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2021년 5월 5일 한국춤비평가협회 운영위원회에서는 춤비협 주관, 〈춤비평논저상〉 제정을 공식 사업으로 채택해서 그 실현 방안을 마련하고 2022년 1월 첫 번째 2021 춤비평논저상을 선정하였다. 이어 올해로 4번째 선정 작업을 마치고 그 내용을 밝힌다.
1. 사업 내용
2023.9.1.~2024.8.31.의 기간에 발표된 춤 관련 논저들(논문 및 단행본, 석박사 학위논문 포함) 중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토대로 산출된 당대적(contemporary)이며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학술논저를 가려뽑아 〈2024 춤비평논저상〉으로 시상하고, 선정된 논저는 〈춤웹진〉 등 한국춤비평가협회의 관련 지면에 싣는다.
2. 취지
1) 춤 관련 비평가와 연구자의 인문학적 소양을 고취하고, 당대의 시각에 뿌리를 둔 춤 비평전문 학술활동을 진작한다.
2) 춤 비평작업을 춤이론 작업과 연계시킬 고리를 마련하는 계기로 삼는다.
3) 인문과학 정신이 체화된 춤비평가, 춤이론가, 춤연구가를 배출하는 통로로 삼고, 유능한 인재를 본회 회원으로 확보하는 한 방안으로 진전시킨다.
3. 심사 과정
1) 예비심사
한국춤비평가협회 내 예비심사위원들이 해당 기간에 발표된 춤 관련 학술논저를 망라하여 목록화하고 이들 가운데 10편 내외 우수 논저를 선별 추천한다.
2) 본심
본회 운영위원 및 본회 외부의 당대 석학 1~2인으로 구성된 본심 심사위원 3~4인이 1차 추천된 논저 10편 내외를 대상으로 1~3편을 최종 〈춤비평논저상〉으로 선정한다.
4. 수상 논저 발표 및 게재
선정된 논저(단행본인 경우는 요약본)는 〈춤웹진〉에 발표하며, 당해 발간되는 지면에 싣는다. 상금은 소정의 원고료에 준한다.
5. 2024 춤비평논저상 심사 경위
1) 예비심사와 추천 사유(요약)
2024년 12월 하순 예비심사위원(서정록, 김영희, 송성아, 정옥희, 한석진)이 2023년 9월 1일 ~ 2024년 8월 31일 사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춤관련 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 그리고 춤관련 단행본 중에서 본 상의 취지에 걸맞는 논문 9편을 선정하여 대상 논저로 추천하였다. 추천된 8편의 논문은 다음과 같다.
- 김나예(2024), Developing Dance Artists as Authentic Leader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reativity,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82권
춤예술인을 고도의 자기 인식 등을 갖춘 진정한 리더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진정한 정체성, 진정한 관계, 진정한 행위의 시각에서 춤교육의 창의력 및 서사적 탐구 간의 유기적 관계를 소개함.
- 김지은(2023), 19세기 말 비엔나 발레에 묘사된 한국과 한국 여성 -하인리히 레겔의 발레 대본 <한국의 신부> 연구, 『한국문화연구』, 제45권
19세기 말 비엔나에서 당대의 국제 정세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배경으로 극작가 레겔이 발레 대본 <한국의 신부>를 지은 경위를 소개함.
- 노영재(2024), The Semiotics of K-Ballet Discourse and Practice through R. Barthes’ Mythologie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82권 (본심 선정 사유 참조)
- 유미희(2024), 2022 개정 교육과정 체육과 초등학교 표현영역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무용예술학연구』, 제94집
해당 교육 과정의 체육과 표현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심미성에 기초한 무용 개념 등 주요 문제점들을 논함.
- 이경진(2024), 조선 후기 연희 문화의 독자적 면모 - 공연 공간을 중심으로, 『泮橋語文硏究』, 제67집
조선 후기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목격하고 체험한 기록 자료들을 기반으로 당대의 공연 공간과 관람 문화를 소개함.
- 이화진(2024), 노자(老子) 도(道)의 범용성에서 본 한국무용 미학 - 승무를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제94집
노자 사상과 연관이 깊은 한국춤의 심미적 사유를 논함에 있어 승무의 구체적인 양상을 기반으로 논의의 외연을 확장함.
- 조경아(2024), 근대 무용가 최승희의 친일 행적에 관한 역사적 성찰, 『Asian Dance Journal』, 제73권
당대의 문건 자료를 기반으로 최승희의 친일 행적을 기부행위, 황군위문공연, 친일 작품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에 관한 여러 논의를 감토 소개함.
- 한영규(2023), 1919년, 傳統樂舞에 대한 김택영과 장건의 대화, 『한문학보』, 제49집
중국 지식인 장건과 조선의 문인 김택영이 1919년 상해에서 진행한 필담에서 조선 전통의 우수성을 천명하는 내용을 소개함.
- Michael W. Hurt(2024), 제시, 스크린 페미니즘, 그리고 호의적 행위주체성의 힘, 『무용역사기록학』, 제72호 (본심 선정 사유 참조)
2) 본심
2025년 3월 17일 본심 심사위원인 정지창(문예평론, 독문학), 채희완(춤비평, 미학), 김채현(춤웹진 편집장)이 심사회의를 열고 예비심사에서 추천된 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심사하여 가작 2편을 가려뽑았다. 선정된 2편의 논문과 선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최우수 논문
없음
우수 논문
없음
가작 논문
- Michael W. Hurt(2024), 제시, 스크린 페미니즘, 그리고 호의적 행위주체성의 힘, 『무용역사기록학』, 제72호
- 노영재(2024), The Semiotics of K-Ballet Discourse and Practice through R. Barthes’ Mythologie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82권
3) 본심 선정 사유
본심의 심사 대상으로 추천된 9편 가운데,
노영재의 ‘The Semiotics of K-Ballet Discourse and Practice through R. Barthes’는 K-컬처 속 ‘K-발레’를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해 분석하면서 바르트의 신화-이데올로기 개념을 기반으로 ‘K-발레’ 담론과 실천의 역사사회적 근원을 추적하고 ‘K-발레’라는 기호의 신화적 특성을 세계화 이데올로기, 자유주의 담론 및 영웅신화의 세 성향으로 도출한 것을 토대로 그 신화의 고착화를 예방할 필요성을 제기한 점에서,
Michael W. Hurt의 ‘제시, 스크린 페미니즘, 그리고 호의적 행위주체성의 힘’은 케이팝에서 늘어나는 여성주의 경향이 서구식 페미니스트라는 비난을 우회하고 예술을 명목으로 부정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부캐라는 기호학적 장치를 구사하면서 호의적인 행위주체성을 통해서 저항의 잠재력을 견지하여 여성 권한의 축소에 연루된 서사에 대항한다는 진단을 통하여 케이팝 아티스트들이 한국 사회에서 여성을 위한 새로운 비전 생산에 참여하는 방식을 실제 현장에서 관찰하고 분석한 점에서
두 논문이 최종 수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논문의 독창성과 완결성, 학술성의 정도, 춤비평 및 춤현장과의 연관성 그리고 시의적절성 등을 참작하여 노영재, Michael W. Hurt의 논문을 가작 논문상에 선정하였다.
작성: 본심 심사위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