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점심때가 되자 스님들은 식당작법을 연행하면서 공양을 하게되었다. 참관은 가능하나 공양(식사)장면 촬영을 금하였다. 그래서 참관인이나 보살들은 대부분 식당으로 내려가 공양을 하였다. 오후 2시부터 제2부 영산재의 핵심을 이루는 절차인 상단권공(上壇勸供)으로 바깥채비(법당 바깥마당)에서 야단법석(野壇法席: 원래의 뜻은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떠들썩한 모습’으로 의미변화)으로 연행되었다.
육법공양(六法供養) 앞서 독특한 명바라춤으로 시작 알려
제2부 첫 순서는 명바라(鳴鈸)로 시작하였다. 원래(3일 영산) 신중작법이 끝나고 괘불이운이 시작하기 전에 추는 바라춤이다. 1일 영산으로 축소된 후 할향(喝香: 향을 불사르는 글을 홋소리로 독창) 직전에 거행하여 재의식의 시작을 내외에 알린다는 의미에서 명바라춤이 지닌 기본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나고, 춤사위도 매우 특이하다.
삼귀의(三歸依) 작법의 나비춤
명바라춤을 마치고 할향(喝香: 향을 불사르는 글을 홋소리로 독창)(2014년 생략)과 할등(喝燈, 법을 등불에 비유한 글을 홋소리로 독창), 할화(喝花, 꽃을 찬미하는 글을 독창), 불찬(佛讚, 불(佛)을 찬탄하는 글을 독창), 대직찬(大直讚, 불보의 덕을 찬탄), 지심신례(志心信禮, 대중이 어장을 중심으로 원을 그려 짓소리)를 하고, 삼귀의(三歸依)에서 태징소리에 나비춤을 춘다. 삼귀의(三歸依)작법에서는 범패 홋소리에 맞춰 중앙에서 나비춤을 추고 둘레에서는 대중(스님)들이 도량돌이를 한 다음, 나비춤과 바라춤을 함께 춘다.(무보는 생략) 나비춤을 출 때 대중들이 모두 큰 원을 돌며 도량을 도는 것은 부처를 찬탄하고 영가(靈駕)의 공덕을 찬미하고 부처의 설교를 찬덕 하는 의미를 가지고 도량돌이를 하는 것이다.
복청게(伏請偈) 후의 활기찬 천수바라춤
중직찬(中直讚), 보장취(寶藏聚), 소직찬(小直讚), 합장게(合掌偈), 개계(靈山開啓), 관음청(觀音請), 복청게(伏請偈) 후의 천수(千手)바라춤을 춘다. 복청게는 일종의 청문(請文)으로 대중에 알리고 청하는 내용의 홋소리이며, 이어서 추는 천수바라춤은 도량의 정토화(淨土化)를 위해 결계(結界)를 행하는 작법이다. 태징박자에 소사물과 태평소반주에 맞춰 많은 스님들이 함께 추며, 춤사위는 기본적인 가장 남성적이고 활기찬 춤사위로 제자리에서 돌며 연행한다. 처음에는 제자리에 서서 바라를 위로 젖혀 모아들고 반주에 따라 바라 끝을 계속 부딪쳐 소리를 가볍게 낸다. 이어서 바라를 쳐올리면서 사방으로 돈다. 바라를 왼손 오른손 따로 상하로 돌려 들었다 내렸다 하며 사방을 돈다. 끝에 바라를 머리위로 올렸다 내리며 반배를 하고 마친다. 금년 천수바리춤에는 참여 인원이 많아 2팀으로 나누어 한 번 더 연행하였다.
사방찬(四方讚) 후 도량게(道場偈)작법의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사방찬(四方讚)은 불보살을 모신 도량이 청정해지기를 염원하고 찬탄하는 의미의 게송(偈頌)의식이며, 이어서 대중이 둥글게 도량을 돌며 착복한 스님이 도량게(道場偈)작법 나비춤을 추고 요잡바라춤을 함께 추고 법고춤으로 이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