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계소식
월간 <몸>지가 주최하는 제29회 무용예술상 심사는 2022년 12월 22일 심사위원 이지현, 박성혜, 김예림, 정옥희, 장승헌, 김남수 등 6인이 참여하여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진행되었다. ‘무용예술상’은 비평가들만의 일방적인 의견 제시만이 아닌 안무가와 무용수들이 1년 동안 함께 했던 활동상을 돌아보고, 현단계 춤예술이 가는 방향을 짚으며 무용계 전체를 대승적으로 성찰하는 시선이 담겨있는 상이며, 따뜻함과 냉정함을 갖춘 의미있는 상이다.
특히 내년에 무용예술상이 한 세대의 시간이라는 30회째를 맞는 것을 고려하여, 급변하는 세계와 그에 대응하여 창작의 변화를 꾀하는 무용계를 살펴서 기존의 작품상과 안무상, 연기상 등의 수상 체제에 ‘주목할 만한 시선상’ 부문을 신설 추가하였다.
전미숙_거의 새로운 춤 (c)스프링페스티벌×모다페 공동 프로젝트 |
작품상 전미숙 안무의 <거의 새로운 춤>이 선정되었다. 이 작품은 많은 논란과 격론이 있었음에도 완숙한 안무의 경지에서 작가가 이전의 안무적 경향과 달리 과감하고 종합적으로 형식의 도전을 한 작품, 렉처 퍼포먼스를 곁들여 안무가의 철학을 밝힌 작품이라는 측면에서 다수의 경쟁력 있는 후보작들을 넘어 작품상에 선정되었다.
안무상은 <구조의 구조>를 안무한 시나브로가슴에무용단의 이재영 안무가에게 돌아갔다. 특유의 성실함을 바탕으로 우직하고 끈질긴 안무적 결기를 보여주는 이재영은 이번 작품 <구조의 구조>를 매우 탄탄한 내공과 엄청난 연습량으로 완성도 높게 가다듬었다.
또한 작품 내용 역시 유동적인 짜맞춤의 미시적인 ‘구조’가 저절로 돋아나는 보다 거시적인 ‘구조’와 관계맺는 일종의 춤의 현실이 정밀하게 진행되는 군무로 이루어진다는 것에 큰 점수를 받았다. 특히 이번 공연이 아르코예술극장의 베리어프리 작품으로 선정되어 관객의 접근성을 위해 극장과 협력한 작품이라는 측면에서 사회 속에서 함께 성장하는 안무가의 모습을 기대하게 하였다.
새로 제정된 ‘주목할 만한 시선상’은 이가영의 <빨래방>과 배효섭의 <외계 인간>이 선정되었다. 학연 속에서 강하게 기존 스타일의 춤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무용계 현실에서, 이 두 무용가는 자신의 독립적인 예술을 위해 낯선 길에 대한 호기심어린 탐색과 더불어 자신의 경험 범위를 넘어서려는 용기가 버무려져 자신만의 작품 스타일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통춤연기상 수상자 복미경 춤꾼은 <참춤> 공연에 보여준 태평무, 승무가 한국춤의 고아한 매력과 본질을 유감없이 출현시켰다는 평이다. 전통춤의 경우, 무용가 자신의 몸과 분리되지 않는 체화된 춤이 중요한데, 복미경 춤꾼이 이러한 레벨에서 자기 개성과 특질을 제대로 보여줬기에 수상하게 되었다.
춤 연기상 수상자는 박호빈, 최지연, 정수동, 정진아, 정건의 공동수상이다. 그 이유는 유달리 올해는 무용수 혼자서 돋보이는 독무보다 2인무, 3인무의 춤케미가 폭발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호빈과 최지연의 <난리블루스>는 두 무용가가 매우 솔직한 자신들의 실존을 드러내는 춤으로 크게 어필한 작품이다. 나이 들어가는 자의 떨림과 삶의 깊이, 그리고 몸의 관능을 경쾌하면서도 탁월한 춤 언어로 표현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각자 삶의 시간이 서로 얽히는 관계가 수습불가의 헝클어진 실놀이로 나타나고, 이제 떠나는 자와 남은 자 사이의 비극적 결말임에도 동시대 사랑의 화학이 크게 다가오는 춤을 보여줬다는 평이다.
정수동, 정진아, 정건 등 3남매 무용가들이 합심한
무대예술상은 이론의 여지없이 만장일치로 사진의 옥상훈 작가로 결정되었다. 무용가에 대한 그의 사랑, 그에 대한 무용가들의 사랑을 알기에 앞으로 더 많은 춤의 순간을 그가 읽어 주고 사진으로 재해석해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