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오레지나 안무 〈천개의 바람〉
생명과 지속성에 대한 사유
권옥희_춤비평가

 자신이 괴물이 된 것도 모른 채 괴물로 살아가는 이들이 있다. 그들로 인해 우리는 어이없는 죽음을 목격해야했다.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아프다. ‘므네모쉬네’의 샘물을 마셔야 하나, ‘레테’의 샘물을 마셔야 하나.
 <천개의 바람>(꿈꾸는 시어터, 7월 12일) 공연에 앞서 안무자 오레지나(대구가톨릭대 교수)가 무대에 선다. 그는 세월호 사건으로 ‘개인으로서의 삶’, ‘온 생명으로서의 삶’, ‘공동체의 삶’의 세 층위의 실존의 문제와 생명의 지속성에 대한 안무의도를 말한다.
 ‘생태’와 ‘우주’ ‘생명’을 사유하고 자연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꿈꾸는 오레지나의 춤. 춤으로 소통을 꿈꾸는 그의 작품은 늘 이렇게 말을 건네는 듯하다. ‘춤을 추는 내가 춤을 보는 당신과 교감하고 소통하고자 합니다.’





 먼저, 춤을 풀어내는 구성과 춤의 어휘가 달라졌다. 무명처럼 보이는 흰색의 둥근 통 넓은 바지와 윈피스 의상, 간결하고 모던하다. 전체 5장으로 풀어낸 <천개의 바람>은 다소 성근 앞부분 ‘꿈꾸는 바람...’ ‘세상을 바라보는 눈’에 비해 갈등과 폭력을 다룬, ‘... 상실과 아픔’ ‘반성과 성찰의 되돌아 걷는 노란 길’ 그리고 ‘자유로운 날갯짓으로 천개의 바람이 되’는 결말부분에 이르면서 작품이 촘촘했다.
 살풀이 수건을 들고 누워있는 무용수, 그 뒤로 뜨는 영상, 바라춤에서 전통을 새롭게 해석한 춤의 어휘가 보인다. 눈을 그려 넣은 바라를 들고 추는 춤은 힐긋, 두리번거리며 ‘세상을 바라보는 눈’으로 ‘탐욕’과 ‘이기심’, ‘시기’와 ‘사랑’의 정체를 살핀다. 불교의식에서 추는 한자표기의 바라춤, 사물의 정체를 논의한다는 ‘인명착’(人名捉), 혹은 머리 뒤에서 다시 소리를 내며 돌아온다는 성두상환제(聲頭上煥提)로 해석해도 무관하다. 어이없이 스러져 간 이들이 영혼이 소리를 내며 돌아오기를 바라면서 추는 춤이라면.
 바라로 보이는 둥근 소품에 눈을 그려 넣은 바라춤은 예술의 수준을 가르는 모호한 경계에 서있다. 바라에 내포된 의미와 상징성, 춤의 정도에 따라 관객의 감성을 건드리는 소통의 춤이 되기도, 다르게는 단순하게 표현된 ‘눈’의 그림으로 인해 자칫 춤이 유치하게 보일 수도 있다는 것.
 4장, 노란색의 리본이 모이고, 노란꽃송이를 든 무용수 네 명, 다른 무용수 두 명은 손을 가슴으로 가져왔다가 다시 앞으로 펴고 접는 동작을 거듭하며 천천히 걸어 나온다. ‘길을 나서는 하얀마음’을 ‘노랗게 가슴에’ 단다는 의미가 내포된 간단한 마임의 춤이 반복된다. 춤으로 하나가 된 객석과 무대가 출렁인다. 바다에 가라앉은 이들을 위한, 그들이 바다에서 나오기를 기원하며 매단 진도 팽목항 곳곳에서 출렁이던 노란 리본의 물결이 오버랩 된다. 노란 꽃을 든 무용수들의 춤과 마임은 바다(죽은 자)와 육지(산자)를 잇는 기도이며 노래다. 죽은 이들의 영혼을 위무하고 그들을 잊지 않겠다는, 무당의 언어이다.





 죽음에서 일으켜 세우듯. 춤을 추면 마치 마법처럼 누워있던 무용수가 일어난다. 바다에서 죽어간 이들도 이처럼 춤으로 살릴 수만 있다면. 죽어간 이들을 위한 또 다른 기도다.
 마지막장, 손으로 얼굴을 가리듯, 이마에 손을 얹은 채 상체로 느리고 둥글게 공기를 가르는 절제되고 단정한 춤의 반복되는 어휘에 슬픔이 실린다. 조보미의 춤과 연기가 돋보였다.





 춤에서 연습은 중요하다. 하지만 고민하지 않고, 늘 하던 방식대로 연습만 거듭하는 일은 부질없다. 작품이 좋은 쪽으로 달라졌다는 것, 작년의 방식으로 올해의 연습을 채우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으리라. 새로운 춤의 어휘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연습과 사유가 있었을 것이라 짐작한다.
 무엇보다 꽃 같이 스러져간 세월호 아이들이 분명히 세상을 바꿀 것을 믿는 것처럼, 공동체로서 삶의 실존에 대해 예술가로서의 고민과 사회적 책무를 춤으로 풀어낸 안무가의 진정성에 깊은 신뢰감을 느낀다.





 그리스의 소도시 리바디아는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으로 유명한 곳이다. 그 속 바위산 기슭에서 맑은 샘물이 솟아오르고 있다고 한다. 리바디아에서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을 받으려면 먼저 바위산 아래에서 솟는 ‘레테의 샘물’, 즉 망각의 샘물을, 다음으로는 바로 그 옆에서 솟는 ‘므네모쉬네의 샘물’, 즉 기억의 샘물을 마셔야 한다. 그리고는 동굴로 들어가 며칠 동안 망각과 기억을 명상해야 한다. 한 곳에서 솟는 샘물인데 오른 쪽은 므네모쉬네, 왼쪽에서 솟는 샘물은 레테라고 부른다. 기억과 망각의 샘물이 한 곳으로 흐르는 시내, 이 시내를 그리스인들은 ‘라이프’라 부른다고…. 인생.
 우리는 지금의 우리의 삶과 꼭 닮아 있는 죽음을 목격했다. 더 이상 언급 않는 것을, 혹은 잊는 것을 나무랄 수는 없다. 그러나 잊지 않기 위한 노력이 중요한 것임을….
 죽음, 저승 앞을 흐르는 레테를 건너는 일. 우리 아이들은 무사히 레테의 강을 건넜을까.

2014. 08.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