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새 정부가 출범하였다. 새 정부 출범이 이전에 비해 더욱 각별한 의의를 갖는다는 중론에 맞추어 〈춤웹진〉은 새 정부에 바라는 목소리로서 한국춤비평가협회 회원들의 공동 기고를 모아 소개한다. - 편집자
새로운 국민주권정부와 함께 하는 문화적 소망
채희완_춤비평가
무능 무도 오만한 윤석열 검찰독재 정권이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빛의 혁명으로 무너졌다. 나라가 도탄에 빠질 때마다 권력을 찾아준 이들이 누구던가.
새로 출발한 이재명 국민주권정부는 “주권자 국민의 뜻을 침로로 삼아 전진하겠다”는 대통령 취임사대로 개혁적 국민을 앞세워 시대적 사회전환의 토대구축과 실질적인 실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천명하였다. 그리고 실용과 통합이라는 두 동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민주주의를 세울 시간이라 하였다.
민생의 안정이 가장 핵심적인 과제라 하면서도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정부 안팎에서 내란의 주체세력과 비호세력을 말끔히 척결하는 과제이다. 이야말로 2024년 12월 3일 느닷없는 심야 계엄 선포에 국회의사당에 모여들어 국회를 사수한 시민들과 이후 2025년 6월 2일까지 일손을 놓고 밤새워 거리에서 광장에서 역사의 현장을 지킨 민중들의 소리에 응답하는 첫걸음이 아닐 수 없다. 이는 광장의 소리대로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사회개혁의 출발점인 것이다.
6월 4일 대통령 취임 선언서에 잘 표명된 대로 12·3 내란 청산과 사회통합, 성장 회복과 양극화 해소를 통한 균형 성장 경제 등, 경제도 외교도 실용중심으로 실행하고 ‘사회대개혁 과제를 흔들림 없이’ 실현하면서 사회적 참사 규명, 안전사회 건설, 재생에너지 중심사회로 전환 등을 천명하고 있다. 나아가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통해 글로벌 경제, 안보환경대전환의 위기를 국익을 위한 기회로 만들고 외교의 지평을 넓히고 국제적 위상을 높여 대한민국의 경제영토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하였다.
희망컨대 국민 주권이 확실히 수행되는 나라임을 토대로 광장의 소리가 대소규모의 21세기 직접민주주의로 실행되는 나라로 나아간다면, 제국주의적 국제침탈이 끊임없는 국제역학 관계 속에도 민중주체의 대소규모 생활공동체집단이 우리의 정체성과 세계일원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줄 터이다.
광장의 소리가 제도적 직접민주주의의 실현으로 될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통령 취임선언서는 무거운 과제를 경쾌하고도 신속하게 해결하고 실천할 밝은 미래전망에 가득차 있다.
우리는 여기에 대통령 후보로 나선 권영국 진보당 대표의 대선 강령이 신임대통령의 사회대전환 개혁의지에 근원적인 한 동력으로 합세하길 희망한다.
“갈아엎자. 불평등세상!” 평등 평화의 세상이길 갈구하는 민중의 소리다. 그 실행 대안은 의외로 소박하고 민초적이고 은근하고 장구하다. 민주당의 대선 강령과 동행인 점도 많다. 세상을 뒤바꾸는 대개헌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첫째 부자증세 서민복지를 통한 무상돌봄, 무상간병, 전국민 4대보험, 둘째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셋째 차별금지법 제정, 넷째 공공재생에너지 확대 등이다.
온통 생명과 평화의 작은 실천항목들이다.
이를 실현하는 데 부딪치는 적지 않은 정치적 사회적 갈등과 그의 해소는 집권당인 민주당도 함께 겪어야 할 통과의례이다.
이땅의 민중의 소리와 함께 해온 민족문화예술계에서는 진보당의 “평등 평화의 세상” 강령에 깊이 동조해왔다.
사회적 약자, 빈민, 장애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성차별피해자, 억압받는 노동자, 부당 해고자들의 생존권과 인권은 온 국민의 생명기본권이다.
차별과 적대감과 질병과 전쟁과 기후위기와 인권억압과 생명억압은 이 시대에 물리쳐야 할 시대적 살(煞, 죽임)이다. 시대적 사회적 죽임과 살을 드러내 풀어 물리치고 거기서 샘솟는 민족적 신명과 생명 에너지를 체험토록 하는 것이 이 시대 민족문화예술의 역사적 소임이다.
이로써 우리는 “생명과 평화”라는 21세기 최강의 민족적 세계사사적 대의를 온몸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불평등한 세상을 뒤엎고 생명 평화의 신명나는 세상을 이루는 일에 문화예술적으로 앞장서는 일이 K-컬처의 세계사적 선도성이다. 그러한 세상일을 판 벌일 수 있는 이땅의 정치적 상황이 지금 우리에게 일차 주어졌다고 실감한다.
─────────────────────────
국민주권정부, 만사는 정책의 투명성이다
김채현_춤비평가
새 정부를 정부 안팎에서 국민주권정부라 한다. 근대 국가는 주권재민을 원리로 하며 대한민국도 1948년 제헌헌법 이래의 정부들은 명목상 국민주권정부에 속한다. 삼척동자도 알 일이다. 새 정부가 굳이 국민주권정부를 내세우는 연유는 무엇인가?
실제로 독재 정부, 반(反)민주 정부의 통치 세월이 길었고 심지어 민주 정부를 참칭한 경우까지 상기해보면 새 정부의 국민주권정부는 의의가 작지 않다. 국민주권정부 이름에는 그간의 정부들이 주권재민을 소홀히하였다는 함의가 강력하게 담겨 있다. 국민주권정부를 헌법 및 법규에 부합하도록 실행하는 데는 결기는 물론 엄청난 공력이 요구될 터인데도 새 정부는 굳이 스스로 앞장서서 국민주권정부를 표방하고 나섰다. 주권재민을 위하여 정부 스스로 짐지고 나선 것은 우리 현대사에서 초유의 일이고 역사적이다. 매우 극적이다. 더욱이 헌법재판소도 2025년 4월 4일 대통령 윤석열 탄핵 사건 선고 결정문에서 명시적으로 그리고 엄중히 판단한 간결한 사실로서 새 정부는 광장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므로 응당 국민주권에 충실한 정부여야 한다. 국민주권정부를 두고 포퓰리즘의 수사라는 시각도 없지 않으나 겸허한 자세를 견지하며 포퓰리즘에 치우치지 않으면 된다.
그간 역대의 00정부, □□정부들이 청사진에서 제각각 당대의 시대 정신과 국민 여망을 담았을지라도 용두사미의 결과를 빚었던 실제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국민주권정부는 그러한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현 정부 임기가 끝날 5년 후의 시점에서 국민주권정부의 실적을 소명하는 대(對)국민 보고서가 문화예술 부문에서도 적어도 부끄럽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이는 광장 민주주의의 열망에 답할 최소한의 도리이다.
우리 헌법은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명시한다. 국민주권정부는 이 헌법 제1조에 충실한 정부가 되겠다는 다짐을 진솔하게 천명하고 있다. 헌법 제1조가 국가 운영의 지침으로 정면에 내세워짐으로써 헌법과 헌법에 따른 질서와 법규가 존중받는 세상이 그려진다. 국민의 넉넉한 일상과 행복을 위해 정부가 즉각 펼쳐야 할 정책은 무수하다. 그런 와중에서도 헌정 유린, 위법 탈법 천지 같은 부조리를 씻어내어 국가 각 부문의 역량이 제자리를 찾도록 하는 일도 시급하다. 멀리는 문화예술의 심의와 검열, 가까이는 블랙리스트처럼 정권과 통치자의 입맛에 맞춰 문화 정책이 심각하게 왜곡되곤 하였음을 과거는 증언한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문화예술 각 부문을 저해하는 갖가지 부조리에 대해 국민주권정부는 주권자인 문화예술 현장의 여론, 중론을 경청하고 정책에 수렴해야 옳다.
국민주권정부의 문화 정책, 춤 정책은 어떠해야 하는가? 거론하자면 그 세부 목록이 아주 길 듯하지만, 이를 위해 정부는 우선 공청회부터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역대 정부에서 정부 출범 시기에 현장을 대상으로 한 그런 기회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해당 정부 시기의 정책을 대체적으로 돌이켜 보자면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았다는 판단이다. 왜 효율적이지 않았을까. 구색맞추기와 생색내기라면 공청회는 불필요하다. 단적으로, 공청회에서 개진되는 갖가지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에서뿐만 아니라 이를 구체적으로 정책에 반영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도 현장의 실질적 참여가 보장되어야 국민주권정부 이름값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민주권정부는 국민주권정부다운 문화 정책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 실체를 이제부터 찾아가야 할 과제로서 앞두고 있다. 이 과제는 크게 두 축으로 나눠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는 특정한 새 정책이나 시책을 개발하여 집행하는 일이고, 또 하나는 문화 정책과 시책을 구현하는 과정을 새롭게 하는 일이다.
전자의 대표적 사례로 무엇보다 국민주권의 헌법에 천명된 국민의 문화적 권리를 보호하고 신장하는 방향의 정책이 들어진다. 이 방면으로 이미 있던 정책들도 응당 국민주권정부에 맞춰 다듬어져야 한다. 전문 문화예술인의 권리 또한 이 방향에서 혁신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 정책의 구현 절차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다면 문화적 권리를 위한 아무리 이상적인 정책이라도 시들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는 이전의 현장 경험이 말해준다. 즉, 정책 개발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정책 집행의 민주적 과정인 것이다.
국민주권정부라 해서 국민이 직접 통치하는 것은 아니며 당연히 대의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권력은 정부에 위임된다. 결국 정책 집행은 정부의 몫이다. 어떤 정부라도 정부가 굳이 문화예술 전문인에 버금가는 식견과 역량을 갖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자기 의무로서 충실해야 할 것은 예산과 정책으로 그러한 식견과 역량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일이며, 실상 이런 역할도 결코 작은 일이 아니다. 아무튼 국민주권정부에서 정부의 책임은 더 무거울 것이고 또 당연한 일이다. 그래도 명심할 바는 정책 집행 과정이 정책 개발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이다. 역대 정부들이 문화예술에서도 정책 개발이 없어서 용두사미였던 것은 아니다. 00정부라는 구호보다는 실질적 정책이고, 실질적 정책에 못지않은 것이 정책 (집행) 마인드이다.
지난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난데없이 발레, 오페라, 교향악, 현대무용, 합창 등 5단체의 국립예술단체통합을 시책으로 거의 강제적으로 추진하다 무산된 적이 있었다. 21세기 민주 국가에서 이런 막무가내 투의 일이 버젓이 일어난다는 것은 그 얼마 후 내란형 계엄령이 선포된 것에 비추어 보면 그리 놀라워할 일도 아니다. 이는 국가 운영이든 정책 집행이든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당사자들의 의식과 의중에 따라 쉽게 망가질 수 있어 어느 면에서는 그 의식과 의중이 절대적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정부 내의 크고 작은 일들이 검증을 거치는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었더라면 국립예술단체통합 추진 같은 해괴망측한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고 국무회의 심의를 평소에 제대로 준수했더라면 내란형 계엄령 같은 사태는 물론 지난 반년 동안의 국민적 피해(그 어마어마하며 뼈저린 피해를 내란 주모자 가운데 그 누가 보상할 것인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 아닌가.
무릇 정권 교체를 상징하는 새 정부는 정무직과 임명직이 새 정부의 사람들로 교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정책의 사령탑이 바뀌는 가운데서도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과 관료는 사실상 그대로이다. 국민주권정부로 바뀌어도 정책 집행의 기관과 관료는 별 변화 없이 존속할 테지만, 국민주권정부라는 대의를 정책으로 구현해낼 의지만큼은 그들의 새로운 덕목으로 강조되어야 하겠다. 물론 국민주권정부에 걸맞은 정책과 사업이 개발될 필요가 있는 한편으로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것은 과감하게 폐지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더욱 시급하고 결정적인 것은 국민주권정부에 부합하는 정책 집행 관행을 뿌리내리는 일이다.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력을 집행한다는 주권재민의 정신은 국민주권정부의 근본 원칙이다. 이런 차원에서 정책 집행이 무엇보다 개방적이고 투명해야 할 것이므로 정부가 위임받은 권력을 시민이 감시·지원하는 협치가 누누이 강조되는 것이다.
지금 한국 문화는 세계적으로 조명을 받고 있으며 전에 없이 대외적으로 전망이 밝은 편이다. 대내적으로는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적 호응이 높아가고 문화예술인들의 열성도 강하다. 반면에 실제 현장에서는 양극화에 따른 위기가 문화예술계에서 가중되고 있고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여건 악화는 아예 일상이 되었다. 유능함에도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입으로 생활에 급급해야 하는 창작인들도 드물지 않다. 게다가 공공예술단체와 민간 단체 사이의 불균형은 더욱 벌어지고만 있으나 다수 공공 단체는 매너리즘에 안주하고 있을 뿐이어서 솔직히 혁신이 아니면 가히 답이 없을 정도이다... ... ... 겉보기와는 달리 속으로는 문화예술의 침몰이 진행되는 중인 것이다. 소소하게는 정부의 지원 체계가 지나치게 번잡해서 창작의 열정을 방해하므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여론도 아주 드세다. 이러한 현실에서 춤계는 물론 어느 예술 부문, 장르도 예외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시대의 흐름은 공고해서 문화예술인들의 과제는 늘어가고 있다. 아주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오늘의 문화예술 현실에서 문화예술인들 스스로 자구책을 찾아야 하는 한편으로, 국민주권정부이든 아니든 새 정부가 무엇보다도 문화예술의 생태계 측면에서 뚜렷한 전기를 이뤄내야 할 것은 분명하다.
문화부 이름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출범한 지 35년이 넘었다. 한때 정부 부처 가운데 아주 선진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시절이 있은 듯하나 블랙리스트와 국정농단이 반증하는 것은 세월이 흐를수록 문화체육관광부의 물이 안으로 흐려져왔다는 사실이다. 문화부가 출범할 당시에는 상상도 못 했을 블랙리스트와 국정농단이 버젓이 빚어진 것은 그 빙산의 일각이 아닐까. 그 풍토가 이러할 진데 정책의 투명성이나 협치는 언감생심 꿈도 꾸지 못할 일이 되지 않았는가. 이런 터에 국민주권정부가 집권했고 국민주권을 강조하고 있다.
국민주권정부 시대에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주권의 참 동반자로 거듭나야 한다. 비단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산하기관과 예술단체들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들의 공공예술단체, 문화재단 또한 그러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는 바로서, 국민주권정부라는 대의를 정책으로 구현해낼 의지가 정책 집행 당사자들의 덕목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주권재민의 원칙 아래 공공의 일들이 제대로 움직여나가는 것, 광장 민주주의가 명쾌하게 언명하듯이 이것은 시대의 요망이고 주권재민 현장의 엄정절절한 요구이다.
─────────────────────────
댄스 하우스(Dance House)를 세워라
이만주_춤비평가
21세기 들어 문화ㆍ예술의 선진국들에는 현대춤(contemporary dance)을 위한 전용극장인 댄스 하우스(dance house)가 앞다투어 생겨나고 있다. 우리도 댄스 하우스의 설립을 생각해 볼 시점이다.
오페라, 연극, 영화의 발전 못지않게 세계 각국은 현대춤 발전에 각축을 벌이고 있다. 현대는 각 나라의 전통춤, 현대무용, 발레 등 모든 춤이 무한한 상상력의 발현인 창작무용, 현대춤으로 수렴되는 시대이다. 뮤지컬도 그 기저에는 노래와 더불어 현대춤이 큰 몫을 하고 있다. 또 오늘날 한류인 K-Pop이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이유도 노래와 함께 춤을 추는 댄스 뮤직이기 때문이다.
1637년 베네치아에 최초로 귀족이 아닌 공공 일반을 위한 오페라 하우스(opera house)인 Teatro San Cassiano가 생긴 이래 19~20세기에는 오페라 하우스가 유럽 도시들의 얼굴 노릇을 했다. 유럽 전역에는 독일의 80여 곳을 비롯하여 수백 곳의 오페라 하우스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제는 유럽의 각 도시마다 댄스 하우스가 활발하게 생겨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98년 독일 뒤셀도르프에 전차(tram) 차고지를 개조해 8개의 대·소 공연장과 연습실을 갖춘 현대춤 전용의 ‘댄스 하우스(Dance House, Tanzhaus NRW)’가 최초로 문을 연 이래, 유럽 각국 도시들에는 이미 수많은 ‘댄스 하우스’가 건립되었다. 2025년 현재 ‘댄스 하우스’와 ‘현대춤센터’의 연합체인 EDN(European Dance Development Network)에 등록된 회원 수는 28개국 54극장이다.(댄스 하우스는 social dance, 소위 사교춤의 전용 장소로 1919년 영국 Hammersmith Palais에 최초로 생긴 ‘댄스홀(Dance Hall)’과는 구분되어야 함.)
한국은 세계에서 춤의 자산이 가장 많은 나라 중의 하나이자, 한때 세계에서 대학에 무용학과가 가장 많은 나라였다. 어느덧 한국의 전통춤에서 출발한 한국창작춤도 컨템퍼러리 댄스의 범주에 들어가면서 ‘춤의 나라’답게 세계적으로 수준 높은 작품들을 탄생시키고 있다.
꼭 오페라만 공연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오페라 하우스를 지어놓고 오페라를 공연해도 우리는 종주국인 이태리와 독일의 수준에 버금갈 수가 없다. 하지만 춤은 다르다. 겨루어 볼 수 있다.
현재에도 한국에는 전통춤, 발레, 현대무용, 창작춤 등 다양한 형태의 춤 작품을 올릴 수 있는 춤 공연장으로 대표적인 극장들이 많다. 예를 들어 춤 전용극장은 아니지만 실험적인 현대춤들이 많이 공연되는 아르코예술극장의 대극장과 소극장,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과 자유소극장 등이 있다. 또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극장과 춤 중심의 사설극장 등이 있다.
과거의 극장과 오페라 하우스는 무대와 객석을 구분하는 액자 모양의 프로시니엄(proscenium) 무대가 주조였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춤의 무대는 박스형이나 가변무대가 더 어울리므로 새로운 건축 개념이 요구된다. 서울에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춤 전용극장인 댄스 하우스가 필요하다. 그러면서 댄스 하우스가 현대춤의 허브 역할을 해야 한다.
유럽의 댄스 하우스 (28개국, 54개 극장, 2025년 기준)
국가 |
단체 (도시) |
오스트리아 |
Tanzquartier Wien (Vienna) |
벨기에 |
STUK (Leuven) |
불가리아 |
Derida Dance Center (Sofia) |
크로아티아 |
Hrvatski institut za pokret i ples HIPP (Zagreb), Croatian Cultural Centre Rijeka (Rijeka) |
키프로스 |
Dance Gate Lefkosia (Lefkosia), Dance House Lemesos (Limassol) |
체코 |
Tanec Praha–PONEC (Prague) |
덴마크 |
Bora Bora (Aarhus), Dansehallerne (Copenhagen) |
핀란드 |
Tanssin Talo (Helsinki) |
프랑스 |
Le Gymnase CDCN (Roubaix), Centre National de la Danse CND (Pantin), Maison de la danse (Lyon), LaBriqueterie CDCN (Vitry‑sur‑Seine), KLAP Maison pour la Danse (Marseille) |
독일 |
Tanzhausnrw (Düsseldorf), HELLERAU (Dresden), K3/Tanzplan Hamburg (Hamburg) |
그리스 |
DDRC / Duncan Dance Research Center (Vyronas, Athens) |
헝가리 |
SÍN Arts Centre (Budapest), Trafó House of Contemporary Arts (Budapest) |
아일랜드 |
Dance Ireland (Dublin), Dance Limerick (Limerick) |
이탈리아 |
Oriente Occidente (Rovereto), Lavanderia a Vapore (Collegno/Torino), Centro per la Scena Contemporanea CSC (Bassano del Grappa) |
리투아니아 |
Lithuanian Dance Information Centre (Vilnius) |
룩셈부르크 |
TROIS C‑L (Luxembourg) |
네덜란드 |
ICK Dans Amsterdam / ICK Artist Space (Amsterdam), DansBrabant (Tilburg), Dansateliers (Rotterdam), Korzo theatre (Den Haag) |
북마케도니아 |
Lokomotiva – Kino Kultura (Skopje) |
노르웨이 |
Dansens Hus Oslo (Oslo) |
포르투갈 | O Espaço do Tempo (Montemor‑o‑Novo), DeVIR / CAPa Algarve (Faro) |
루마니아 | AREAL (Bucharest) |
세르비아 | Station Service for Contemporary Dance (Belgrade) |
슬로바키아 | Divadlo Štúdio Tanca (Banská Bystrica), PLAST (Bratislava) |
슬로베니아 | Kino Šiška (Ljubljana) |
스페인 | Mercat de les Flors (Barcelona), Condeduque (Madrid), Dantzaz (Errenteria, Gipuzkoa) |
스웨덴 | Dansens Hus (Stockholm) |
스위스 | Pavillon ADC (Geneva), Dampfzentrale (Bern), Tanzhaus Zürich (Zürich) |
영국 | Dance Base (Edinburgh), The Place (London), Sadler’s Wells (London), DanceCity (Newcastle), DanceEast (Ipswich) |
─────────────────────────
기초 연구 토대도 새로이 다져야
송성아_춤비평가
인간은 태어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움직이고, 생존을 위해 노동한다. 그리고 삶을 꾸려나가기 위해 의식주와 각종 의사소통방식을 발전시키며, 한 단계 고양된 삶을 위해 진리와 도덕과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도 한다. 오늘날 문화는 이 모두를 포섭하는 개념으로서, 인간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그 결과물 전체를 가리킨다.
새롭게 출범한 정부는 예술을 포함한 문화일반을 단순 지원 대상이 아닌, 국가 성장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문화산업을 통한 경제 활성화,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 강화, 문화 정책의 구조적 개편을 약속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춤의 경우, 빠른 성장을 위해 오랫동안 도외시했던 여러 문제들, 예컨대 전통 ‧ 전형 ‧ 전통춤에 대한 규명, 한국춤 ‧ 민족춤 ‧ 외래춤 간의 관계설정, 춤의 본질적 기능에 대한 탐색 등과 같은 기초 연구가 국가적 지원과 민관의 협력 속에서 체계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 토대 위에서 다양한 응용과 개발이 모색될 수 있으며, 문화산업의 튼튼한 구성요소로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