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Abroad

런던 현지취재_ 〈INALA – THE ZULU BALLET〉
강렬한 노래와 춤, 음악과 춤의 부조화
정다슬_<춤웹진> 유럽 통신원

 

 

 지난 7월 7일, 필자는 작품 <이나라(INARA)>가 공연 중인 영국의 세들러스 웰즈 극장을 찾았다. 많은 유럽의 극장들이 주말에 꽉 차는 것은 흔한 광경이지만 필자가 찾았던 화요일 공연은 주중임에도 불구하고 빈 좌석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이 작품이 에든버러 국제 페스티벌과 런던 세들러스 웰즈에서 연속 매진 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그래미 상을 4번이나 수상한 남아프리카의 합창단 레이디 블랙 맘바조(Ladysmith Black Mambazo,이하 LBM)와 안무가 마크 발드윈(Mark Baldwin)의 협업 작업이라는 타이틀 덕분인지 런던 투어 역시 전석이 매진되었다는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작품은 아프리카 음악에 매료된 영국인 작곡가 엘라 스피라(Ella Spira)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녀는 아프리카 음악에 내재되어 있는 독창적인 사운드와 그 안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이슈들에 빠져들어 급기야 LBM을 런던에 소개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그녀는 영국 로열 발레단 무용수인 피에트라 멜로 피트만(Pietra mello-Pittman)과 함께 아프리카에서 작업을 시작하였고, 그 작업의 결과물이 바로 <이나라>이다.
 <이나라>는 줄루(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한 인디언 종족) 말로 ‘가득찬 친선’을 뜻한다. 서론-본론-결론으로 이어지는 단순한 스토리텔링 형식의 발레가 아니라 '삶과 영혼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희망을 주는 발레'라는 소개가 인상적이다. 무용수들은 영국 로열 발레단과 램버트 발레단의 전 현 소속 무용수들이 참여하였다.

 



 작품은 청량한 목소리로 불려지는 아프리카 음악으로 시작된다. 조용하지만 묵직하고 커다란 울림을 주는 멜로디가 큰 극장의 구석구석까지 채워지면 아프리카의 전통 악기 소리가 입혀지고 다시 그 위에 비올라, 퍼커션, 첼로가 더해진다. 아프리카의 민족색이 또렷이 나타나는 복잡한 리듬 위에 서양 악기 소리를 얹은 음악의 하모니는 작품 초반부터 공연이 추구하는 바를 여실히 보여준다.
 전체 공연 동안에는 총 9명으로 이루어진 합창단에 의해 20곡의 노래가 불려진다. 20곡의 노래는 하나같이 삶과 사랑을 주제를 삼고 있다. 인생의 고달픔에 지쳐버린 어깨를 토닥이는 응원의 노래부터 영혼의 안식처인 집에 대한 그리움까지 다양한 노래들이 소개된다. 아프리카 언어로 된 가사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없더라도 대체로 밝은 리듬 뒤에는 그림자처럼 슬픔이 함께 묻어난다. 그것은 마치 우리네의 ‘한’과 같은 정서를 담고 있는 듯하며, 오묘한 멜로디는 그 자체로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듯 하였다.
 노래가 진행되는 동안 무대의 전면에는 12명의 무용수들이 다양한 바리에이션으로 무대를 채워나갔다. 솔로, 듀엣부터 군무까지 두 시간이라는 공연 시간이 지루하지 않도록 갈라 형식으로 진행되고, 춤 스타일은 발레부터 현대무용까지를 아울렀다. 파드뒤를 보여주는 클래식 발레 커플부터 강렬한 진동을 전달하는 현대무용까지 강렬한 사운드와 이미지가 연출되었다.

 



 프로듀서로 참가한 피에트라 멜로 피트만은 “이번 작품 <이나라>는 줄루족의 춤과 남아프리카의 이야기, 문화를 통해 새로운 춤 언어를 찾고자 한 것으로, 그것은 작품에 출연하는 무용수들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클래식 발레를 포함하고 있는 춤 언어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마크 발드윈의 안무 그 자체에서는 두 문화의 조화 혹은 음악과 춤의 조화가 뚜렷이 보여지지 않는다는 아쉬움을 지우기 어려웠다. 신체적인 기교 위주의 안무와 춤은 시각적으로는 현란하였으나 가벼웠고, 아프리카의 춤을 모방하였으나 서툴렀다.
 발레로 훈련된 무용수들은 주로 모던 발레나 네오 클래식 발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작과 테크닉을 위주로 선보였는데, 그들이 보여준 테크닉의 완벽성은 <이나라>라는 작품에는 다소 불필요하게 느껴진 것이 사실이다. 무용수들과 음악가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는 장면들 역시 그러하였는데, 자연스럽게 리듬에 몸을 맡기고 움직이는 음악가들과는 대조적으로 등을 구부리고 발을 구르며 전통 춤을 모방하는 무용수들의 모습은 그저 흉내내기로 그쳐버린 것이 안타까웠다.
 또한 작품 전반에 걸쳐서 음악이 더 큰 감동을 전달하는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늘 무용수들을 전면에 내세우고 음악가들은 그저 춤의 배경이 되는 구도만 유지한 것 역시 못내 아쉬움이 남았다. 무용수들의 의상이 개개인의 특징을 나타내고 캐릭터를 보여주는 것과는 달리 음악가들은 디테일만 슬쩍 변화된 의상을 입고 출연하였기 때문에 솔로 가수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수들 간의 구분이 어려웠다.

 



 아프리카와 서양의 문화가 한데 뒤섞여 퓨전 장르를 연출한 <이나라>는 분명 두 가지 문화를 두루 에워싸고 있다. 파워풀한 노래와 춤이 뒤섞여 있고 셀 수 없이 많은 장면들을 연출해내었다. 그러나 그것은 그저 한 울타리에 두 가지 장르를 집어넣는 것으로 그치고 말았고 진지한 퓨전 예술의 의미와 방식에 대한 고찰은 결핍되어 있었다.
 반면에 <이나라>와 유사한 주제를 가지고 작업한 벨기에 안무가 알랑 플라텔의 2015년 신작 〈COUP FATAL(강타)〉은 문화의 조화를 적절하게 보여준 예시일 것이다. 바로크 음악과 아프리카 전통 음악을 조화시키고, 날카로운 시선으로 그들의 삶과 역사, 문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알랑 플라텔의 작품은 관객으로 하여금 그들 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역할까지 하였고 그것은 <이나라>와 크게 대비되는 점이다.
 공연예술 특히 춤 공연의 역할 중 엔터테인먼트에 충실한 <이나라>는 영국 무용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현재 영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아크람 칸, 호페쉬 섹터 등의 안무가들의 작품을 보아도 다른 유럽 국가의 무용 스타일과 비교하였을 때 다분히 화려함과 기교, 엔터테인먼트에 충실한 편이라고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국에서는 컨셉슈얼 댄스 같은 스타일보다는 <이나라>와 같이 관객들이 즐기고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없는 작품을 쉽게 접할 수 있고, 그런 안무가들과 작품 성향이 인기를 끌며 그 영역을 끝없이 확장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춤 작품이 엔터테인먼트의 성격을 띠고자 하였을 때는 더더욱 그 목적에 충실하여 더 높은 연출의 질과 감각에 충실한 무대를 만들어 내어 관객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단순히 소비되는 공연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객에게 즐거움을 경험하게 하고 그것을 곱씹게 하는 것, 그래서 관객이 또 한 번의 경험을 위해 극장을 찾게 하는 것이야말로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춤의 역할이 아닐까?

2015. 08.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