280-4114 www.ntok.go.kr

주요 출연진: 국립무용단, 인천시립무용단, 경기도무용단, 천안시립무용단, 청주시립무용단, 대전시립무용단. 익산시립무용단,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무용단, 국립남도국악원 국악연주단, 제주특별자치도립무용단
관람료: 전석 1만원
관람연령: 초등학생 이상 관람
소요시간: 120분(중간휴식 없음)

2025. 10.
*춤웹진

select count(*) as count from breed_connected where ip = '216.73.216.112'


Table './dance/breed_connected'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