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에세이
진주탈춤한마당, 삶의 힘 흥과 신명
채희완_춤비평가, 진주탈춤한마당 예술감독

 

 

 

 해마다 무르익은 봄철에 해오던 진주탈춤한마당(9월 12-14일, 진주남강 야외 무대)이 올해는 가을에 접어들어 올리게 되었습니다.
 진주탈춤한마당은 전래의 탈춤과 이를 이어받은 여러 가지 새로운 연행을 중심으로 벌이는, 말하자면 ‘오늘의 진주고을굿’으로서 내용을 잡아 그 몫을 다해왔습니다. 전승탈춤을 오늘에 옮겨 민중삶의 내용과 소망을 풀어내어 말문을 열고, 못살게 구는 것을 물리쳐 살맛나고 아름다운 공동체로 나아간다는 것이지요. 이처럼 진주탈춤한마당은 삶의 힘과 흥과 신명을 돋우고 나누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의 한 축전인 것이지요.




 그러나 올해는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을 맞는 해이므로 마땅히 그를 기리는 행사가 또 하나의 중심내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20년 전 동학100주년을 맞아 ‘한국민족극운동협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총체연행물 마당굿 <칼노래 칼춤>을 다시 올리는 것은 그러한 뜻입니다.
 또한 진주탈춤한마당은 잊혀진 전통예술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산실이기도 합니다. 10여 년 전 진주오광대도 여기에서 되살아나는 계기를 잡았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선을 보이는 이선유 명창의 판소리 동편제와 진주삼천포풍물의 토대인 솟대쟁이패놀이도 여기에서 튼튼히 되살아나는 좋은 과정을 겪게 되리라 축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복원 시도가 학술발표회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더욱 뜻이 깊습니다. 이처럼 학술과 예술 활동이 한 몸이 되어 또 하나의 굿을 이루는 것을 ‘학예굿’이라 부릅니다. 이는 그리스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서양학술모임인 ‘심포지엄(향연)’과 맞견주어볼 만한 우리의 학문연행입니다.
 몇 해 전부터 일본의 가쿠라공연과 학술발표, 그리고 이번의 부토퍼포먼스도 ‘학예굿’의 또 다른 한 방식으로 일본 문화와 좋은 관계를 맺는 굿일이 됩니다.
 고성, 통영 등 다른 지역의 오광대 공연, 젊은 탈꾼패의 공연, 그리고 지역 서민 삶의 애환을 그린 ‘부산극단 자갈치’의 <오마이갓뎅>과 ‘대전민족예술단 우금치’의 <덕만이 결혼원정기> 공연 등은 진주탈춤한마당이 문화적으로 넉넉한 품이 있음을 보여주면서 이 축전행사의 역사적 지속성을 든든하게 해줍니다.
 다만 크게 아쉬운 점은 온 겨레가 비탄과 분노에 잠겨 사건이 난지 150일에 이르도록 몸과 마음을 가누지 못하고 허우적대고 있는 ‘세월호 참사’의 진실규명에 대해 이렇다 할 행사내용을 갖추지 못한 점입니다.





 1593년 계사년 진주성 싸움에서, 19세기 진주민중봉기에서, 동학농민전쟁에서 돌아가신 이들의 넋과 함께, 올해 봄 4월 16일 세월호참사로 돌아가신 이들의 넋을 기리고 유족들을 위무하는 의례행사는 없을 수 없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에서 더 나아가 죽음과 죽임의 세력을 드러내 죽임의 정체를 밝히고 이와 대결하면서 참사의 민중적 진실을 확보, 천명하는 일이야말로 오늘 이 땅의 민중 삶의 비원을 풀어내는 축전으로서 더욱 긴요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탈춤이 아닐지라도, 그것이 비록 예술이 아닐지라도 이는 2014년 이 땅의 어둠을 걷고 앞날을 예축하는 진정한 벽사진경의 나라굿이 아닐 수 없을 것입니다. 진주탈춤 한마당을 늦춰지게 한 세월호 참사를 다시 한 번 되돌이켜 보면서 이때 할 일을 제때 제대로 못한 것에 반성을 합니다.

2014. 09.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