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연속 기사 · 투잡(1)
어느 초인(超人)
김채현_춤비평가

일상화되는 엔잡러

우리 시대를 상식은 디지털, 인공지능, 4차산업, 호모데우스, 신자유주의, 민주주의, 페미니즘, 혐오, 극우, 각자도생... ... ... 시대라 일컫는다. 뿐만이 아니다. 투잡, 엔잡러(njobler)를 일상적으로 듣는 오늘날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도 최근 몇 해 투잡(부업·副業, 겸업·兼業)을 하는 경제 인구의 꾸준한 증가 추세가 확인된다. 2022년 11월 기준 전체 경제활동인구 2900만명 가운데 부업 인구는 55만명이며, 2018년에는 43만명이었다. 2010년대에 부업 인구가 40만명 초반선이었던 사실과 비교하면 최근 5년 사이에 큰 폭으로 늘은 편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예술인과 무용인 가운데 투잡을 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우선, 2021 예술인 실태조사보고서(문화체육관광부, 매 3년마다 발간함)의 통계치를 보자. 2020년 조사 당시 전체 예술인 가운데 46%가 겸업, 즉 투잡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무용 분야는 46%였다. 2018 예술인 실태조사보고서에서도 투잡 비율이 전체 예술인의 43%, 무용인의 42%로 집계되었다. 끝으로 2015 예술인 실태조사보고서에서는 투잡 비율이 전체 예술인의 50%, 무용인의 55%로 집계되었다. 여기서 춤계를 비롯해서 투잡하는 예술인 비율이 늘어나는지 줄어드는지 한 방향으로 가늠하기는 어렵다. 다만, 2017년 이후 몇해 동안 겸업 예술인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의 전체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최근 5년 부업 인구가 늘은 것과 유사한 추세가 보인다.

그런데,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9%가 투잡을 하는 데 비하면 예술인의 투잡 비율은 도저히 비교가 안될 정도로 높다. 물론 통계청의 조사치와 문광부의 조사치를 동일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문광부 조사에서 겸업으로 간주하는 예술관련 직무가 통계청 조사에서는 겸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통계청 기준을 적용하면 문광부 조사의 겸업 비율은 절반 이하로 낮춰질 가능성이 높다. 즉, 2020년 현재 예술인의 겸업 비율은 20% 남짓일 것으로 추정된다는 말이다.


투잡은 예술의 대전제인가

그렇더라도, 예술인의 투잡 비율이 절대 높은 것은 분명하다. 겸업 예술인이 점차 늘어나는 요인으로서 2020년의 코로나 사태를 꼽기 마련이지만 코로나 사태 와중에서도 지속된 국내 문화 소비 양상에서의 변화 등등 다른 요인도 작용했을 것은 물론이다. 그래서 겸업 예술인이 늘어나는 사실을 단순히 코로나로 인한 일시적 현상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겸업의 투잡이 예술계에서 어제오늘의 현상인 것은 아니다. 경제활동인구조사가 나타내듯이, 그리고 범세계적인 각자도생의 시대 속성에 비추어 보아, 향후 획기적인 계기가 있지 않은 한, 예술인의 겸업 현상은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춤 생태계의 위기가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는 것이다.

위의 문광부 조사에 따르면 예술인이 겸업에 종사하는 주된 이유는 예술활동만으로는 생계가 유지되지 않거나(76%) 고용이 불안정하기(11%) 때문이다. 즉, 예술인의 겸업은 생계 유지와 고용 안정 측면에서 예술활동을 뒷받침하는 순기능을 갖는다. 2020년도 조사치의 경우 예술인의 연간 개인 수입 가운데 예술활동 수입, 예술관련(교육, 강사 등) 수입, 비예술 겸업 수입은 대략 1 : 1 : 2의 비율을 보였다. 예술관련 활동도 여기서는 겸업의 활동으로 분류되므로, 예술인의 개인 수입에서 예술활동 수입(695만원, 무용 635만원)과 겸업 수입(1774만원, 무용 1804만원)의 비율은 대략 1 : 3이다. 여기서 보듯이 겸업이 행하는 순기능은 분명하다. 반면에 예술인의 겸업이 초래할 역기능은 조사되지 않아서 추정할 수밖에 없다.

예술활동에서 겸업이 초래할 역기능을 짚어볼 주요한 단서로 조사치에서 겸업에 투입하는 시간(1주당)을 살펴볼 만하다. 우선 겸업하는 당사자의 1주 평균 예술활동 투입 시간은 전체 평균 11시간(2021년 조사치, 2017년 15시간, 2015년 14시간), 무용 분야는 9시간(2017년 15시간, 2015년 13시간)이었다. 그 당사자의 비예술활동 투입 시간은 27시간(2021년 조사치, 2017년 44시간, 2015년 22시간), 무용 분야는 23시간(2017년 41시간, 2015년 22시간)이었다. 여기서 겸업 당사자가 투입하는 시간의 비율을 추산해보면 예술활동 투입 시간 : 비예술활동 투입 시간은 대략 1 : 2~3 정도이다. 시간이 투입되는 그 만큼 아무래도 기력 또한 소진되기 마련이다.

사람은 경제적 인간이면서 이성적 인간, 정치적 인간, 철학적 인간, 놀이하는 인간... ... ..,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인간이다. 사람은 저마다 나름 나름으로 다재다능하므로 투잡, 엔잡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며, 실제의 인생-삶이 그러하다. 투잡은 인생살이의 한 과정으로서 수용되기도 하고 집 떠난 유학생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은 다반사이(었)다. 엄밀히 말해 투잡, 엔잡 자체를 문제시할 일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 투잡, 엔잡이 문제시되어야 하는가? 단적으로, 투잡이 예술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예술할 의욕을 투잡으로 인해 접는다면 문제가 된다.


카페 영업 소상공인이었던 그 작가

“그렇게 나는 아침부터 밤까지 육체노동을 하고 빚 갚는 일로 이십대를 지새웠습니다. 그 당시를 떠올리면 ‘어지간히 일도 많이 했다’는 기억밖에 없습니다... 보통 사람의 이십대는 좀 더 즐거웠을 거로 상상되는데 나에게는 시간·경제적으로 청춘의 나날을 즐길 여유 같은 건 거의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에도 틈만 나면 책을 읽었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아무리 먹고사는 게 힘들어도... 그 기쁨만은 어느 누구에게도 빼앗기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이십대가 끝나갈 무렵 가게 경영이 안정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나에게 청년시대라 할 시기가 이미 끝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뭔가 좀 신기한 기분이 들었던 게 기억납니다. ‘그렇구나, 인생이란 이런 식으로 술술 지나가는 것이구나’ 하고.”

〈노르웨이의 숲〉 〈1Q84〉 등등의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말이다. 여기 가게는 재즈 카페다. 대학 공부에 영 취미를 붙이지 못한 그는 재학중 결혼했고 그래서 좋아하던 취미를 실컷 즐길 셈치고 생계 수단으로 가게를 열었고 자청한 육체노동자로서 뼈 빠지게 일했다. 야구팬이던 그가 텅텅 빈 외야석에서 혼자 드러누워 맥주를 마시던 어느 봄날 오후 좌중간 2루타의 상쾌한 방망이 소리에 “그래, 나도 소설을 쓸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얼핏 들었다고 했다.

하루키는 그날 당장 도쿄 신주쿠의 대형 서점(기노쿠니야) 문구방에서 원고지와 만년필을 사고서는 밤늦게 가게 일을 끝내고 주방 식탁에서 새벽녘까지 생애 최초로 소설 쓰고 지우기를 반년 동안 강행했다. 자기 말로는 별안간의 생각에 그냥 써본 것이라서 별 기대 없이 유명 잡지사의 소설 공모에 응했는데 그는 결국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고쌩 끝에 기반을 잡아가던 가게에 하루키가 안주했더라면? 그다음의 하루키는 출현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루키에 대해서 재즈 카페 운영 경력은 그의 작품 분위기에 비추어 그 문학 수련기의 일환으로 해석될 만하고 그것은 결과(론)적으로 생산적이었다. 작가 등단 후 몇 해 지나 하루키는 재즈 카페를 접었다.


어느 초인

우리 주변의 그는 이제 40줄에 접어들었고 미혼 남성이다. 고교 시절 댄스동아리 활동을 포함하면 춤 경력은 25년에 가깝다. 그는 최근 몇 달 투잡을 쉬고 있다. 대형 소갈비집의 정형기술자로 3년째 근무하던 중 손가락 인대 파열상을 입어 산재 장해로 요양 중이다. 우리가 면담하던 날에도 그는 병원엘 다녀왔었고 긴 손가락은 하얀 기브스로 고정되어 있었다. 보기만 해도 아주 건장한 체격 덕분에 대형 갈비집에서 제대로 근무해냈을 이 사람의 손은 그런 형편이었다.

소갈비집 근무 시간은 아침 10시 ~ 밤 10시이지만 다른 근무자들이 더 연장 근무를 하면 그도 따라야 하는 불문율이 있다 한다. 근무 일자는 주 6일. 주당 근무 시간을 통산하면 80시간에 이를 것 같다. 근로의 강도가 아주 센 편이고, 숙련 정형기술자로서 그는 평균을 훨씬 뛰어넘는 직장맨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육가공 정형기술자를 모집하는 어느 기업 모집 공고문의 근무 조건을 잠시 들여다본다. “정형 초보작업자 모집: 주 5일, 하루 10시간 근무, 아침 점심 제공, 연봉 2천6백만원 ~ 3천만원, 정규직.” 면담에서 이래저래 굳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그의 작업과 연봉 규모는 짐작될 것이다.

그는 주로 춤꾼으로 활동해왔고 의뢰받은 수많은 무대에 출연하였다. 소갈비집에서 근무한 최근 몇 년 동안 도저히 시간이 나지 않아 몇 차례밖에 출연하지 못하였다 한다. 그의 근무 시간대를 보면 충분히 납득가는 일이다. 낮과 저녁에 장시간 고정 근무해야 하므로 다른 단체들과의 연습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장시간의 고정 근무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맞으면 연습에 참여한 춤판들이 이전에는 많았었다. 2010년대 중반을 전후해서 그는 와인샵 소믈리에로서 7년간 근무한 적이 있다. 이 경우 근무 시간은 주 6일간 저녁 7시 ~ 새벽 4시여서 낮 시간대의 연습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새벽 퇴근 후 몇 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일어나 운동하고 출연 연습에 임하는 날들이 많았다고 그는 털어놓았다. 그러한 근무 와중에서도 연습과 출연을 지속했다는 말이다. 이러던 그를 가히 수퍼맨이라 불러도 무방하지 않은가.

그는 고등학교 댄스동아리에서 활동하고 경연대회도 나가고 그때 백업 댄서를 하였으며 지금은 아주 유명해진 어느 기획사의 섭외를 받고 거절한 적도 있었다. 대학에서는 한때 극심한 학폭에 시달렸으며 이후 젊은 무용인들, 공공 단체의 공연에 숱하게 출연하였다. 이럴 적에도 투잡은 거의 필수였다 한다. 새벽 물류 작업, 신축 아파트 냉장고 운반, 건축 설비 보조, 마트 운반, 체력 트레이너, 학원 강사 등등. 그리고 소규모 공공 극장에서도 5년간 근무한 바 있다. 생계 전선에서 갖은 산전수전(山戰水戰)을 치르면서도 춤에의 열망을 놓지 않아온 그의 전사(戰士) 같은 의지가 도드라지는 느낌이다. 오늘도 여러 창작자와 동료 출연자들이 그의 쾌유를 기원하며 그가 마음 편히 출연할 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중이라는 소식이다.
 

- 편집자 알림 -
〈춤웹진〉에서는 건강한 춤 생태계의 조성과 관심을 진작하고 아울러 대안을 환기하기 위하여 춤계의 ‘투잡’ 현상을 연속 기사로 공론화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투잡 사례들을 널리 모으고 있습니다. 사실에 근거해서 작성되고 익명으로 접수된 투잡 사례가 기사에 참조·반영될 경우 작성인과 관계인, 관련 단체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익명으로 처리됩니다. 사례를 제공할 사람의 요청이 있을 경우 협의에 따라 취재 면담도 가능하며 취재원의 신원은 보호됩니다. 많은 관심을 기대합니다.

▶ 사례 접수처: 춤웹진 공식 이메일 
dancewebzine@naver.com

 

김채현

춤인문학습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명예교수. <춤웹진> 편집장. 철학과 미학을 전공했고 춤·예술 분야 비평 수백 편과 저서 『춤과 삶의 문화』 『춤, 새로 말한다 새로 만든다』 『뿌리깊은 나무 샘이깊은 물』(1)을 비롯 다수의 논문, 공저, 『춤』 등의 역서 20여권을 발간했다. <국립무용단 60년사>(2022년 간행, 국립무용단)의 편집장으로서 편집을 총괄 진행하고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지난 30년간 한국의 예술춤과 국내외 축제 현장을 작가주의 시각으로 직접 촬영한 비디오 기록물 수천 편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극장 자료관, 국립도서관 등에 영상 복제본, 팸플릿 등 일부 자료를 기증한 바 있다.​​​

2023. 1.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