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2人무 페스티발’의 전통춤 소극장 공연
김영희_우리춤연구가

 서울 대학로의 혜화동로타리 끝에 위치한 소극장 꿈꾸는공작소에서 ‘2人무 페스티발’이 진행되었다. 한국춤예술센터(대표 이철진) 혜화지부 주최로 김순정 성신여대 교수가 예술감독을 맡아 10월 19일에 시작하여 11월 13일까지 전통춤, 발레, 현대무용에 일본의 전통춤까지 13개 춤 단체가 4주로 나뉘어 각 5일 동안 2인무만을 무대에 올리는 기획이었다. 각 공연에 여러 장르의 춤이 한 무대에 올려졌고, 2인무 만을 올린다는 발상이 참신했다.
 13개 춤 단체의 프로그램 중에 3팀의 전통춤 2인무 공연이 있었는데, 첫째 주에 ‘정우정연무용단’의 <구음검무>와 <진주교방굿거리춤>이 있었고, ‘미타노리야키무용단’의 <나소리>가 있었다. 둘째 주에는 ‘창작집단 환’의 <취발이와 소무>를 공연했다.
 10월 22일에 본 정우정연무용단은 차명희, 정연희 2인이 교방춤 계열의 전통춤 무대를 선보였다. <구음검무>는 원래 8인이 추는 <진주검무>를 서울교방의 대표 김경란이 독무로 재구성한 춤으로, 김수악 선생의 구음에 맞춰 추는 것이 특징이다. 근래 독무 <구음검무>를 여러 춤꾼이 추었으나, 이번 페스티발에서 2인무로 추었다. 전면을 향해 추던 춤을 전통 검무 방식대로 대무 형식으로 마주보며 추었다. 사실 전통 검무가 대무 형식이므로 감도(感度)가 크게 떨어지지 않으리라 생각했는데, 전면을 주 무대로 추는 독무 구성보다 집중의 감도가 조금 떨어졌다. 하지만 차명희와 정연희의 호흡은 오래 동안 맞춘 듯 순조로왔다.
 <진주교방굿거리춤>도 독무 순서를 크게 변형하지 않고 2인무로 추었다. 푸른 치마에 노랑 저고리를 입고 추는 2인의 춤은 꽃 같기도 하고, 한 쌍의 새 같기도 하였다. <진주교방굿거리춤>은 원래 독무 춤꾼 개인의 멋과 흥으로 끌어가는 춤으로 춤꾼의 멋과 개성이 드러나는 춤이다. 이번에 2인무로 맞춰 추기는 했으나, 쌍춤으로 같이 추다가 각 춤꾼의 개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독무를 한 대목씩 추었더라면 2인무 속에서 각각의 독무를 감상할 수 있지 않았을까. 그리고 작은 공간에서 관객과 가까이 대면하고 추는 경우 관객과 어떻게 호흡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같은 날 미타노리야키무용단의 <나소리>도 보았다. 일본 궁중에는 도가쿠(唐樂)과 고마가쿠(高麗樂)가 있는데, <나소리 納曾利>는 고려악의 하나이다.(일본에서 고려악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음악을 통칭한 용어이다.) <나소리>는 신라의 춤이 일본에 전해져 전승된 춤이라고 하는데, 두 마리의 용이 즐겁게 노는 모습을 춤으로 표현했다고 한다. 춤이 시작되자 검은 얼굴 바탕에 황금색 머리카락을 붙인 탈을 쓴 춤꾼이 허리에 손을 얹고 큰 걸음으로 등장했다. 처용무의 등장하는 모습과 흡사했다. 그리고 춤은 대체로 느리게 진행되었고, 사방을 구분한 동선과 동작이 이어졌다. 어느 새 두 춤꾼은 은색의 작은 막대를 한 손에 쥐고 춤추었는데, 이는 일종의 피리, 약(籥)이라고 한다.
일본에 관한 서적인 『왜명류취초(倭名類聚抄)​』와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에 의하면 이 피리(籥)는 구멍이 6개인 고마부에(高麗笛)라고 한다.(서정록의 '나소리 퍼즐조각 찾기', 『춤비평』 2010년 2호를 참고하였다.) 

 신라에서 전해진 춤이고, 용의 춤이며 피리가 나온다면 신라의 신문왕대에 영물(靈物)이었던 ‘만파식적(萬波息笛)’이 떠오른다. 만파식적은 평소에는 나눠져 있다가 나라에 큰 재앙이 닥치면 그 적이 합쳐져 소리가 나면서 나라를 구하고 평화를 이루게 한다는 전설의 피리이다. <나소리>가 이러한 피리를 들고 추는 두 마리 용의 춤이니, 두 개의 피리가 만나고 춤의 전환이 있을 것을 기대했으나, 그런 장면은 없었다. 혹 있었으나 눈치채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기대가 부질없는 것일 수도 있다. <나소리>는 천 년의 세월 동안 일본에서 전승된 춤이 아닌가. 
 그리고 창작집단 환의 <취발이와 소무>를 보았다. 황해도 지방 탈춤인 봉산탈춤 4과장에 등장하는 취발이와 소무의 대목을 2인무로 추었는데, 다른 점은 탈을 벗고 맨 얼굴의 취발이와 소무로 춤판을 꾸민 것이다. 취발이와 소무의 연정(戀情)을 부각시키고, 감정의 섬세함을 표출하기 위해 탈을 벗었다고 했다. 먼저 취발이가 솔가지로 얼굴을 가리고 등장하여 한량의 춤을 추었고, 이어서 소무가 원삼쪽두리가 아닌 치마저고리에 댕기머리로 등장하였다. 취발이가 소무를 발견하여 염주를 걸어 소무를 유혹하고, 재차 유혹하여 소무의 마음을 얻게 되자, 취발이는 족두리와 원삼을 입혀주고 혼례를 하고 둘은 사랑을 성취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취발이와 소무가 탈을 벗으니, 밋밋한 2인무가 되었다. 취발이 탈이 형상한 장대함이나 남성성, 탈의 뭉툭하고 굵직한 연기 라인이 약화되었고, 소무 탈이 보여주는 하얀 얼굴에 앵도를 똑똑 따는 붉은 입술, 간단한 살랑거림으로 표현하는 요염함은 볼 수 없었다. 그렇게 탈춤 인물이 갖는 전형성은 잃었지만, 새로운 상황이 첨가되었으니 취발이의 치장 장면과 혼례 장면이다. 탈을 벗으니 당연히 내용 전개가 합리적이어야 하고, 섬세한 감정 표현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전개된 2인무가 워낙 캐릭터가 강한 취발이와 소무라는 인물을 충분히 살렸는지는 의문스럽다. 탈을 쓴 인물의 춤을 보며 관객 스스로 상상하고 투사하면서 감상하는 관객 몫의 여백을 채울 수 있을 만큼, 탈을 벗은 취발이와 소무라는 캐릭터를 어떻게 각색할지에 대한 고민이 더욱 필요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취발이와 소무>는 전통 탈춤에 있는 인물을 독립시켜 작품화한 시도로 매우 고무적이다.  

 ‘2인무라는 기획은 상대적으로 작은 소극장의 무대에 적합한 무용공연 형태를 개발하여 소극장에 어떻게 안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해법을 찾는 실험적인 시도가 될 것’이라고 기획의도에서 밝혔듯이, 소극장에서 진행된 ‘2인무 페스티발’은 소극장에 매우 적합한 기획이었다. 춤의 생산에 있어서 대극장이나 중극장에서 표현할 수 없는 춤판을 만들 수 있고, 독무나 군무로는 불가능한 표현들을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춤의 유통에 있어서도 소극장 주간공연이 관객 확보의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본다. 물론 작품이 좋아야 할 것은 말할 나위 없다. 내년을 기대해본다.

2011. 12.
*춤웹진