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Cloud Gate Dance Theatre 〈Rice〉
린화민은 봉건(封建)에서 그칠 것인가?
이지현_춤비평가

 Cloud Gate Dance Theatre of Taiwan의 〈Rice〉 (안무 린화민. 9월 11-12일. LG아트센터)만 본다면 린화민의 안무는 발전하고 있다기보다는 답보상태에서 길을 잃은 듯 보인다. 70여 분 간의 시간 대부분의 감성은 무대 호리존트에 시종일관 투사된 영상- 그것도 논(畓)의 사계절을 거의 그대로 근접 촬영한-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농촌에서 태어나 살아 본 경험이 있거나 농사의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겐 사계절의 변화가 벼를 품은 땅에 부딪쳐 뿜어내는 냄새와 온도 변화의 여러 느낌들을 불러일으키는 것이겠지만, 이미 농사가 현대에 쇠락한 상황에서 이런 식의 단순한 포착만으로는 자연과 땅, 농사와 쌀에 대한 깊은 감성을 불러일으키기에 영상은 너무 단조로웠다.




 처음에는 시간의 켜가 잘 쌓여 있는 영상이 주는 시적(詩的) 공간이 풍성하여 감각적 몰입을 잘 유도하였으나 그 장면과 춤의 결은 전혀 조화롭지 못해서 이질적인 것의 콜라쥬라도 되는 것처럼 감각적 상충을 일으키면서, 영상에 몰입할만하면 몰입을 깨는 춤이 나타나 시적 감성을 파괴하고, 춤에 익숙해져서 춤의 세계로 가려하면 영상이 나타나 춤으로 흐르던 감각을 다시 거둬들여야 하는 혼란을 반복적으로 유도하였다.
 젊고 미숙한 각각의 무용수들은 무대 위에서 긴장 밖에 할 줄 모르는 듯 영상이나 음악과 어우러지는 여유의 공간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마치 군대의 제식훈련을 보는 듯 불필요한 긴장감을 객석에 전달하였다. 게다가 의상은 무용수들의 얼굴과 몸의 미학을 잘 드러내고 보태주기 보다는 무대 위에서 자신의 모습을 전혀 고려하지 못했던 70년대식의 색감과 디자인으로 결점을 커버해주지 못하였다. 동작은 이 무용단의 초기 버전으로 돌아간 듯 대부분 무술에서 춤이 되지 못한 채 개울에 갇힌 이무기처럼 새로움이 느껴지진 않았다.
 각각의 장면은 길이 조절에 실패하여 라탄 스틱을 들고 봉과 창의 무술 장면에 과도한 시간을 보내버렸고, 자연의 생명력을 원초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한정된 공간과 별도의 영상스크린 앞에서 주로 바닥에서 이루어진 남녀 이인무의 엉킴에서 조차 자연성을 회복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Rice〉가 서구의 관객에게 주는 느낌과 쌀 농경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아시아권 관객들에게 주는 느낌은 사뭇 다를 것이다. 물론 나는 농경문화의 배경을 갖고 있으며 아직도 쌀 한 톨이나 밥 알갱이 하나가 수채 구멍에 흘러가는 모습을 보면 마음에서 뭔가 가장 부도덕한 일을 봤을 때와 같은 께름칙함이 솟구쳐 갑자기 구두쇠가 된 듯 쌀알에 집착한다. 그만큼 쌀은 농경문화에서는 생명 그 자체이며, 인간을 자연과 연결시키는 원천으로 DNA에 담겨있다. 그래서 땅이 추상이라면 쌀은 생명의 구체인 것이다.
 이런 쌀을 주제로 작품을 하려했다는 것은 이 무용단을 만들고(1973년) 우리 모두가 놀랄만한 아시아 미학를 구축한 선두주자로서의 린화민의 탁월한 감각인 것만은 확실하다. 그는 작품 〈Rice〉를 위해 2011년 대만의 곡창지대이면서 지상미(地上米)로 유명한 타이둥의 지상향(地上鄕, Chihshang)을 찾아가 무용수들과 농사에 직접 참여하였다. 새벽 5시부터 일어나 농사의 고된 노동을 무용수들과 함께 경험하고, 오후엔 연습실로 돌아와 그 경험을, 그 땅의 느낌과 바람의 소리를 작품화한 것이 바로 〈Rice〉인 것이다.




 그는 스스로 자신의 이런 행보를 rice complex라고 부른다. 그리고 단순히 쌀농사만이 아니라 그는 그 지역이 1945년 해방되기 전 50년간 일본의 지배 하에서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그랬듯이 쌀을 착취당하던 곳이며, 근대의 화학농법으로 인해 역사와 근대화에 의해 상흔 가득한 곳이라는 것에 주목하였다. 90년대부터 지상향은 천연농법으로 다시 돌아왔으며 예전 지상미의 명성을 회복하게 되었다.
 어쩌면 이 작품은 그가 자신(1947년생)의 기억 깊숙이 있는 식민지 역사와 농업에 담긴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했으며, 이전에 농경과 쌀에 대한 작품을 〈Legacy〉와 3.5톤의 누렇게 익은 벼를 무대 장치와 무대로 쏟아지게 했던 작품 〈Songs of the Wanderers〉로 완성하지 못했다는 미흡함을 완성하고자 한 또 한 번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이 작품의 영상에는 그런 숨결이 어느 정도 담겨 있으나 막상 무대 위에서 그것은 잘 드러나지 못하였다. 그에게 왜 그렇게 어리고 미숙한, 조화로운 움직임을 제대로 보여줄 만한 무용수들이 캐스팅되지 못했는지 속사정은 잘 알 수가 없으나 어쨌든 작품을 총괄한 노(老)안무가에게 많은 애석함이 느껴진다.




 그간 클라우드 게이트가 보여준 아시아 미학이 과연 오리엔탈리즘에서 얼마만큼 자유로운 것인가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을 갖고 있음에도 이 무용단이 보여 온 행적은 자기의 역사와 현실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루는 모습에서 그렇게 단순하게 평가할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쉽게 춤작품에서 우리의 역사와 환경, 그리고 문화적 뿌리에 대해 잘 담지 못하거나 발달된 감각을 갖고 있지 못한 것에 비하면, 그들은 훨씬 자신의 것을 잘 알고 있고 그것을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지 이미 알고 있다. 비슷한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는 우리로서는 부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2008년 사용하던 공간을 화재로 잃은 뒤, 2015년 4월 이 무용단은 신대만시로부터 40년간 사용권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부지를 기부받고 단수이 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새로운 둥지를 틀었다. Alpha Wood Foundation Chicago로부터 5백만달러를 기부 받고, 국내의 기업과 개인 4155명에게 기부를 받아 공연 가능한 공간 4개(450석 극장, 블랙박스 극장으로 변용이 가능한 2개의 스튜디오와 야외무대)를 갖춘 훌륭한 건축물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Cloud Gate 2를 이끌 안무가 鄭宗龍, 陣韻如, 黃懷德 등의 새로운 작품 〈Beckoning〉, 〈Hell Groove〉, 〈Horde〉 등을 10월까지 연속해서 올리고 있다.
 이처럼 이 무용단은 신구의 조화가 안정될 만큼 발전의 체계를 잘 갖춘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욕심을 위해 후배 안무가를 키우지 않거나, 키우더라도 자신보다 훌륭하면 경쟁자로 느끼고 싹을 자르던가, 자기의 보조자로 수단시 하여, 자신만 부귀영화를 누리려는 우리의 병적인 문화와 비교해 본다면 린화민의 〈Rice〉가 예술적으로 지금 상태가 조금 모자란다 해도 그건 그리 큰 문제가 아닐 성 싶다.
 우리의 어른들은 광복 70년을 맞아 역사물이랍시고 지금과 많이 동떨어진 소재와 시점을 선택하는 모자란 역사인식을 점검하고, 오히려 조금 더 현실감 있게 역사 속에 자신의 활동을 잘 비춰봐야 할 것이다. 무엇이 내가 사라져도 역사에 남을 것인가? 무엇이 내가 역사화 되는 길일 것인가?

2015. 10.
사진제공_JD Woo/LG아트센터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