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협업 춤 작업(2) 국립현대무용단&국립국악원무용단 〈조절하다〉〈강가앙수울래애〉
국악과 현대음악, 그 접점에서 빛난 춤
장광열_춤비평가

 국립현대무용단과 국립국악원무용단의 협업을 표방한 ‘춤의 연대기’(11월 25-26일 국립국악원 예악당, 평자 25일 관람)에는 두 편의 신작이 각기 다른 스타일로 무대에 올랐다. 두 편의 신작을 차별화 된 패턴으로 갖고 간 것은 안애순 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과 최경자 국립국악원무용단 예술감독 대행의 현명한 선택이었다.
 1부에 선보인 〈조절하다〉는 안무자 박순호의 움직임 스타일에 익숙한 3명 댄서들, 특히 두 명 댄서들의 파트너십에다 라이브 국악기 연주가 더해졌다. 2부에 공연된 〈강가앙수울래애〉는 국립국악원무용단이 보유한 〈강강술래〉 작품을 안무가 안애순이 현대음악 작곡가(김기영)와 사운드 디자이너(피정훈)의 협업을 통해 새롭게 해체한 작업이었다. 30분 길이의 차별화된 성격의 두 편 작업을 비교해 보는 재미가 쏠쏠했고, 향후 보완작업을 그친다면 음악과 움직임의 조합이 갖는 한국적인 컨템포러리댄스로서의 경쟁력있는 레퍼토리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조절하다〉는 꽤 잘 만들어진 작품이었다. 안무자가 전작인 〈활〉에서 이미 활을 소재로 한 작업경험이 있었기 때문인지, 활이 갖고 있는 본체와 활쏘기가 갖고 있는 속성을 오브제와 속도감으로 활용하고 표출하면서 인간이 갖고 있는 자아와 연계시킨 분명한 콘셉트가 탄탄한 밀도로 조합되어 있다.
 활의 본체와 한쪽이 풀린 줄을 사용해 만들어 내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변주, 시위를 떠난 화살이 실제로 과녁을 향해 날아가는 예기치 않은 반전, 곧 무대를 횡으로 가로 지른 화살이 과녁에 꽂히면서 만들어내는 소리를 청각적으로 활용한 안무자의 감각이 시종 무대를 장악한다. 5명 연주자들과 솔로 연주자의 공간 배치와 라이브 연주 사이의 움직임 배합, 댄서들의 의상과 플로어는 백색으로, 연주자들의 의상은 흑색으로 매칭 시킨 비주얼은, 전체적으로 차분한 톤으로 풀어낸 공연 내내 움직임과 음악과의 긴장감을 유지시키는 데 일조했다.
 박경소의 가야금과 만난 댄서들이 활쏘기의 운동성을 몸으로 체화시키는 장면에서 작품은 정점을 달렸다. 그때의 감흥은 전통(전통음악과 전통궁술)과 현대(춤)가 만나 만들어낼 수 있는 드문 접점을 찍었다.

 

 



 아쉬움도 있었다. 아쟁과 거문고 파리 대금 그리고 타악기가 만들어내는 합주에서 춤과 주고받는 협업이 증폭되지 못한 점이다. 이 점은 연주자들의 역량을 감안하면 춤으로 인해 음악이 빛나고 음악으로 인해 춤이 빛나는 조합이 담보될 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안타까웠다.
 〈조절하다〉는 안무자의 전작인 〈활〉보다 완성도가 높다. 이번처럼 라이브 연주를 곁들인다면 해외무대에서의 경쟁력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다. 창단 7년을 맞은 국립현대무용단이 객원 안무 작업을 통해 만들어낸 여러 작품 중에서 단연 앞줄에 서도 될 만한 수작이다.

 

 



 〈강강술래〉는 한국의 다른 어떤 민속무용보다 춤과 음악, 놀이적인 면에서 보고 즐길 거리가 많고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무한하다.
 원무(圓舞)가 갖는 대형, 덕석몰기와 덕석풀기 등에서 보여주는 움직임의 변형(나선형, 고리따기형 등), 고사리꺾기 등에서 보여주는 놀이성, 앞소리와 뒷소리가 만들어내는 흥취, 여기에 나눔춤(Sharing Dance)으로서의 속성 또한 무대예술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
 〈강가앙수울래애〉는 굿에서부터 만석중놀이 등 이미 한국의 전통 유산을 작품 속에 용해시킨 경험이 축적된 안무자 안애순의 ‘강강술래’ 헤체작업이란 점에서 관심을 보았다.
 초반부는 궁중정재와 민속무용 춤사위에 흠뻑 젖어있었던 무용수들과 현대무용 안무가가 요구하는 움직임의 간극, 그 생소함에 대한 싸움이 치열했다. 이미 짜여진 움직임에 대한 훈련의 결과물이라기보다는 안무자가 개개 댄서들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주문한 듯 보였으나 군무에서 읽혀지는 안애순 스타일의 리드미컬한 조합과는 동떨어진 생경함이 꽤 오래 지속되었다.
 초반부의 이 어색함은 중반을 넘어서면서 돌변했다. 기존의 ‘강강술래’에서 보여 지지 않았던 대형 변화와 움직임의 조합이 신선했다. 김기영과 피정훈의 음악은 음표가 살아 숨쉬는 듯 댄서들의 움직임과 화합했다. 기존의 강강술래에서 보였던 직립한 댄서들의 움직임은 온몸 쓰기와 맞물리면서 역동성과 조형미가 배가되었다.
 안무가는 댄서들의 등을 바닥에 밀착시키면서 생긴 두 발과 두 팔의 자유로움을 역동성으로 연계시켰다. 원무 형태에서는 손을 잡고 움직이는 대신 점프를 통해 무대 바닥과 댄서들의 발밑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관객들에게 선사했다. 직립한 상태에서 댄서들이 보여준 팔과 발의 사용이 잘 짜여 진 스텝처럼 보였다면 몸전체를 대지에 밀착시킨 댄서들의 발과 팔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강렬했다. 힙(Hip)을 포함해 몸통 전체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동작은 육감적이기까지 했다.

 

 



 전통적인 강강술래가 직립한 댄서들의 몸의 변주였다면 안애순의 작업은 무용수의 몸통 등과 배를 바닥에 대고 그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체하면서 새로운 동력을 얻은 셈이다. 기존의 강강술래 말미에 무용수들이 전체가 하나의 원형 대형을 유지하면서 나선형으로 이어 꼬리따기 형태로 변주되는 것과 달리 안무자는 대형을 세 개의 축으로 유지하고 무대를 회전하도록 해 댄서들이 한 명씩 사라지게 해 마지막에는 두 명의 댄서를 통한 2인무로 엮어내는 시도를 보여주었고 이는 꽤 신선했다. 다만 20명 댄서들과의 작업에서 보여줄 수 있는 시각적인 앙상블의 구축은 향후 보완이 필요해 보였다.

 규모가 큰 단체들의 연합 공연은 협업작업을 위한 시간 확보가 일찍부터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두 단체 모두 적지 않은 양의 국내외 공연을 소화해 내어야 하는 상황이다 보면 명분 있는 작업이지만 정작 그 작업을 받쳐줄 준비는 소홀해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개개 단체의 작업을 우선시 해야하는 현실적인 인식 또한 장벽이 될 수 있다.
 국립국악원무용단과 국립현대무용단의 이번 두 작품의 협업 결과물은 나쁘지 않았다. 무엇보다 협업을 통한 음악과 무용의 크로스오버에서 성과를 남겼다. 협업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이 할애되었더라면 두 장르의 서로 다른 요소들이 예술적으로 더 세련되게 결합될 수 있었을 것이다.
 오늘 이 시대의 춤을 표방하는 컨템포러리댄스 작업을 주도하는 국립현대무용단과 한국의 국공립무용단 중 가장 전통적인 춤을 고수하고 있는 국립국악원무용단과의 협업은 분명 의미가 있다. 작업의 스타일에서나 소재의 추출, 몸과 몸의 충돌, 그리고 무엇보다 음악을 어떻게 접합시키느냐에 따라 자유로운 예술적 상상력과 공공성을 담보하는 작업에 대한 가능성이 그만큼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16. 12.
사진제공_국립현대무용단/옥상훈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