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계소식
국가무형문화재 ‘동래야류’를 새롭게 구성해 창작무용 공연으로 마련한 국립부산국악원(원장 이정엽)의 대표공연 ‘야류별곡’이 오는 10월 28일(금)과 29일(토) 양일간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 예악당 무대에 오른다.
국립부산국악원은 부산의 대표적인 국가무형문화재인 ‘동래야류’의 다양한 전통 공연 예술적 요소와 의미를 무용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해 지난 6월 3일(금)과 4일(토) 국립부산국악원 연악당 무대에 선보인 바 있다.
이번 공연은 부산 초연 당시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서울로 그 무대를 옮겨 선보이는 것으로, 김혜라 춤 평론가는 “전통의 대중화란 측면에서 보면 더할 나위 없는 유쾌한 해원의 춤판”이라 평했고, 김영희 전통춤 이론가는 “현재적 감수성으로 위트와 위로를 주는 국립부산국악원의 브랜드 작품”이라고 꼽는 등 대중성과 예술성 측면에서 전문가들의 호평 또한 이어져 이번 공연의 기대감 또한 높였다.
공연의 중심에 있는 ‘동래야류’는 부산 동래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표적인 국가무형문화재다. 들에서 노는 ‘야류(野遊)’라는 뜻처럼 ‘동래야류’는 음악과 노래, 춤과 연희로 하나 되어 모두가 함께 희로애락을 나누는 전통 공연 예술의 결정체로 평가받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국립부산국악원은 이러한 ‘동래야류’에 깃든 공연 예술의 다양성을 창작무용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했다. 특히 탈춤으로 대변되는 연희적 요소를 덧배기춤에 얹어 촘촘하게 엮었고, 동래야류의 기본적인 과장(科場, 탈놀이 등에서 막이나 마당에 해당하는 말)은 유지하면서, 둥근 달과 평등함과 하나 됨을 상징하는 커다란 원을 무대 중심에 두어 시각적 아름다움과 상징을 더한 무대 공간을 꾸몄다.
이번 공연에서는 ‘동래야류’에 등장하는 다섯 과장(길놀이-문둥과장-양반과장-영노과장-할미과장)의 틀을 유지하면서 창작적인 요소를 얹어 풀어냈다. 성치 않은 문둥이, 몹쓸 양반, 씩씩한 말뚝이, 버림받은 할미를 차례로 무대에 올려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한데 엮었다.
또한, 공연의 시간적 배경은 밤에서 동이 트는 새벽으로 설정해, 정월 대보름 둥근 달빛 아래 각 과장들이 서로 얽히며 전개되고, 동이 터오는 밝은 빛을 맞이하며 서로 화해하고 화합한다.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어둠을 밝히는 염원의 의미 또한 담고 있다.
이번 공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 제작진의 참여도 눈길을 끈다.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정신혜의 연출과 안무를 비롯해 대본 천정완, 작곡 김백찬, 미술감독 정민선, 기술감독 어경준, 협력연출 주혜자 등 전문 제작진이 함께한다.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기악단 등 총 50여 명의 출연진이 무대를 수놓을 예정이다.
국립부산국악원 이정엽 원장은 “현대적 시각과 감성으로 재해석한 〈야류별곡〉이 전통을 넘어 시대와 소통하는 종합예술 작품으로 지친 삶에 활력소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
국립부산국악원 〈야류별곡_달의 시간으로 사는 마을〉
2022. 10. 28.(금) 19:30 ~ 10. 29.(토) 15:00 / 총 2회
국립국악원 예악당
출연: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기악단 및 객원 등
공연시간: 약 90분
관람료: S석 30,000원, A석 20,000원, B석 10,000원
[공연 구성]
주제: 영남춤의 뿌리 덧배기춤과 〈동래야류〉 탈놀음의 재해석
ㅇ 프롤로그_ 달의 시간陰曆으로 사는 마을
ㅇ 문둥과장_ 문둥이 세상을 가련히 여긴다.
ㅇ 양반과장_ 엿다! 이 제미를 붙은 양반들아.
ㅇ 영노과장_ 비- 비, 날물에 날 묵고 들물에 들 묵고
ㅇ 할미과장_ 에헤라! 못 놓겠네, 능지를 하여도 못 놓겠네
ㅇ 동살맞이_ 밤은 기울고 볕은 희붓이 스미고
ㅇ 에필로그_ 해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